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artment Complexes

검색결과 376건 처리시간 0.022초

주거용 건물의 에너지 실사용량의 불확실성을 내포한 설명변수 인자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정량화 방법 - 서울지역의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The Method of Quantitative Analysis Based on Big Data Analysis for Explanatory Variables Containing Uncertainty of Energy Consumption in Residential Buildings - Focused on Apartment in Seoul Korea)

  • 최준우;안승호;박병희;고정림;신지웅
    • KIEAE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75-81
    • /
    • 2017
  • Purpose: The energy consumption of apartment units is affected by the lifestyle of the residents rather than system technology. In this study the numerical analysis of assumed energy consumption correlation factors with arbitrary value due to uncertainty. It is intended to be used as a simulation correction value which can be utilized as a predicted value of actual energy usage. The correction value of the simulation is set in the developed form of the existing process that derives the actual usage amount. The simulation results used in the existing evaluation system are used to maintain the useful value as the current system evaluation scale and predict the actual capacity. Method: The method of the study is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data frames of all complexes capable of collecting the annual energy usage and to reconstruct the population by adding the variables that are expected to be correlated. Repeat the data frame configuration with variables that are assume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energy use levels. Determine whether there is correlation or not. The intensity of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equipment related to the energy consumption is presented as the quantitative value. Result: The correlation between electricity consumption and trading price since 2010 is analyzed as (Correlation coefficient 0.82). These results are higher than (Correlation coefficient 0.79), which is the correlation between residential area and trading price. This paper signifies the starting point of the methodology that broadens the field of view of verification of simulation feasibility limited to the prediction technique focused on the simulation tool and the element technology scope.The diversified phenomenon reproduction method develops the existing energy simulation method.It can be completed with a simulation methodology that can infer actual energy consumption.

강남 개발과 강남적 도시성의 형성 - 반공 권위주의 발전국가의 공간선택성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Gangnam and the Formation of Gangnam-style Urbanism : On the Spatial Selectivity of the Anti-Communist Authoritarian Developmental State)

  • 지주형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07-330
    • /
    • 2016
  • 이 논문은 한국의 압축도시화의 한 사례이자 표준으로서 서울의 강남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남 및 강남 스타일의 도시화는 유례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급속한 도시화가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그 이전의 한국의 도시화 양상 및 서구의 도시와 구별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현대 한국의 삶에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매우 중요한 하나의 모델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매우 크다. 하지만 그럼에도 강남의 독특한 도시성(urbanism)이 어떠한 사회적 조건에서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선망이 되는 물질적 풍경이자 생활양식으로서의 강남적 도시성의 특징을 서술한다. 강남적 도시성은 물질적 공간의 측면에서 중상층이 주거와 자산증식을 위해 소유하는 고급 고층 아파트 단지를 특징으로 하고, 사회문화적 생활양식의 측면에서 정치적 보수성, 사적몰입과 공적 무관심, 학력, 외모, 패션 등에서의 경쟁, 유흥문화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강남적 도시성의 원형은 한국 반공 권위주의 발전국가 전략의 공간선택성 속에서 매우 짧은 시간에 압축적으로 형성되었다. 즉 그것은 북한과 대치상황 및 서울로의 인구집중 속에서 강북개발과 영등포개발을 억제하고 강남개발과 아파트를 통해 인구를 급히 분산하고 수용해야 했던 반공주의 국가의 필요성, 서민과 도시빈민을 도시개발에서 공간적으로 배제하는 권위주의 국가의 특성, 그리고 예외공간과 가격왜곡을 통해 건설자본과 중산층에 특혜를 부여하고 강남의 아파트 건설과 불균등 발전을 촉진한 발전국가의 선별적 주택산업정책이 결합되어 만들어낸 공간 선택성에 의해 상당 부분 설명될 수 있다.

  • PDF

공동주택 제로에너지빌딩 인증을 위한 적정가산비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Additional Cost for the Certification of Zero Energy Apartment Buildings)

  • 사용기;한찬훈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21-30
    • /
    • 2019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기온과 화석연료 고갈 등 환경과 에너지문제는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중대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축물 에너지 절감 및 온실가스 감축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혁신적인 건축물로서 제로에너지빌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추가되는 건설비용은 제로에너지 인증 활성화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민간 분양아파트를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초기 설계단계부터 제로에너지 인증을 위한 세부 요소들을 친환경주택 건설기준에 근거하여 제시하였으며, 인증 세부요소들의 비용효율분석을 통해 적정 가산비용을 제시하였다. 아직까지 기술수준과 물리적인 한계로 인하여 공동주택에서는 3등급까지만 인증이 구현 가능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생애주기동안 비용추이를 검토해본 결과 아직까지 제로에너지빌딩 5등급의 경우에서만 준공 후 13년 이내 모든 비용의 회수가 가능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앞으로 발주예정인 공동주택 사업 검토 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추가사업비가 적절히 반영되어 제로에너지빌딩 인증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울산시 태화강 수변 경관 변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nges in Riverfront Landscape of Taehwa River, Ulsan City)

  • 정민기;한삼건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8호
    • /
    • pp.117-128
    • /
    • 2018
  • The central of Ulsan was formed and has been developed in alluvial plains the Riverfront of Taehwa River and Dongcheon River Fortresses including Gyebyeonseong of the late Silla, Chisoseong of the Goryeo, Ulsan Gyeonsangjwabyeongyeongseong, Ulsaneupseong, Ulsanwaeseong and Yeompoyeongseong as well as Gugangseowon and Old Ulsanhyanggyo and other facilities well display such fact. In the southern areas of Taehwa River, Byeokpajeong of Samsan, Buddhist temples and pavilion architectures used to be located. In its upstream areas, Eonyangeupseong, Eonyanghyanggo, Banguseowon and Daegokcheon Petroglyph exist as well. As such, the Riverfront of Taehwa River are a central space where the civilization of Ulsan has grown and developed, and are regarded as a core scenic asset of Ulsan. However, the look and nature of Taehwa River changed significantly due to Ulsan irrigation project and the construction of modern bridges such as Ulsangyo and Ulsan railway bridg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he old look of the area started to be ruined by water contaminations and developments of waterfront lands that resulted from the development of Ulsan Industrial Center in 1962. The water quality of Taehwa River has been improved as a result of allotting a huge budget and administrative powers before and after 1997, the year when Ulsan was elevated to a metropolitan city. However, the surrounding views around Taehwa River changed greatly due to various urban development projects including apartment complex constructions. This is because the development of the Riverfront started from a land utilization project, in which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complexes was included in the initial phase; as a result, the areas were changed to be private scenic assets for those apartments. Aware of such issu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major scenic elements that were present in the period before such developments in the river's surrounding areas from literature and geography materials; and to reveal how various urban development projects that have been performed from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have changed the scenic elements of Riverfront of Taehwa Ri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nges in scenic elements of the Riverfront of Taehwa River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ulting changes in the surrounding scenery.

공동주택 경량 바닥충격음 저감성능 예측을 위한 바닥마감재 간이측정 방법 연구 (Research on simple measurement method of floor finishing materials to predict lightweight floor impact noise reduction performance in apartment houses)

  • 강민우;오양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94-602
    • /
    • 2023
  • 현재까지 바닥충격음은 중량 바닥충격음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경량 바닥충격음의 경우 뜬 바닥구조만으로 충분히 차단성능을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뜬 바닥구조에서 중량 바닥충격음의 경우 바닥완충재의 동탄성 측정을 통해 저감성능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사후 확인 제도의 도입으로 인해 다양한 바닥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완충재가 사용되지 않는 바닥구조에서는 경량 바닥충격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닥마감재이다. 하지만 바닥마감재에 대한 탄성이나 물성을 측정하여 경량바닥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 하기 위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사후 확인 제도 도입 이후 중요해 질 수 있는 바닥마감재의 경량바닥충격음 저감성능 예측하고자 하였다. 공동주택 바닥마감재로 사용되는 다양한 재료를 선정하여 실제 실험실에서 경량바닥충격음 차음성능을 측정하고 간이 실험으로 진동 전달특성 파악을 통해 경량바닥충격음 예측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장소기억의 매개로서 느티나무의 의미 고찰 - 역말 원주민과 도곡동 경남아파트 이주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aning of Zelkova serrata as a Medium of Place Memory - Focused on the Natives of the Village and the Migrant of Keangnam Apartment in Dogok-dong -)

  • 함연수;성종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2-55
    • /
    • 2021
  • 본 연구는 도곡1동 경남아파트 단지 내에 위치한 약 760년된 느티나무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함께 관계하며 살아왔던 과거 역말의 원주민들과 재개발 이후 입주한 이주민들의 기억을 조사하였다. 장소기억은 1980년대 이후 새롭게 조명된 개념으로 장소에 대한 감정과 생생한 기억의 흔적을 바탕으로 장소에 남겨진 다층적 기억을 연구하고 기록하는 새로운 연구 방법론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1970년대에 시작된 강남의 도시 개발은 느티나무가 위치하던 역말 주민들의 삶 터를 아파트 단지로 빠르게 바꾸었다. 평생의 터전으로 살아왔던 역말 원주민들은 전국 각지로 뿔뿔이 흩어지게 되었고, 이주민들이 새롭게 입주하였다. 그 과정에서 느티나무는 시대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관리되며 거주민 또한 서로 다른 방식으로 관계를 맺게 되었다. 역말 주민들은 느티나무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단오 때 그네뛰기를 하기도 하고, 마을 제사를 지낼 때 신의 강림처로 인지하였다. 즉 삶과 죽음의 전 과정을 함께하며 주민들의 생활사에 따라 다양한 역할이 부여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체험되던 직접적인 체험공간이자 역말 주민들의 집단기억이 녹아있는 장소이기도 하다. 반면 경남아파트가 건설되면서 보호수에 대한 관리가 엄격해짐에 따라 이주민들은 느티나무에 접근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현재는 시각적 향유를 중심으로 나무를 즐기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으며, 매년 열리는 역말도당축제를 통해 일시적으로 도시 공동체와 공동의 기억을 형성한다. 나무를 의인화하며 정신적 위안을 얻는 모습도 발견할 수 있었다. 도시 배경 속에서 노거수의 자연성이 부각되어 '유일함과 특별함'이라는 상징성을 획득하기도 하였으며 주민들은 이를 통해 아파트 단지에 대한 자부심과 장소애착을 갖기도 하였다. 두 주체의 느티나무에 대한 기억을 통해 시간의 층위에 따라 쌓여온 느티나무의 장소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대도시에서 느티나무 보호수가 지니는 가치 및 관리 방향을 고찰하는데 있어 '사람들의 기억'을 중심으로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도시경관을 고려한 해안지역 공동주택의 높이관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해안지역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 (A Study on Measures to Improve the System to Control the Heights of Apartments in Coastal Areas Considering City Scenery - For Apartments in Coast Region in Busan Metropolitan City -)

  • 김종구;김유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377-386
    • /
    • 2013
  • 공동주택이 고층화됨에 따라, 고층 공동주택 거주자들은 이익을 누리는 반면에 건축물 배후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주거 환경에서 많은 문제를 경험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중에서도 특히 공동주택의 높이가 도시경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사례 연구 및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해안지역의 공동주택 단지나 건축물들에 한해서는 그에 적합한 높이관리의 규제를 마련하여 여러 가지로 난립되어 있는 높이에 관한 제도들을 총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불안요소들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부경대학교 주변 지역의 지리정보시스템 자료를 이용한 3차원 일조 환경 평가 (Assessment of 3-Dimensional Sunshine Environment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Data aroun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김은령;박수진;김재진;남경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6-13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지형 지물의 일조 차단 효과를 반영한 일조 모델을 이용하여 도시 지역의 일조 환경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일조 모델은 격자셀 단위로 일조 차단 유무를 판별하기 때문에, 건물이나 지형물 모서리 부분의 일조 유무를 판단 할 때에는 오차가 유발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격자셀 단위의 일조 판별 알고리즘을 격자셀의 면 단위로 개선하였다. 개선된 일조 모델과 부산광역시 대연동 일부 지역에 대한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자료를 이용하여 계절별 시간별 일조 환경을 분석하였다. 3차원 지형 자료에 대한 계절별 일조 환경을 분석한 결과, 대상 지역 내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 고층 건물, 지형 등의 영향으로 일조량 변화가 발생하였다.

용인시 도시경관 개선을 위한 경관의식 조사 - 시민, 공무원, 개발사업자를 대상으로 - (Landscape Awareness Survey for Improvement of Urban Landscape in Yong-in city - Focusing on Residents, Government Officials, and Developers-)

  • 성현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6호
    • /
    • pp.1-13
    • /
    • 2003
  • This study aims at conducting an awareness survey of three parties, namely, citizens, government officials, and developers for improvement of urban landscape and, based on the survey result, to suggest a direction to develop a landscape plan for improvement of urban landscape of Yong-in city in the future.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case of Yong-in, the main drivers of forest landscape destruction were "residential complexes developed for apartment buildings" and "golf courses", the driver of river landscape damage was "the status of cleanliness of riverside and poor facilities", the driver of roadside landscape damage was "construction sites" that completely eliminate original natural landscape in both citizen and government official groups. When granting development-related approvals in the future, appropriate actions should be prepared such as developing a landscape management guideline or including a landscape plan in advance to assure plans and designs fully reflecting landscape. Second, citizens' commitment to participate in urban landscape creation and improvement was rated high at even willing to tolerate regulations including restriction of property rights. In the future, landscape improvement programs allowing resident participation should be developed proactively. The roles of government officials include preparing various criteria at a city level and convincing and guiding citizens to initiate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 together with citizens and developers through proactive efforts by government officials. Third, the role of developers would be to realize development projects conserving local environment and/or harmonizing with local natural environment before preparing a development plan or launching construction rather than offering various considerations after executing development projects.

교통운영에 따른 도로변 공동주택의 도로교통소음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Road Traffic Noise at the Roadside Apartments according to the Traffic Management)

  • 정재훈;육동근;송보경;김형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38
    • /
    • 2009
  •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후 시행된 도시계획사업을 통해 도시지역에 대규모 주택단지 및 주거지역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지역에서는 공동주택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도로변공동주택의 도로교통소음이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었다. 그리고 1980년대 후반이후 공동주택은 15층에 머물던 공동주택은 20-30층의 초고층의 형태로 변모하였고, 최근에는 40층 이상의 공동주택이 등장하면서 도시지역의 주거밀도는 더욱 고밀화 되면서 이로 인하여 도로교통소음은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도로변에 위치한 공동주택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 교통량, 통과속도를 변수로 하여 소음지도를 구축하여 저감효율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과는 교통량과 속도제한의 증감에 따른 변화는 한정된 공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버스중앙차로제는 도로변에 약간의 영향만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