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iary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5초

Occurrence of Hymenoptera (wasps and bees) and their foraging in the southwestern part of Jirisan National Park, South Korea

  • Choi, Moon Bo;Kwon, Oh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3호
    • /
    • pp.367-374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occurrence and foraging of social and other wasps and bees in Jirisan National Park (JNP, South Korea), in particular in an apiary. Sixty one traps were plac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JNP to identify social wasps from July to September 2014, and the damage to the apiary caused by wasps or bees was observed once a month from May to December 2014 between 10 a.m. and 5 p.m. In total, 10 species of Vespidae were collected by trapping. Vespa crabro was the most abundant (245 individuals, 28.3%), followed by Vespa velutina (162 individuals, 18.7%). In the apiary, however, V. velutina was the most frequent species. V. velutina visited a maximum of 167 times a day in September, which corresponded to one visit in 2.5 min. Accordingly, these data are in line with the most serious impact of V. velutina on the apiaries in South Korea. V. simillima was the second most frequent species; both Vespa species hawked honeybees. Even though the occurrence of V. mandarinia was low, this species caused serious damage by mass slaughter of honeybees. The occurrence of V. crabro, V. analis and V. ducalis was quite low and their impact on honeybees was negligible. There have been few reports of V. dybowskii foraging for honeybees, but they are considered to be a new pest because their impact on apiaries is considerable. Most Vespa species attacked the apiary from June to October, with a maximum in September. However, V. velutina visited until November to early December. Vespula species are not more serious pests than Vespa species, but many adults were observed stealing honey from beehives. Polistes, Orancistrocerus, and Bombus species had no impact on honeybee colonies in the apiary.

꿀벌 부저병의 발생확인과 방역대책 (Incidences of Foulbrood in Apiaries and Eradication Campaign for Control)

  • 강영배;김상희;장환;김창섭;김종염;권영방;이영옥;박정문;정운익;김공식;신종백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23권5호
    • /
    • pp.289-301
    • /
    • 1987
  • Outbreaks of foulbrood in honey bees rearing on Cheju Island(an apiary with 172 colonies) and in Pusan City(an apiary with 100 colonies) were reported in April, 1987. The disease striked on Cheju Island was identified as American foulbrood caused by Bacil

  • PDF

양봉농가의 경영형태와 기술수준 분석 (Analysis of Honeybee-Keeping Management Types and Skills Level in Korea)

  • 김안식;김석은;김계웅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1호
    • /
    • pp.59-66
    • /
    • 2011
  • 본 조사연구는 2008년 1년간 우리나라 253개 양봉농가의 설문 조사를 통하여 경영형태를 분석하고 기술 및 기반수준을 평가하여 농가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경영지표 설정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양봉농가의 평균 봉군관리 수는 145.89군으로 조사되었다. 관리자의 연령별로는 통계적 유의성(p<0.05)이 인정되었는데 55세 미만 연령그룹에서 평균 191.68군으로 가장 많이 사육하고 있었으나, 연령이 많을수록 봉군 수는 적게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 별로도 고도로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는데, 15년 이상 고경력 농가에 평균 175.96군을 사육하고 있었으며, 경력이 높은 농가에서는 더욱 많은 봉군을 관리하고 있었다. 거주지별과 학력별간 모두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경영형태별로는 고도로 유의한 차이(p<0.001)가 인정되었는데 고정양봉은 평균 82.99군 이었으나 이동양봉은 220.18군을 경영관리하고 있었다. 양봉장은 농가주변(57.8%)에서 가장 많이 위치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은 산간지(30.3%)에서 양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별 양봉장의 위치 분석에서는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는데, 산간지는 젊은 연령층(36.9%)에서 많이 사육하는 반면에 농가주변은 노년층(65.4%)에서 주로 많이 사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별 분석에서도 고도로 유의한 차이(p<0.001)가 인정되었는데 산간지(40.0%)에서는 산간마을 거주자가 많이 사육하고 있는 반면에 농가주변에서는 산간마을이나 중소마을 거주자 서로 모두 비슷하게 사육하고 있었다. 그러나 경력별, 학력별 및 형태별간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양봉농가는 부업고정양봉(35.7%)으로 경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연령층별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는데, 젊은 연령그룹에서는 전업이동양봉(38.8%)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년층에서는 부업고정양봉(43.2%)을 주로 경영하고 있었다. 경력별로도 고도의 유의성(p<0.001)이 인정되었는데, 저경력 층에서는 부업 고정양봉(46.6%) 경영이었으나 고경력 층 그룹은 전업 이동양봉(40.3%)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거주지별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봉농가는 벌꿀은 물론 프로폴리스, 종봉 분양, 화분, 로열 젤리, 매개봉군 순으로 양봉 생산물을 생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5년 이하 저경력 층은 주로 프로폴리스, 화분 등을 생산한 반면에 고경력 층에서는 주로 프로폴리스, 분양 종봉 등을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간마을 양봉 농가는 주로 프로폴리스, 화분 등을 얻고 있으나, 중소마을 양봉 농가는 프로폴리스, 분양 종봉 등을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정과 이동양봉농가 모두 프로폴리스, 화분 등을 주로 많이 생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양봉농가 기술보유 수준 및 기반수준은 5점만점 중 각각 평균 3.11점과 2.86점으로 모두 중등수준으로 평가되었다. 경력별간에는 기술수준이나 기반수준 모두 고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저경력보다 고경력 농가에서 기술수준 평균3.33점과 기반수준 평균 3.02점으로 더 높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연령층간이나 거주지간의 기술수준이나 기반수준평가 모두 서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Honey bees and their brood: a potentially valuable resource of food, worthy of greater appreciation and scientific attention

  • Ghosh, Sampat;Meyer-Rochow, Victor Benno;Jung, Chuleu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4호
    • /
    • pp.293-304
    • /
    • 2021
  • Despite the consumption of bee brood in several parts of the world, particularly in the tropical areas, the practice has received comparatively little attention. We have reviewed all the available information on the nutrient composition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of honey bee workers belonging to different species and subspecies. Noticing the competent nutrient composition of, in particular, honey bee brood, pupae, and prepupae, we suggest that they could be a potential source of human nutrition as well as animal feed. Moreover, drone brood is an ideal candidate for use as a food or as food ingredient. However, to analyz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different honey bee species remains a task for further analysis.

꿀벌 외래 해충, 작은벌집밑빠진벌레(Aethina tumida Murray, 1867)의 초기 발견 봉장 내 공간 분포 특성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a Newly Invaded Honeybee Pest, Aethina tumida Murray, 1867 (Coleoptera: Nitidulidae) in an Apiary Where it was First Detected)

  • 홍석민;정철의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3-170
    • /
    • 2017
  • 꼬마벌집밑빠진벌레(SHB, Aethina tumida Murray(Coleoptera : Nitidulidae))는 벌통 내부에 소비와 저장식량에 피해를 주는 꿀벌 해충이다. 국내 Apis mellifera 벌통에 대한 SHB의 최초 피해 보고는 2016년 9월 23일 경남 밀양시에서 보고되었다. 그 후, 2016년 10월 5일 밀양시 양봉장에서 벌통 내부와 벌통 입구 30cm내에서 SHB 공간 분포를 조사했습니다. 총 169개의 벌통을 조사하였다. 벌통 내부에서는 SHB 유충과 성충이 발견되었으며, 토양 내에서는 성충, 유충 그리고 번데기가 발견되었다. 성충 SHB가 발견된 벌통 중 61% 벌통 내 꿀벌이 존재하였으나, 유충 SHB가 발견된 벌통에서는 꿀벌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유충에 의한 봉군 파괴를 뜻하였다. 벌통 내 꿀벌이 존재하는 경우 꿀벌 개체수가 많을수록 SHB의 밀도가 높았다. 분산 계수(CD)는 벌통 내부와 토양 내부 간의 중요한 군집 분포를 보였다. CD는 토양 내부보다 벌통 내부에서 훨씬 높았다. SHB에 의해 꿀벌이 피해를 입어 벌통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여 벌통 내 봉군의 붕괴를 일으킨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10월에도 여전히 벌통 내부에서 SHB의 발육과 번식이 이루어져 늦은 가을까지 SHB의 개체군이 증가할 수 있다. SHB의 한국환경 적응에 대한 더 자세한 분석은 꿀벌에 새롭게 발견된 신규 외래해충의 관리 전략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초고속 유전자 증폭법을 이용한 벌집꼬마밑빠진벌레 (Aethina tumida)의 신속한 검출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Rapid Detection System for Small Hive Beetle (Aethina tumida) by using Ultra-Rapid PCR)

  • 김정민;임수진;;홍기정;윤병수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9-131
    • /
    • 2017
  • 벌집꼬마밑빠진벌레 (Small hive beetle; SHB; Aethina tumida)의 신속검출과 대량 조사를 위하여 SHB 특이 초고속 유전자 증폭법을 개발하였다. 3쌍의 Aethina tumida-특이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들은 벌집꼬마밑빠진벌레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중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유전자에 근거하여 선발하였다. 최적화된 초고속 PCR은 $2.1{\times}10^1$ 분자의 작은벌집딱정벌레 COI 유전자를 18분 40초만에 특이적으로 그리고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다. 양봉현장의 적용을 위하여, 봉변으로부터 쉽게 DNA를 추출하는 방법을 고안하였으며, 봉변 1g 중 $10^5$ 분자의 벌집꼬마밑빠진벌레 COI 유전자가 존재할 경우(1/1000의 SHB 유충 사체), 10분 이내에 벌집꼬마밑빠진벌레의 존재와 분자적 정량을 마칠 수 있었다. 제안하는 이 실험법이 양봉현장에 널리 적용되어, 벌통 내 벌집꼬마밑빠진벌레의 침입여부 판단, 증식의 수준, 그리고 침입지역의 파악 및 제어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황말벌과 꿀벌의 음향 측정과 주파수 특성 (Acoustic Measurements of Wasp (Vespa simillima xanthoptera Cameron) and Honey Bees with their Frequency Characteristics)

  • 김건;김한수;팽동국;임윤규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13
    • /
    • 2019
  • Vespid wasps (Vespa spp.) are the most noxious pests on apiculture, resulting in significant economic losses. Early monitoring and management are the first step to prevent the damages from vespid wasps. In this study, the acoustic signals from wasps and honey bees were measured by a microphone with a preamplifier and an analog-digital converter. In frequency analysis of the acoustic signals from wasps and honey bee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pecies. While the fundamental frequency of the wasps was analyzed to be about 100 Hz with the strong harmonic frequencies, that of the honey bees was about 200~250 Hz. The 2nd harmonic signals from wasp were strongest while the fundamental ones from honey bees were. These different sound features generated by wasps or honey bees might be applied to develop the early monitoring system of the incursion of wasps to the apiary.

Prevalence of honeybee diseases in Incheon area in 2011

  • Ra, Do-Kyung;Jeong, Cheol;Lee, Joo-Ho;Lee, Yun-Mi;Kim, Kyoung-Ho;Han, Tae-Ho;Lee, Sung-Mo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1-117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ccurrence of honeybee diseases in Incheon area, at the point of great widespread of sacbrood disease in the country. Sixteen resident beekeeping apiaries; 3 native honeybee and 13 European honeybee apiaries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Over 20 adult bees were evenly collected from the most colonies of each apiary three times (March, June, November) within a year. In this work, 13 honeybee diseases including 7 viral diseases, 2 bacterial diseases, 2 fungal diseases, and 2 parasitic diseases were detected by preliminary inspections and PCR. As a result, viral infections were confirmed at 34 among 48 apiaries (70.8%) over the entire examination period. Parasitic diseases showed the highest detection rate of 45.8%, which are detected in 44 among 96 cases. In the seasonal prevalence, 30 cases (15.6%) of 7 pathogens were detected from 14 apiaries in March, 50 cases (24.0%) of 9 pathogens and 56 cases (26.9%) of 9 pathogens were detected from all apiaries in June and November, respectively. Nosema was shown to be the most prevalent pathogen from March to November, followed by sacbrood virus (SBV) and stonebrood. The spread of SBV infection in Incheon would be under-estimated by the increasing of detection rate over the time. Especially, Chinese sacbrood virus was detected from 4 European honybee apiaries, but clinical symptoms were not found. No chalkbrood, acute bee paralysis virus, and chronic bee paralysis virus were detected in this study. The effective therapy and preventive measures should be prepared for beekeeping industry.

장수말벌 공격 조기 경보 시스템 프로토타입 설계 및 실내 시연 (Early Alert System of Vespa Attack to Honeybee Hive: Prototype Design and Testing in the Laboratory Condition)

  • 김병순;정성민;김고은;정철의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1-198
    • /
    • 2017
  • 말벌류는 국내 양봉 산업에 가장 큰 피해를 입히는 생물군이다. 다양한 트랩 개발 및 포획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뚜렷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팀은 장수말벌 특이 날갯짓 파동 프로파일 분석을 통하여, 장수말벌이 양봉장으로 공격해 들어올 때 이를 자동으로 탐지하고 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실험실 현장에서 검증하였다. 장수말벌 파동 프로파일은 명확하게 설정되었으며, 앉아서 날갯짓을 할 때와 실재 비행할 때의 파동 프로파일은 명확히 구분되었다. 이정보를 활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고 그 시스템은 장수말벌을 탐지하면 바로 트위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말벌 경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설계하였다. 시스템의 검증은 야외 온실 내 케이지에서 수행하였다. 수행결과 시스템은 성공적으로 말벌의 비행활동을 탐지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였다. 비록 이 시스템은 실내 제한된 조건에서 검증되었지만, 향후 시스템의 개선 및 정확도가 향상된다면 양봉산업 현장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

제한된 공간에서 반달가슴곰의 행동학적 특성 분석 (Behavioural Analysis of Asiatic Black Bear in Limited Space)

  • 정동혁;이배근;양정진;박종성;서의훈;김영기;이희천;이효종;연성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6-258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behavioral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 Asiatic Black Bear in a limited space. Behaviors of eight Asiatic Black Bears were classified into 13 normal stances and locomotor activities, 15 normal maintenance behaviors, 9 locomotory compulsive behaviors, 2 non-locomotory compulsive behaviors through the 3 years of monitoring. The bears had originally been released into the Jiri National Park for Asiatic Black Bear Restoration Project and were withdrawn again because of several reasons such as habituation to humans, and apiary damage. Through the monitoring of 6 hours per day during 3 months, classified behaviors were analyzed based on sex, age, observing month, observing timing, captivity period, and captive form. The total rate of stereotypic behaviors was $26.51{\pm}13.38%$. Among these, RA(Rest_A) was rated high as $47.32{\pm}18.32%$. In addition, SP(Standard pace), HR(Head rear), EP(Extended pace) were most frequently observed behaviors. The time budget of TFS(Two feet stand), SA(Sniff_A) and SB(Sniff_B) on females and younger individual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male and older individuals. So we confirmed that females and younger individuals had more wariness and curiosity. As the period of captivity took longer, the rate of stereotypic behaviors was higher and more stereotypic behaviors were observed in the afternoon. At night, behaviors related with resting like Rest-A, Rest-B, Lying down, Lying on abdomen, Sitting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We concluded that the captive state could affect the behaviors of Asiatic Black Bear and long term research should b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