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tuberculous treatment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9초

BCG림프선염의 치료 (Management of BCG Lymphadenitis)

  • 오정탁;김인규;한석주;황의호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3권2호
    • /
    • pp.143-147
    • /
    • 1997
  • Bacillus Calmette-Guerin(BCG) lymphadenitis is a complication of post-BCG vaccination and its treatment is still controversial. Eighty patients who had been operated for BCG lymphadenitis from 1987 to 1996 were reviewed. Thirty-one of them were treated with antituberculous drugs(mean duration: 3 months) preoperatively and 49 patients were not given preoperative antituberculous medication. No one was treated with antituberculous drugs postoperatively. Operation methods were excision(72) and partial excision with curettage(8).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recurrence rate between groups In two patients(2.5 %) treated with preoperative antituberculous drugs, the lesions recurred after oper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reoperative antituberculous medication does not play any role in the treatment of BCG lymphadenitis and in preventing recurrence in surgically excised cases.

  • PDF

경부 결핵성 림프절염에서 외과적 절제수술후 항결핵제 요법시의 치료 성적 (The Treatment Result of Antituberculous Chemotherapy Followed by Surgical Excisions in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 박동은;김상호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2-196
    • /
    • 2002
  • Objectives: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is a frequently recurring disease when treated with chemotherapy alone without enough surgical removal of the tuberculous lesions. Authors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treatment result of antituberculous chemotherapy following almost complete surgical removal of tuberculous foci in the neck.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clinical review and analysis was made in 127 cases of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patients treated during the past 10 years from 1989 to 1998 at the Department of General Surgery, Inje University Paik Hospital, Pusan. Results: 1) The peak age incidence was the 2nd decade(37.8%), and female was predominated over male by 2.3:1. 2) The time interval from the onset of symptoms to the first visit was less than 3 months in 60.6% of the patient. 3) The location of lymphadenitis was the right neck in 60%, the left neck 34%, and bilateral in 6% of the patient. 4) Signs on the first visit showed solitary masses(60%), abscess(25%) and both mixed(15%). 5) 25 patients(19%) had present or past history of tuberculosis; pulmonary tuberculosis 12 patients, tuberculous lymphadenitis 10 patients, and others 3 patients. 6) Locations of tuberculous lymphadenitis were posterior cervical triangle 70, supraclavicular 51, submandibular 19, anterior triangle 16 and others 4 cases. 7) The principle of treatment of cervical lymphadenitis was surgical management followed by chemotherapy. Surgical procedures were excision(s), curettage and drainage of abscess, combination of both, and biopsy in 60%, 22%, 12% and 6% respectively. Mean duration of antituberculous medication was 9 months after surgery. 8) The rate of recurrent and persistent tuberculous lymphadenitis was 9% in 4 years follow up. Conclusion: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is a frequently recurring disease in young adult when only antituberculous chemotherapy was employed without almost complete removal of the lesions. It is considered that antituberculous medications for 6-9 months after removing the foci at a maximal extent by surgical excision and curettage will reduce the recurrence rate or persistence of tuberculous lymphadenitis.

역설적 두개강내 결핵종 10예 (10 Cases of Paradoxical Expansion of Intracranial Terculomas During Chemotherapy)

  • 민양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3호
    • /
    • pp.260-264
    • /
    • 2001
  • 연구배경 : 역설적 두개강내 결핵종이란 항결핵 치료 중 발생하거나 커지는 결핵종을 말한다. 그러나 이 병의 자연경과나 치료법등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연구방법 : 항결핵 치료 후 두개강내 결핵종이 발견되었거나 결핵종이 커진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역설적 두개강내 결핵종은 항결핵제 치료 시작 후 평균 67.9일 후 발견 되었다. 결핵종은 발견 후 평균 102.3간의 악화소견을 보였으며 165.4일후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다. 뇌 척수액 소견은 결핵종 발견당시 악화되었다가 결핵종이 호전되면서 같이 호전 되었다. 결 론 : 역설적 두개강내 결핵종은 특별한 증상 없이도 발생할 수 있다. 이 결핵종은 독립된 하나의 질병 혹은 반응이 아니라 두개강내 결핵종 혹은 결핵에서 치료에 대한 자연경과 이던지 치료에 약간 반응이 떨어지는 경우일 것일 수 있다.

  • PDF

Spontaneous Splenic Rupture as a Paradoxical Reaction during Treatment for Splenic Tuberculosis

  • Yeo, Hye Ju;Lee, Soo Yong;Ahn, Eunyoung;Kim, Eun Jung;Rhu, Dae Gon;Choi, Kyoung Un;Lee, Seung Eun;Cho, Woo Hyun;Jeon, Doosoo;Kim, Yun Seo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5권5호
    • /
    • pp.218-221
    • /
    • 2013
  • This report describes a rare case of a patient with splenic tuberculosis (TB) who developed spontaneous splenic rupture after 10 weeks of antituberculous chemotherapy. The patient responded well to the antituberculous regimen prior to the spontaneous splenic rupture. We considered a paradoxical reaction as a cause of the splenic rupture. The patient underwent splenectomy and continuously received initial antituberculous drugs without change.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pontaneous splenic rupture as a paradoxical reaction to antituberculous chemotherapy in an immunocompetent host with splenic TB.

결핵 치료 중 나타나는 관절 증상 (Joint Symptoms During Antituberculous Chemotherapy)

  • 김상철;백재중;이태훈;정연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2호
    • /
    • pp.162-168
    • /
    • 2000
  • 배경 : 항결핵제 투여시 나타나는 관절 증상은 경우에 따라서는 증상의 정도가 심해 일상 생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약물 순응도를 저하시키기도 하므로 항결핵제 투여시 발생하는 관절 증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 이에 대해 체계적으로 기술되어 있는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방법 : 6개월이상 항결핵제 3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치료 경과 중 특별한 다른 원인이 없이 나타나는 관절 증상에 대해 조사 하였으며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 비증상군과 비교함으로써 관절 증상 발생 및 이와 관련한 위험 인자를 확인하였다. 결과 : 관절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가 33명중 19명으로 증상 유병률이 58% 에 달하였으며, 증상은 약물 투여 시작 후 1.9$\pm$1.4개월에 나타나서 3.6$\pm$2.5개월 지속되었다. 한 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여러 관절을 침범하며 어깨관절과 무릎 관절이 각각 10명(53%), 손가락 관절 6명(32%)으로 흔하였다. 대부분의 환자가 항결핵제의 중단 또는 변경 없이 증상이 자연 소실되었으나, 14명(74%)의 환자는 치료 중 관절 증상에 대해 진통제를 복용하였다. 원안을 확인하기는 쉽지 않았으며 PZA 이외의 약물도 증상 발현에 관여 할 것으로 보인다. 비증상군과의 비교에서 연령, 성별, 기저질환, 치료 전 및 치료 중간의 혈중 요산 농도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결론 : 항결핵제 투여 중 관절 증상의 발생은 혈중 요산 농도와 관련이 없으며, 이런 증상은 PZA 이외의 다른 약제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으므로 증상이 심해 약을 중단하거나 대체해야 할 경우 이를 고려 하여야 한다.

  • PDF

항결핵제에 다른 반응을 보인 속립성 폐 결절과 두개강내 결절 1예 (A Case of Different Response of Miliary Lung and Intracranial Nodules to Antituberculous Therapy)

  • 박광영;이호진;정재욱;최윤희;남승범;안세환;김철현;이재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2호
    • /
    • pp.153-157
    • /
    • 2008
  • 항결핵제 치료 도중 병변이 악화되거나 새로 생기는 경우 일시적인 역설적 반응과 치료 실패를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역설적인 반응은 폐외 결핵, 특히 림프절과 중추신경계 결핵에서 잘 나타나는데 기존의 약제를 그대로 사용하더라도 일반적으로 잘 치유가 된다. 저자들은 속립성 폐결절이 항결핵제 투여 후 호전되고 있었으나 두개강내 결절은 오히려 악화된 소견을 보였지만 치료 약제를 변경하지 않았음에도 결국 치유된 역설적 반응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항결핵치료 종료후 발생한 농흉 (Empyema Occurred after Completion of Antituberculous Chemotherapy)

  • 윤기헌;유지홍;강홍모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6호
    • /
    • pp.554-558
    • /
    • 1992
  • A 38 years old man had been treated as a pulmonary tuberculosis by the positive result of acid fast stain of bronchial washing from the focal infiltrative lesion at left lower lobe. On radiologic examination after one year treatment, there was an aggravation of lesion at left lower lobe with moderate amount of pleural effusion at the same side. After 11 weeks, follow up chest film disclosed bilateral pleural effusion. The pleural fluid of both side was pus in gross appearance with low pH, high LDH, low glucose and high protein. Pleurodectomy was performed to remove the loculated empyema with the thickened pleura of right thorax. This pleuro-pulmonary lesion can be easily misdiagnosed as a tuberculous lesion if it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as a possible diagnosis.

  • PDF

속립성 뇌결핵의 초기 자기공명영상 소견과 치료 후 변화 (MR Imaging of Disseminated Tuberculosis of the Brain in a Patient with Miliary Tuberculosis : Initial Findings and Changes Six Months after Antituberculous Therapy)

  • 장재호;임재우;정순이;최규철;한태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2호
    • /
    • pp.1596-1600
    • /
    • 2002
  • 저자들은 속립성 결핵으로 진단한 23개월된 여아에서 신경학적인 증상이 나타나기 전인 초기의 속립성 뇌결핵에서 뇌자기공명영상 소견 및 치료에 따른 경시적 호전 양상의 변화를 자기공명영상소견으로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난치성 다제내성 폐결핵에서 피하주사 Interferon-gamma 치료의 효과: 예비연구 (The Adjuvant Effect of Subcutaneous Interferon-gamma in the Treatment of Refractory Multidrug-resistant Pulmonary Tuberculosis)

  • 김은경;심태선;이정연;오연목;임채만;이상도;고윤석;김동순;김원동;김우성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3호
    • /
    • pp.226-233
    • /
    • 2004
  • 연구 배경 : IFN-${\gamma}$는 결핵에 대한 방어기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이다. 최근 일부 다제내성결핵 환자에서 치료제로써 사용되어 왔으나 아직 그 효과는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난치성 다제내성폐결핵 환자에서 피하주사 IFN-${\gamma}$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 : 6명의 다제내성폐결핵 환자에서 기존의 항결핵치료를 유지하면서 200만 IU의 IFN-${\gamma}$를 1주 3회, 피하주사하였다. 16주간 치료후 반응이 없으면 치료를 중단하였고, 반응이 있거나 판정이 모호한 경우에는 12주간 더 연장하여 사용하였다. 치료중 4주간격으로 객담 항산균 도말 및 배양검사, 임상상, 및 단순흉부촬영을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환자는 남녀비가 4:2이었고 평균 연령은 37세(15-61)이었다. 5명에서 과거 폐결핵의 기왕력이 있었다. 약제감수성검사상 isoniazid와 rifampicin을 포함하여 평균 6.8(${\pm}1.2$)개의 항결핵약제에 내성을 보였고, IFN-${\gamma}$ 치료 전 10.8개(${\pm}1.3$) 약제를 투여하였다. IFN-${\gamma}$ 치료 28주 후 총 2명에서 균음전되었다. 그러나 IFN-${\gamma}$ 종료후 다시 균배양 양성으로 재발되었다. 모든 환자에서 IFN-${\gamma}$ 피하주사를 종료할 만한 중증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일부 난치성 다제내성폐결핵 환자에서 피하주사 IFN-${\gamma}$ 병합치료는 균음전 및 치료성공을 유도하였다. 추후 최적 용량, 치료기간, 투여경로, 및 반응의 예측인자를 찾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항결핵제 투여후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추적한 폐결핵 환자들의 치료반응 관찰 (Monitoring of Pulmonary Tuberculosi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fter Antituberculous Treatment)

  • 전창호;서헌석;이상채;현대성;안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5호
    • /
    • pp.935-941
    • /
    • 1998
  • 배 경: 중합효소연쇄반응은 폐결핵의 진단에 유용한 검사법으로 도입되어 각 병원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사균과 생균이 모두 양성으로 증폭되기 때문에 결핵환자들의 경과관찰에는 적당하지 못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항결핵제 투여후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에서 음성으로 전환되는 예를 발견하여, 항결핵제 투여후 중합효소연쇄반응의 음전여부와 음전시기를 알아 보고자하였다. 방 법: 1996년 12월 1일부터 1997년 10월 31일까지 대구효성가톨릭 의료원을 방문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에서 양성이 나온 16례의 폐결핵환자들을 대상으로, 항결핵제 투여하고 2주-1개월 간격으로 객담을 채취하여 총 113 검체를 대상으로 균배양, 항산성염색 및 중합효소연쇄반응법 등의 추적검사를 시행하였다. 폐결핵 환자들은 흉부 방사선 소견에 따라 분류하였고, 임상경과는 항결핵제 투여 후 1년간 관찰하였다. 결 과: 항결핵제를 투여한 16명의 환자들은 중합효소연쇄반응법에서 모두 30주 내에 음전되었고 평균 음전기간은 $16{\pm}8$주였다. 대상군은 흉부상사선 소견상 경증 8례, 중등도 4례 및 증증 4례로 분류되었고, 각각의 평균 음전기간은 경증 $9{\pm}5$주, 중등 $20{\pm}8$주 및 중증 $23{\pm}2$ 주였다. 항결핵제에 감수성을 보인 예에서는 약제를 복용함에 따라 중합효소연쇄반응 산물이 점차 감소하다가 증폭되지 않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 론: 중합효소연쇄반응이 양성이었던 폐결핵환자들은 항결핵제 투여 후 30주 이내 모두 음전되었고, 폐침윤 정도가 넓을수록 평균 음전기간이 길었으며, 항결핵제로 치료함에 따라 중합효소연쇄반응 산물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중합효소연쇄반응은 폐결핵 환자들의 치료반응 판정과 효율적인 경과 관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