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tive enzyme

검색결과 447건 처리시간 0.028초

Physiological Responses and Phytoextraction Potential of Pinus thunbergii on Cd-contaminated Soil

  • Han, Sim-Hee;Kim, Du-Hyun;Ultra, Venecio U. Jr.;Lee, Jae-Cheon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5호
    • /
    • pp.711-719
    • /
    • 2010
  • We investigated physiological responses and phytoextraction ability of Pinus thunbergii in cadmium contaminated soil as part of our efforts in identifying plant materials for the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of forest soil contaminated by heavy metals. Thirty seedlings (ten per treatment) were assigned to three treatments (control, 0.3 and 0.6 mM $CdSO_4$ solution) at first year experiment. At second year, ten seedlings per treatment treated with Cd during the first year experiment were divided by two groups (no Cd-treated and consecutive Cd-treated group). At first experiment, photosynthetic pigment content,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glutathione reductase (GR) activities have significantly reduced by Cd application, and the reduction rate was increased much higher as the rate of Cd application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iol and malondialdehyde (MDA) conten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e application of 0.6 mM of Cd. At the second year experiment, a general increase in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 was observed with Cd treatment while SOD and GR activities showed a relative redu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Similar to the first year measurement, thiol and MDA contents also increased considerably due to Cd treatment. At harvest, dry matter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Cd treatment especially at the rate of 0.6 mM Cd, but dry yield of P. thunbergii treated with 0.3 mM Cd was less affected and it was comparable with the control seedling. Cadmium concentration in seedling tiss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Cd application rate while Cd uptake was higher in seedlings supplied with 0.3 mM Cd, which could be ascribed to their high dry matter. Overall, our study has demonstrated the unique physiological response of P. thunbergii to Cd-prolonged exposure by showing that the changes in photosynthetic pigment content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were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and duration of treatment. In addition, our results have demonstrated the potential of P. thunbergii to withstand up to 0.3 mM Cd (equivalent to cumulative Cd concentration of 134.4 to 268 mg $kg^{-1}$) without showing growth reduction, hence it might be used for phytoremediation of Cd contaminated areas.

선학초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The Antioxidative and Antitumor Activity of Extracts of Agrimonia pilosa)

  • 민경진;송진욱;차춘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9-156
    • /
    • 2008
  • 선학초 메탄올 추출물을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분획하고 각각의 분획별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조사하였다. 항산화 활성으로 총페놀,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을, 효소 저해 활성으로 XOase 저해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암세포인 HT-29, SNU-1, HeLa 세포에 대한 성장 저해 활성을 조사하여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EtOAC와 BuOH 분획에서 39.89%, 39.56%로 가장 높았고, 전자공여능 또한 EtOAC 분획에서 92.90% ($500\;{\mu}g/ml$), 94.47% ($1000\;{\mu}g/ml$), BuOH 분획에서 93.77% ($500\;{\mu}g/ml$), 92.90% ($1000\;{\mu}g/ml$)로 90% 이상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도 $1000\;{\mu}g/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이었으며, XOase 저해활성은 93.06% (EtOAC) 와 91.73% (BuOH)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암세포 성장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hexane 분획에서 가장 높았고 HT-29에 대해 11.63%-90.07%, SNU-1에 대해 16.84%-95.11%, HeLa에 대해 4.44%-96.40%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선학초의 EtOAc, BuOH 분획물은 항산화 활성이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hexane, chloroform 분획은 위암, 대장암과 자궁경부암 치료보조제로서의 개발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족삼리(足三里) 전침(電鍼)이 흰쥐의 노화(老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A Study on Anti-aning of Electroacupuncture at Joksamni($ST_{36}$) in Rats)

  • 이준성;임윤경;김영일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145-161
    • /
    • 2007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at Joksanmi($ST_{36}$) on Rat's aging by experimental methods. Methods : The author performed several experimental procedures to observe the effects of the EC-HAS at the arthritis. First, I measured the cell survival rate of the mice lung fibroblasts. Second, the incidence rate of arthritis and arthritis index of CIA were analyzed. Third, the levels of IL-6, $INF-{\gamma}$ , $INF-{\alpha}$ , $IL-1{\beta}$, IgG, IgM and anti-collagen II were measured in serum and the level of $INF-{\gamma}$, $INF-{\gamma}$/IL-4 ratio in the CIA mouse spleen cell culture. Fourth, histological analysis of the mice joint was performed. Fifth, the expression ratio of $CD3e^+$ cells to $CD19^+$ cells, $CD4^+$ cells to $CD8^+$ cells, $CD11a^+CD19^+$ cells, $CD4^+CD25^+$ cells, $CD3^+CD69^+$ cells, and $CD11b^+Gr-1^+$ cells were checked. Results: 1. The hematocrit was meaningfully (p<0.01, p<0.05) decreased in $ST_{36}$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nd sham group. 2. The glucose, ALP were meaningfully (p<0.05, p<0.05) decreased in $ST_{36}$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3. In the activation of hepatic antioxidase, the catalase was meaningfully (p<0.01) increased in $ST_{36}$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4. In the liver, the NO formation was meaningfully (p<0.001) decreased in $ST_{36}$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nomal, control and sham group. 5. In the activation of splenetic antioxidase, the GSH was meaningfully (p<0.01) increased in $ST_{36}$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sham group, and the catalase was meaningfully (p<0.001) increased in $ST_{36}$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6. In the spleen, the MDA formation was meaningfully (p<0.01, p<0.05) decreased in $ST_{36}$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nd sham group. 7. In the spleen cell culture, the levels of IL-6 was meaningfully (p<0.05)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sham group, $INF-{\gamma}$( was meaningfully (p<0.05)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electroacupuncture at Joksamni($ST_{36}$)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 and inhibiting lipid peroxides, and has an immunomodulatory reaction. In conclusion, it han an significant anti-aging effect and need more experimental study.

  • PDF

굴 가수분해물이 SD-Rat의 혈청과 간 균질물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Oyster Hydrolysate on the Serum and Hepatic Homogenate in SD-rats)

  • 허성익;박시향;이수선;정세영;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940-1948
    • /
    • 2013
  • Sprague Dawley계 rat을 이용하여 굴 효소 가수분해물 함유식이가 혈청과 간 균질액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식이 그룹은 대조군과 실험군으로써 TGPN 굴 효소 가수분해물 100 mg/kg BW/day 함유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TGPN-100FG), TGPN 200 mg/kg BW/day 함유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TGPN-200FG), PN 가수분해물 시료 100 mg/kg BW/day 함유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PN-100 FG), 200 mg/kg BW/day 함유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PN-200FG) 5 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식이를 제공하여 실험하였다. 총 콜레스테롤은 TGPN-200FG 식이군이 혈청과 간 균질액에서 각각 28.9%, 26.1%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간 균질물의 중성지질은 TGPN-100FG 식이군에서 6.3%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수퍼옥사이드 라디칼은 TGPN-200FG에서 유의적으로 34.7% 감소하였다. 굴 가수분해물 TGPN-200FG는 수퍼옥사이드 및 히드록실 라디칼을 소거함으로써 라디칼 소거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 수준을 감소시키며, 단백질 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UV-B 강도 변화가 오이의 생장 및 항산화 물질 함량과 관련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UV-B Levels on Growth, Antioxidant Contents and Activities of Related Enzymes in Cucumber(Cucumis sativus L.).)

  • 김학윤;신동현;김길웅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9-313
    • /
    • 2000
  • UV-B 증가가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과 식물의 생화학적 방어반응을 조사하고자 오이를 이용하여 3단계의 UV-B[일일 평균 $UV-B_{BE}$; 무처리(0.03), 저UV-B(6.42), 고UV-B(11.30) $kJ\;m^{-2}$] 조사 실험을 수행하였다. UV-B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오이식물에 극심한 생육억제, chlorophyll 감소 및 황백화현상이 나타났다. AsA 및 GSH 함량은 UV-B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MDA 함량과 DHA/AsA 및 GSSG/GSH의 비율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항산화효소인 SOD, AP, DHAR, GP 등의 활성도 UV-B 조사에 의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UV-B 증가에 의해 오이 식물에 활성산소 생성에 의한 산화스트레스가 일어나며, 이를 무독화하기 위해 식물의 생화학적 방어반응이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tioxidative effects of fermented sesame sauce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damage in LLC-PK1 porcine renal tubule cells

  • Song, Jia-Le;Choi, Jung-Ho;Seo, Jae-Hoon;Kil, Jeung-Ha;Park, Kun-Yo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2호
    • /
    • pp.138-145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 vitro antioxidant and cytoprotective effects of fermented sesame sauce (FSeS) against hydrogen peroxide ($H_2O_2$)-induced oxidative damage in renal proximal tubule LLC-PK1 cells. MATERIALS/METHODS: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hydroxyl radical ($^{\bullet}OH$), and $H_2O_2$ scavenging assay was used to evaluate the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FSeS. To investigate the cytoprotective effect of FSeS against $H_2O_2$-induced oxidative damage in LLC-PK1 cells, the cellular levels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ipid peroxidation, and endogenous antioxidant enzymes including catalase (CAT),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were measured. RESULTS: The ability of FSeS to scavenge DPPH, $^{\bullet}OH$ and $H_2O_2$ was greater than that of FSS and AHSS. FSeS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H_2O_2$-induced ($500{\mu}M$) oxidative damage in the LLC-PK1 cells compared to FSS and AHSS (P < 0.05). Following treatment with $100{\mu}g/mL$ of FSeS and FSS to prevent $H_2O_2$-induced oxidation, cell viability increased from 56.7% (control) to 83.7% and 75.6%, respectively. However, AHSS was not able to reduce $H_2O_2$-induced cell damage (viability of the AHSS-treated cells was 54.6%). FSeS more effectively suppressed $H_2O_2$-induced ROS generation and lipid peroxidation compared to FSS and AHSS (P < 0.05). Compared to the other sauces, FSe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cellular CAT, SOD, and GSH-px activities and mRNA expression (P < 0.05). CONCULUSIONS: Thes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FSeS is an effective radical scavenger and protects against $H_2O_2$-induced oxidative damage in LLC-PK1 cells by reducing ROS levels,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and stimulating antioxidant enzyme activity.

Catalase 첨가에 따른 돼지 정액 동결 및 융해 후 생존 정자에서 Hydrogen Peroxide의 감소 (The Reduction of Hydrogen Peroxide in Viable Boar Sperm Cryopreserved in the Presence of Catalase)

  • 김수희;이영준;강태운;김용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19
    • /
    • 2011
  • 요 약: 정액 동결 과정은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유발하며, 생성된 활성산소종은 정자의 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결 과정 중 항산화 효소 중 하나인 catalase (CAT)를 첨가함으로써 융해 후 정자의 기능과 활성산소종의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5마리 돼지에서 채취한 정액은 0 (대조군), 200, 400 U/mL CAT가 첨가되어 있는 동결 희석액으로 각각 동결하였다. 융해 후, 정자 운동성, 생존성, 정상 형태율, 형질막 온전성, 미토콘드리아 기능, 세포내 ROS를 평가하였다. CAT는 400 U/mL의 농도에서 전체 정자 운동성을 향상시켰지만 (P < 0.05), 전진 운동성, 생존성, 기형율, 형질막 온전성,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향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활성산소종의 평가에서, CAT는 융해된 생존 정자의 ${\cdot}O_2$의 감소에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H_2O_2$를 감소시켰다(P < 0.05). 결론으로 CAT는 동결 및 융해된 정자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큰 효과를 나타내진 않았지만 생존 정자에서 $H_2O_2$을 제거함로써 생존정자의 산화적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더덕이 첨가된 청국장의 품질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kukjang added with Deodeok)

  • 홍성철;권동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1-177
    • /
    • 2011
  • 더덕의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더덕의 기능성과 더덕이 첨가된 청국장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70% 에탄올에서 추출한 더덕 추출물의 DPPH radical 제거능이 물 추출물보다 높았다. Salmonella typhimurium TA 98을 이용하여 직접 변이원에 대한 항변이원성 시험을 하였다. 200, 1,000, 2000, 3,000, 4,000 ug/plate의 에탄올 더덕 추출물에 대한 항돌연변이원율이 5.75, 31.38, 34.75, 53.50과 83.75%였으며 물 추출물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청국장 제조에 더덕 함량을 5, 10, 15 및 20% (w/w)로 달리하여 첨가 제조한 청국장에 대하여 이화학적 및 관능적 검사 등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청국장 제조에 사용한 균주는 재래식 메주에서 ${\alpha}$-amyalse, ${\beta}$-amylase 및 산성 protease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선정된 Bacillus sp. B-3이다. 숙성 중 아미노태질소 함량을 조사한 결과 10% (w/w) 더덕 함유 청국장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장 많이 생성되고 있었다. 한편, 더덕 함량이 15% (w/w) 이상 함유된 더덕 청국장에서는 아미노태질소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더덕 함량이 된장 중의 Bacillus sp. B-3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에서는 더덕 함량이 높을수록 L-값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덕 10% (w/w)가 첨가된 청국장이 기호도 측면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적 변성 및 생감자 전분이 고지방식이로부터 유도된 비만 흰쥐의 지질대사 및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etary Modified Potato Starch By Chemically Denatured Treatment and Potato Starch on the Weight Loss, Lipid Metabolism and Redox Antioxidant System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 박수진;최미경;김진숙;임학태;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251-1257
    • /
    • 2008
  • AIN-93G 식이조성을 기본으로 corn starch를 potato starch로 100% 대치한 고지방식이를 42일간 rat에 급여하여 비만을 유도 후, GPS군, SPS군, EZ군, H40군으로 나누어 70일 급여한 후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체중증가량은 GPS, EZ, H40군에서 차이가 없었고 식이효율 또한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혈중 혈당농도, TC, LDL-cholesterol 농도는 변성 전분 섭취 군(EZ, H40군)에서 높았고, atherogenic index는 H40이 다른 군에 비교해 높게 측정되어 H40군이 비만, 동맥경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간과 신장 조직의 MDA 생성량은 H40군이 혈청 MDA 생성량이 다른 군에 비해 매우 높았고, 간과 신장 조직에서는 EZ, H40군이 낮았다. Glutathione 함량은 각 조직별로 경향이 달랐으나, GP-x활성은 SPS군에서 낮았다. 본 연구에서 전분을 달리하여 첨가한 고지방 식이가 비만한 식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알감자 전분을 100% 대치하여 제조한 SPS군 및 효소 처리한 변성전분(EZ)을 100% 대치하여 급여한 군에서 비만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변성전분의 심혈관계 질환 및 혈중 지질 패턴 변화에 관련된 기전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생리활성이 규명된 후 다양한 가공식품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갈참나무 4가계에서 스트레스 평가용 생리 지표들의 오존 민감성 (Ozone Sensitivity of Physiological Indicators for Stress Evaluation in Four Families of Quercus aliena Blume)

  • 김두현;한심희;이재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78-884
    • /
    • 2010
  • 오존에 노출된 갈참나무 4가계의 오존 내성 차이와 생리적 지표들의 오존 민감성은 광합성 특성, 광색소 함량, MDA 함량 및 항산화효소 활성과 같은 생리적 지표들을 표준화하여 결정하였다. 오존 처리 후, 갈참나무의 잎내 탄소고정효율 감소는 4가계 모두에서 관찰되었으며, 그들의 감소율은 대조구의 -24.1%에서 -56.9% 범위를 보였다. 광색소 함량은 가계 간 및 처리 간 차이가 뚜렷하였으며, 총 엽록소 함량의 감소는 SU4 가계에서 가장 높았고 (-40.6%), US2 가계에서 가장 낮았다(-18.8%). APX 활성은 가계 간 및 처리 간 차이를 뚜렷하게 보였으며, US2 가계를 제외한 3가계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생리적 지표들을 기준으로 한, 갈참나무 4가계의 오존 내성은 US1 > SU4 > US2 > SU1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광합성 특성, 광색소 함량과 APX 활성은 갈참나무의 오존 스트레스 내성을 평가하는데 적절한 지표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