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artment remodeling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28초

개구부 신설에 따른 병렬 전단벽의 거동특성 (Behavior of Coupling Shear Wall with New Openings)

  • 최현기;최윤철;최창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152-160
    • /
    • 2008
  • 벽식 구조 형식의 아파트는 횡력에 저항하는 주요 부재로 내력벽을 사용하기 때문에 내력벽에 개구부를 설치함으로써 발생하는 단면손실로 인한 내력 손실은 구조물 전체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한 개구부 설치에 따라 발생되는 연결보(개구부 상부의 인방)및 연결 슬래브(인방이 없을 경우)에 대한 평가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구부를 설치한 전단벽의 연결부재에 따른 벽체의 거동특성을 알아보고자 1/2 축소된 2층 독립 전단벽체를 계획하였다. 실험결과 개구부 설치에 따른 유효 단면 감소에 의한 내력 감소가 나타났으며, 강성, 에너지 소산능력 등에 있어 연결부재인 연결보와 연결슬래브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오픈 하우징의 가변성 대응 계획수법 비교 연구 - 일본, 네덜란드, 핀란드의 오픈 하우징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Flexible Design Methods on Open Housing)

  • 김수암;이성옥;황은경;임석호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7-162
    • /
    • 2005
  • It is necessary for us to research and analyze of Open Housing in order to change new housing system, because exiting multi family housing is lack of flexibility and easy remod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y and grasp basic planning and design data for flexibility of Open Housings in Korea. This study is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and actual investigation through visiting 17 open housing sites from 1995 to 2005 in Netherlands, Finland and Japan, which are main Open Housing. We analyzed the planning methods and elements for flexibility of open housing block and unit plan, and described the contents of analyses. We found a lot of planning and design methods-supplying option plan and user participation before occupation, various structural system for openness, common piping shaft location, slab-down and applying access flooring system, movable and demountable partition wall system etc. -applied to the open housings, and findings are applicable to the planning and designing works of apartment housings in Korea.

  • PDF

PC구조 접합부공사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거푸집 개발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Form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PC Structure Connections -Focused on Apartment Buildings-)

  • 김선형;이원석;김선국;이동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1-20
    • /
    • 2010
  • 2005년 11월 건축법 개정을 통해 리모델링이 용이한 라멘구조의 공동주택 신축 시 용적률과 층수 등의 인센티브를 부여함으로써 PC구조적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PC구조의 기둥과 보 접합부는 구조가 복잡하다는 특성 때문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해체하는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현재 접합부 거푸집 설치 시 현장에서 합판 거푸집을 제작 및 설치하여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시공성이 낮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후 해체된 거푸집은 파손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건축 폐기물이 다량으로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 할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외적으로 PC구조 접합부의 구조적 성능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져 왔을 뿐, PC구조 접합부 거푸집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PC구조 접합부공사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거푸집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개선 거푸집 사용에 따른 기존 거푸집과의 비교를 통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 향상의 기대효과를 제시한다.

원단위를 활용한 공동주택의 건설폐기물 산정 자동화 시스템 개발 및 사례분석 (A Case Study and Development of Computing System of Construction Waste for an Apartment by Using the Estimating Waste Units)

  • 김창학;김효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6D호
    • /
    • pp.607-614
    • /
    • 2012
  •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최근의 추세에서 해체산업은 자원의 재활용이나 재생측면에서 중요성이 더욱 커져가고 있다. 주택건립 및 기존주택현황을 고려할 때 해체시장의 규모는 계속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해체폐기단계에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을 정확히 예측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 하다. 그러나 국내에는 이러한 폐기물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의 개발이 미흡하고, 또 이를 적절히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발도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및 단독주택 등의 건설폐기물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해 원단위를 개발하였다. 본 원단위는 공동주택의 도면을 실측 분석하여 원단위를 산정한 후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회귀분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전산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의 적절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회귀모형은 공동주택의 바닥면적 및 세대수를 근거로 22개 폐기물을 비교적 쉽게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모형은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재개발, 재건축 등에서 발생 가능한 폐기물을 정확하고 쉽게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해체물량의 정확한 산정과 예측은 건설폐기물관리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저탄소 및 장수명 공동주택 구현을 위한 Green Frame(GF)의 타당성 분석 (A Feasibility Study of Green Frame(GF) for the Implementation of Low-carbon Emissions & Long-life Housing)

  • 홍원기;김선국;김형근;윤태호;윤대영;김승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7-63
    • /
    • 2010
  • 현재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근간을 이루는 벽식 공동주택은 가변성의 부족, 보수 및 리모델링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단수명화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재건축에 의한 경제적 손실 및 환경 문제는 점차 누적되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국가적 차원의 난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국내 대표 주거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공동주택은 앞으로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 및 생활양식의 변화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평면 가변성에 제약이 있는 벽식 공동주택은 앞으로 지양되어야 하며 가변성이 확보된 새로운 형태의 신개념 공동주택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GF 공동주택은 기존 벽식 공동주택의 단점을 개선하여 공사비 절감과 공사기간 단축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측되며, 가변성이 확보된 장수명 구조물로서 국가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자원 및 에너지 절감 정책에 부응할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저탄소 녹색성장에 발맞추어 국내 건설 산업의 지속가능한 질적 성장을 가능케 하고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CO2 절감 원천기술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그린 프레임의 기둥접합부 특성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Column Connection Characteristics of Green Frame)

  • 김근호;이택운;이성호;김선국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15-425
    • /
    • 2012
  •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수월성, 장수명화, 자원저감, 친환경 구조시스템 구현을 위하여 라멘구조인 그린프레임 공법이 개발되었다 그린프레임의 주요 구조부재인 합성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는 접합부 철골과 콘크리트에 의한 접합으로 신속하고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린프레임의 접합부는 그 형상에 따라 네 종류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종류에 따라 각기 접합 특성과 시공방법이 다르다. 현장상황에 적합한 기둥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기둥 종류별 접합부 특성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둥 종류별 접합부의 공기, 원가, 품질, 안전성능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GF 공법의 설계단계에서 프로젝트 특성을 반영한 적정 합성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을 선정하는데 활용된다.

선 타격 반발도 시험기의 반발도 경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bound Degree Tendency of Linear Hitting Test Hammer)

  • 안효수;서치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313-322
    • /
    • 2005
  • 최근 들어 리모델링시장이 점차 신축시장의 대체시장으로 부각되고, 재건축아파트에 대한 안전진단의 문제가 사회의 주요 관심사가 되면서 기존 콘크리트 구조체의 상태에 대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구조물 진단 및 평가가 요구되고 있으며, 비파괴 시험방법에 의한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추정하기 위한 데이터의 신뢰성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 타격 개념의 반발도 시험기를 적용하여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 재령 및 타격각도에 따라 선 타격 반발도 시험기에 적용할 수 있는 압축강도 추정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선 타격 반발도 시험기는 재령별, 타격각도별로 별도의 추정식을 제안하는 것이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압축강도와 반발도 사이의 상관관계는 초기 및 중기재령, 그리고 타격각도별로 초기재령 $-45^{\circ}$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선 타격 반발도 시험기 25mm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슈미트해머에 비해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주자 안전을 고려한 친환경건축자재의 HCHO 듬급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HCHO Grade of Architectural Material's Standard for Greenness with Consideration for Residents' Safety)

  • 송혁;고성석;정우양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3-140
    • /
    • 2006
  • 1997년 도쿄의정서(protocol)에서는 지구환경오염에 대한 오염원방지를 제안하는 협정으로 우리나라에서도 배출기준에 감소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건축자재에 대한 방출농도 기준을 마련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건축공사에는 많은 종류의 건축자재와 내장재료가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화학기술의 발달로 복합재료로 구성된 건축재료들에 대한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실내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물질로 인하여 재실자들에게 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졸음, 집중력 감퇴 등의 각종 질병을 불러일으키는 '새집 증후군'과 같은 현상을 야기 시켜 건강 상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각 나라마다 건축물에 사용되어 지는 건축자재에 대한 유기 화합물의 방출농도를 최소화하는 친환경 건축자재의 선정을 권고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자재의 TVOCs 에 대한 HCHO의 등급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3D Object를 활용한 건설폐기물의 자동화산정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Automatic Quantification System of C&D Waste By Using 3D Objects.)

  • 김창학;이경희;김효진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88-391
    • /
    • 2008
  • 향후 국내의 주택건설 산업은 신규 택지개발에 의한 주택공급 방식보다는 기존 주택의 재개발 및 재건축에 더 큰 비중을 둘 수밖에 없으며, 현재 그러한 추세가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또한 재고주택 중 공동주택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의 유지보수, 리모델링 및 재건축은 주거지의 슬럼화 방지, 건물성능 저하에 따른 재난방지 등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분야가 되었다. 이에 따라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에 대한 관심 또한 매우 커져가고 있다. 따라서 정부나 민간에서는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을 정확히 예측하고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노력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폐기물의 발생량을 예측하기 위한 기준의 미비로 인해 많은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D 도면과 3D object를 활용하여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을 쉽게 예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주거건물용 이중외피 시스템의 블라인드 조절에 따른 에너지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of a Double-skin Facade with a Venetian Blind in Residential Buildings)

  • 이소연;강재식;김강수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0권6호
    • /
    • pp.1-9
    • /
    • 2010
  • Apartment balcony has been remodeled since the government permitted remodeling in January 2006.But extended balcony has great impact on building heat gain and loss. Therefore It has problems such as increase of heating and cooling energy. So $\underline{t}echnical$ solutions about window solar gain in summer is an urgent mat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nergy performance of a blind in a double-skin facade in residential buildings by using EnergyPlus program. The results show that slat angles of $90^{\circ}$ is best in energy performance if we do not consider daylight. Poorly daylighted living room needs electric light and it also causes high cooling load.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application of blinds controlled automatically is best for energy performance when we consider daylight. Blind slat angles of $50\sim60^{\circ}$ have best performance when blinds are controlled in this angle throughout the day on a clear day in August. Blind slat angles of $0\sim30^{\circ}$ have best performance when blinds $\underline{are\;controlled}$ in this angle throughout the day on a cloudy day (more than 7 of total sky cover) in Augu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