• 제목/요약/키워드: Apis mellifera (Honeybee)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8초

능력검정에 의한 우량 종봉 선발에 관한 연구 (Selection of superior breeding colonies of Apis mellifera based on performance-testing)

  • 손영익;차용호;최광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9권
    • /
    • pp.17-22
    • /
    • 2001
  • 본 연구는 여왕별의 능력검정 및 선발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1999년 11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상주시 내서연 능암리 산 246번지에 있는 양봉장에서 서양종 봉군(Apis millifera)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99~2000 월동 기간 중 월동 전 후의 벌통무게는 $22.6{\pm}2.6kg$$20.1{\pm}2.6kg$로서 월동기간 중 벌통 무게 감소량은 $2.5{\pm}0.7kg$였다. 월동 2차 연도인 2000~2001 월동 기간 중 월동 전 벌통무게는 $22.6{\pm}2.3kg$이었으나 월동기간 중 벌통무게는 $2.3{\pm}0.6kg$이 감소되었다. 아까시꿀 채밀 직전에 조사된 착봉소비 매수는 2000년 5월 22일에 $13.1{\pm}4.6$매였으나, 2001년 5월 21일에는 $16.0{\pm}3.8$애였고, 계상이용율은 2000년에 50%이었으나 2001년에는 98.5%이었다. 아카시 유밀기에 있어서 2차에 걸쳐 채밀한 군당 평균 채밀량은 2000년에는 $12.7{\pm}8.6kg$이었으나 2001년에는 비선발군에서 $14.2{\pm}7.6kg$ 그리고 검정선발여왕벌 봉군에서 $23.5{\pm}4.9kg$이었다.

  • PDF

Detection of Korean Native Honey and European Honey by Using Du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Immunochromatographic Assay

  • Kim, Chang-Kyu;Lee, Deug-Chan;Choi, Suk-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99-605
    • /
    • 2017
  • Korean native honey (KNH) is much more expensive than European honey (EH) in Korea, because KNH is a favored honey which is produced less than EH. Food fraud of KNH has drawn attention of the government office concerned, which is in need of a method to differentiate between KNH and EH which are produced by the Asiatic honeybee, Apis cerana and the European honeybee, Apis mellifera, respectively. A method to discriminate KNH and EH was established by using du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in this study. Immunochromatographic assay (IC) was examined to analyze the duplex PCR product. The DNA sequences of primers for the duplex PCR were determined by comparing cytochrome C oxidase genes of the two honey bee species. Chelex resin method was more efficient in extracting genomic DNA from honey than the other two procedures of commercial kits. The duplex PCR amplifying DNA of 133 bp were more sensitive than that amplifying DNA of 206 bp in detecting EH in the honey mixture of KNH and EH.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nd IC detected the DNA of 133 bp at the ratios of down to 1% and 5% EH in the honey mixture, respectively and also revealed that several KNH products distributed by internet shopping sites were actually EH. In conclusion, the duplex PCR with subsequent IC could also discriminate between KNH and EH and save time and labor.

붕독 처리가 어미소의 번식효율과 송아지의 증체, 질병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neybee (Apis mellifera L.) venom on the reproductive efficiency of dams and the growth performance, disease occurrence of Hanwoo calves)

  • 한상미;이광길;여주홍;오백영;김순태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87-292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bee venom (Apis mellifera L.) on the calving, reproductive efficiency of Hanwoo dams and the growth performance and disease occurrence of calves. Eighty seven experimental dams were allocated into two groups, bee venom treated (n=53, BV) and non-treated (n=34, control) of Hanwoo dams in Icheon, Kyonggi province. Calving period ($14.08{\pm}4.8$) and percentages of retained placenta (7.5%) in BV was shortened compared to control ($17.2{\pm}4.3$, 14.7%, respectively. P>0.05). Post-placenta periods was similar between two groups (P>0.05). Postpartum days ($36.5{\pm}4.3$) to first estrus and calving interval ($358{\pm}18$) were shortened compared to control ($40.2{\pm}5.2$, $375{\pm}23$, respectively) but have not significantly affected (P>0.05). Body weights ($43.5{\pm}3.0$) and average daily gains (0.62) of calves before 30 days old in BV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40.3{\pm}5.3$, 0.52, respectively). The occurrence of respiratory disease and diarrhea in BV was relatively lower compared with Control.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bee venom may affect reproductive efficiency of dams and growth performance of calves.

봉독의 급수투여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neybee (Apis mellifera L.) venom by water supply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

  • 한상미;이광길;여주홍;오백영;김봉순;이웅;김순태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7-183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biotic effects of bee venom (Apis mellifera)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broiler chicken. 1-day-old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with 3 replicates of 5,000 birds each. The treatments were control without antibiotic and bee venom, 0.5ppm or 1ppm bee venom. The final body weight and body weight ga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ee venom than control (P<0.05). The feed conversion ratio in all trea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were observed in the contents of total cholesterol,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total protein, albumin and globulin in blood serum. The white blood cell, red blood cell, heterophil, lymphocyte, and stress indicator (heterophil:lymphocyte ra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The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ies in the groups that were water containing bee veno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P<0.05). It has been suggested that bee venom promotes the growth of broilers without any negative effect when added in broiler water.

Effect of Climatic Conditions on Pollination Behavior of Honeybees (Apis mellifera L.) in the Greenhouse Cultivation of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L.)

  • Lee, Kyeong Yong;Lim, Jeonghyeon;Yoon, Hyung Joo;Ko, Hyeon-Jin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39-250
    • /
    • 2018
  • We investigated the pollination activity of honeybees (Apis mellifera L.) in terms of different climatic conditions in the greenhouse cultivation of watermelons (Citrullus lanatus L.) during winter. The aim of the study was to search a climatic condition which effectively can be use honeybees as pollinators during the flowering season of watermelons in winter or early spring. The average climatic conditions inside the greenhouse during the bee activity time (BAT)-between 10:00 and 16:00 in mid-Februarywere a temperature of $30.4^{\circ}C$, relative humidity of 53.7%, illuminance level of 22,728.4lx, and UV level of $0.233mW/cm^2$. Bee traffic and foraging activity were at their greatest at 10:00 and tended to decrease with time. Male watermelon flowers typically dehisced between 10:00 and 12:00. Climatic condition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ee activities, including bee traffic and foraging activity. Bee activit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illuminance level, and UV level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lative humidity. Temperature had the greatest effect on honeybee behavior. Among the foraging honeybees, the number of high-flying bees that did not pollinate flowers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temperature, and the number of bees landing on the flower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UV level. The temperature range inside greenhouses at which the pollination activities of honeybees can be maintained efficiently during winter watermelon pollination was found to be $21{\sim}25^{\circ}C$.

꿀벌 외래 해충, 작은벌집밑빠진벌레(Aethina tumida Murray, 1867)의 초기 발견 봉장 내 공간 분포 특성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a Newly Invaded Honeybee Pest, Aethina tumida Murray, 1867 (Coleoptera: Nitidulidae) in an Apiary Where it was First Detected)

  • 홍석민;정철의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3-170
    • /
    • 2017
  • 꼬마벌집밑빠진벌레(SHB, Aethina tumida Murray(Coleoptera : Nitidulidae))는 벌통 내부에 소비와 저장식량에 피해를 주는 꿀벌 해충이다. 국내 Apis mellifera 벌통에 대한 SHB의 최초 피해 보고는 2016년 9월 23일 경남 밀양시에서 보고되었다. 그 후, 2016년 10월 5일 밀양시 양봉장에서 벌통 내부와 벌통 입구 30cm내에서 SHB 공간 분포를 조사했습니다. 총 169개의 벌통을 조사하였다. 벌통 내부에서는 SHB 유충과 성충이 발견되었으며, 토양 내에서는 성충, 유충 그리고 번데기가 발견되었다. 성충 SHB가 발견된 벌통 중 61% 벌통 내 꿀벌이 존재하였으나, 유충 SHB가 발견된 벌통에서는 꿀벌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유충에 의한 봉군 파괴를 뜻하였다. 벌통 내 꿀벌이 존재하는 경우 꿀벌 개체수가 많을수록 SHB의 밀도가 높았다. 분산 계수(CD)는 벌통 내부와 토양 내부 간의 중요한 군집 분포를 보였다. CD는 토양 내부보다 벌통 내부에서 훨씬 높았다. SHB에 의해 꿀벌이 피해를 입어 벌통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여 벌통 내 봉군의 붕괴를 일으킨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10월에도 여전히 벌통 내부에서 SHB의 발육과 번식이 이루어져 늦은 가을까지 SHB의 개체군이 증가할 수 있다. SHB의 한국환경 적응에 대한 더 자세한 분석은 꿀벌에 새롭게 발견된 신규 외래해충의 관리 전략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수밀력 우수 꿀벌 계통 판별을 위한 계통 특이 분자마커 개발 (Identification of 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Marker for the Detection of Enhanced Honey Production in Hoenybee)

  • 김혜경;이명렬;이만영;최용수;김동원;강아랑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47-154
    • /
    • 2017
  • 꿀벌은 화분매개 뿐만 아니라, 양봉산물을 생산하는 주요한 산업곤충 중 하나이다. 최근 농촌진흥청과 예천곤충 연구소에서는 국내 최초로 수밀력 우수 꿀벌 품종인 '장원벌'을 선발하여 보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원벌 계통 특이 분자 마커 개발을 위해 장원벌 부계인 D계통 특이적인 분자 마커를 개발 하고자 Sequence-Based Genotyping (SBG) 분석을 수행하였다. SGB 분석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서 보존 육성중인 A, C, D, E, F 5개 기본종 계통에 대해 수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1,029개 SNP를 확보 할 수 있었다. 이후 A, C, D, F, E 기본종 계통 및 $D{\times}F$ 교배계통에 대한 SNP filtering 및 validation을 통해 최종적으로 AmD6 및 AmD9 두 개의 SNP 마커를 선발 하였으며, genotyping 분석을 통해 AmD9 마커가 장원벌 부계인 D 계통을 100% 구분 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마커를 통해 D 계통 및 장원벌을 보다 정확하게 판별하고 육종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설파프리카에서 양봉꿀벌과 서양뒤영벌의 화분매개활동 효과 (Effect on the Pollinating Activities of Honeybee, Apis mellierfa L.(Hymenoptera: Apidae) and Bumblebee, Bombus terrestris L. in Paprika Vinyl-Houses)

  • 이상범;하남규;윤형주;박인균;이경용;강호성;황석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93-298
    • /
    • 2008
  • 시설파프리카에서 양봉꿀벌은 온도, 조도 그리고 자외선량이 증가하고 습도가 감소하는 오전 11:00부터 15:00, 서양뒤영벌은 오전 09:00에서 11:00에 방화활동수가 가장 많았다. 방화시간은 양봉꿀벌과 서양뒤영벌 방사구가 각각 5.8초와 6.9초로 같은 수준이었으며, 착과율은 각각 94%수준으로 관행구(환풍기사용) 92%보다 2% 높았다. 생산물조사에서 양봉꿀벌과 서양뒤영벌 방사구가 관행구보다 과실의 무게, 길이, 당도, 종자수에서 보다 좋은 성적을 보였다. 따라서 경제성분석(재배기간 10개월/2,310 $m^2$)에서 양봉꿀벌과 서양뒤영벌 방사구가 관행구(팬가동)에 비하여 $7,700{\sim}8,520$천원(10% 이상)의 이익을 가져옴으로서 화분매개곤충을 방사한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딸기용 농약의 꿀벌에 대한 급성독성 및 엽상잔류독성 (Honeybee Acute and Residual Toxicity of Pesticides Registered for Strawberry)

  • 김병석;박연기;이용훈;정미혜;유아선;양유정;김진배;권오경;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9-235
    • /
    • 2008
  • 시설재배 딸기에 사용하는 농약이 화분매개를 위해 투입된 꿀벌(Apis mellifera L.)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꿀벌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21종의 농약을 선정하여 꿀벌 급성독성시험과 엽상잔류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표준살포농도로 분무처리한 급성접촉독성시험에서는 24시간 후에 꿀벌치사율이 대조군과 유한 차이를 보인 농약은 dichlofluanid WP 등 6종이었고, 48시간 후에는 fenpropathrin EC 등 7종이었다. 급성 섭식독성시험에서는 fenpropathrin EC만이 꿀벌에 독성을 보여주었으며 milbemectin EC는 배량처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치사율 차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엽상잔류독성시험에서는 fenpropathrin EC만이 10일 이상 장기간 잔류독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21종 제품농약에 대한 살포 후 꿀벌안전방사기간을 제안하였다.

서양종꿀벌 일벌독에 함유된 putrescine 밸리데이션 및 함량 분석 (Validation and Content Analysis of Putrescine in the Venom of Honeybee (Apis mellifera L.))

  • 최홍민;김효영;김세건;한상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263-268
    • /
    • 2021
  • 서양종 꿀벌(Apis mellifera L.)의 봉독은 예로부터 항염증과 탁월한 진통 효과로 인해 많은 질병 치료에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기능성은 멜리틴과 같은 봉독의 다양한 활성물질로부터 기인하며 약리기전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봉독 내에 존재하는 생체아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봉독 내에 존재하는 생체아민인 putrescine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밸리데이션을 수행하였다. 밸리데이션은 특이성, 정확성 및 정밀도를 평가하고 분석법을 검증하였다. Putrescine 분석의 선형성은 R≥0.99로 높은 선형성을 나타냈으며, 검출한계는 0.9 ㎍/ml, 정량한계는 2.7 ㎍/ml였으며, 회수율은 96.4%-99.9%로 나타났다. Intra-day 정밀도와 inter-day 정밀도의 상대표준편차(RSD) 값은 각각 0.16%-0.23%와 0.09%-0.36%였으며, 이는 RSD 값이 5%이하의 우수한 정밀도를 보였다. 따라서 본 분석법은 putrescine 분석에 있어서 선형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및 회수율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봉독내에 존재하는 putrescine의 함량을 조사해본 결과 3.1 ± 0.09 mg/g 존재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봉독 내 putrescine 함량에 대한 기본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며, 이는 다양한 생물 활성에 대한 추가 연구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