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게오르그 짐멜(2005).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새물결출판사.
|
2 |
이재민(2017). 도시놀이 프로젝트. 공간의 기억과 도시의 발견. 드라마연구. 53(-): 127-160.
|
3 |
이무용(2006). 장소마케팅 전략의 문화적 개념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41(1): 39-57.
|
4 |
두철언, 이종범, 이재근(2012). 김포시 보호수의 생육실태와 관리방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1): 125-134.
|
5 |
김혜란, 김동엽, 박준석, 이기의, 박원제. (2010). 강원도 보호수의 현황과 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1): 12-26.
|
6 |
서정영, 이영이, 나명하, 이재근(2009). 보호수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환경개선에 관한 연구-화성시 보호수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93-102.
|
7 |
이시영, 문창순, 심준영(2008). 보호수를 활용한 도심 소공원 조성에 관한 연구-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인간식물환경학회지. 11(2): 9-17.
|
8 |
정찬영, 이훈(2019). 관광객의 집단기억과 장소정체성 형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군산시 근대문화유산을 중심으로. 관광 연구논총. 31(4): 97-120.
|
9 |
가스통 바슐라르(2003). 공간의 시학. 동문선.
|
10 |
Cresswell, T. (2004). Defining place. Place: A Short Introduction. Malden, MA: Blackwell Ltd, 12.
|
11 |
전종한. (2013). 도시 '본정통'의 장소 기억: 충무로.명동 일대의 사례. 대한지리학회지. 48(3): 433-452.
|
12 |
김지나, 조경진, 박한솔. (2017). 구철원 시가지의 장소기억 재구성. 국토연구, 105-125.
|
13 |
이푸투안(1995). 공간과 장소. 도서출판 대윤.
|
14 |
유병림, 황기원, 정영선, 김종원, 문석기, 최명섭, 성종상, 민성훈, 조재형(1995). 도곡 제1지역 아파트 건설에 따른 보호수 생육환경영향평가 및 보호관리방안
|
15 |
위경혜(2012). 1950 년대 '굿쟁이'이동영사: 유랑예인 연행과 시각적 근대의 매개. 지방사와 지방문화. 15(2): 197-228.
DOI
|
16 |
이푸투안(2011). 토포필리아. 에코리브르.
|
17 |
여진원, 장우권(2015). 도시 기록화 구성요소 도출을 위한 실험적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575- 598.
DOI
|
18 |
심혜련(2008). 공간과 기억 도시 공간과 흔적, 그리고 산보자(공간정책의 인문학적 기초 조성을 위한 연구(II)편 제 3부 공간과 기억). 건축도시공간연구소. pp.147-165.
|
19 |
박승규(2016). 감성지리학의 지리교육적 의미 탐색-심미적 감성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4): 1-11.
|
20 |
이영준, 김진영(2019). 보호수를 활용한 '나무 순례길'개발. 글로벌문화콘텐츠. 40(-): 41-63.
|
21 |
유주한, 박경훈, 이영한(2011). 창원시 보호수의 분포현황과 실태진단.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1): 59-70.
|
22 |
정태열, 김은진(2017). 농촌마을의 커뮤니티 공간 조성을 위한 보호수 잠재력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45(1): 73-81.
DOI
|
23 |
한국학중앙연구원. 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
|
24 |
양재혁(2016). '기억의 장소' 또는 '망각의 장소'. 수선사학회. 57(-): 71-100.
|
25 |
알라이다 아스만(2011). 기억의 공간 문화적 기억의 형식과 변천. 그린비.
|
26 |
서울역사편찬원, 서울지명사전 '역삼동. https://history.seoul.go.kr/nuri/etc/sub_page.php?pidx=146579435936&page=695&CLSS1=0&CLSS2=&first_con_text=
|
27 |
박재민(2013). 장소기억으로 해석한 근대 산업경관 : 근대 산업도시 장항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8 |
정욱주, 윤상준(2014). 서울시 보호수를 대상으로 한 노거수 공간의 문화적 활용 가치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환경복원기술). 17(1): 215-233.
DOI
|
29 |
오문선(2007). 대호 이융조교수 정년기념 특집호: 도시지역 마을제사 전승사례 연구-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역말도당제를 중심으로. 충북사학. 18(-): 557-583.
|
30 |
강남개발과 마을공동체의 해체 - 압구정동, 대치동, 역삼동 지역원주민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중 김왕경 (사료철 COH013_02_00A0002) 구술자료 참고. 국사편찬위원회 - 2016년도 수집 구술자료.
|
31 |
박광운, 장정태, 박래교, 김성혜(2012). 강남 역말도당제. 보성문화사. p.63.
|
32 |
오토 프리드리히 볼노(2011). 인간과 공간. 에코리브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