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tive components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29초

홍삼 분획물이 감마선을 비사한 생쥐 간에서 항산화물질과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방사선 보호효과 (Radioprotective Effect of Ginseng Components on Antioxidant Enzymes, Glutathione and Lipid Peroxidation of Liver in ${\gamma}$-Irradiated Mice)

  • 김동윤;장재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1-10
    • /
    • 1998
  • In the present study, to determine whether the antioxidative components of Korean red ginseng protect against radiation damage and the possible relationship among the radioprotective effects and antioxidant actions, the effects of total saponin (200 mg/kg, ip) and lipophilic fraction (200 mg/kg, oral) preferment of mice on the survival ratio, major antioxidant enzymes (SOD,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ies, glutathione levels and lipid peroxidation in the liver were exiled for 2 weeks after whole ${\gamma}$-body ${\gamma}$-irradiation (6.5 Gy). The 30-day survival ratio increased from 10% to 57% and 40% for mice treated with total saponin and lipophilic fraction, respectively. On day 14 after ${\gamma}$-irradiation, the ginseng total saponin pretreatment produced a slight increase of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reduced glutathione (GSH) contents (p<0.05) in the liver compared with non-treated group. Pretreatment with ginseng total saponin significantly deceased GSSG/total GSH ratio (p<0.05) without change of GSSG in the liver and inhibited the radiation-induced incense in the hepatic malondialdehyde levels. (p<0.05) In these results, GS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liver in several detoxifications and the reduction of lipid peroxides. Thus, it appears that total saponin of red ginseng exerts its radioprotective effect by accelerating the production of endogenous antioxidants, such as glutathione from radiation induced damages and thereby oxygen free radicals.

  • PDF

비파잎의 이화학적 성분과 항산화효과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 황윤경;이재준;김아라;이명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25-1633
    • /
    • 2010
  • 비파잎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비파잎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효능을 검증하여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파잎의 일반성분은 건량 기준(dry basis)으로 수분 함량 5.78%, 조단백질 6.74%, 조지방 7.87%, 조회분 6.99%, 식이섬유소 43.61%, 탄수화물 29.01%를 함유하였다. 비파잎의 구성당은 총 4종 검출되었으며 이중 rhamnose가 3,391.84 mg/l로 제일 많이 검출되었으며, galactose 663.27 mg/l, glucose 651.65 mg/l, lactose 662.40 mg/l 검출되었다. 비파잎의 유리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함량이 11.30 mg%로 가장 높았으며, asparagine 9.02 mg%, $\gamma$-amino-n-butyric acid 8.30 mg%, alanine 4.53 mg%, phosphoserine 3.77 mg%, aspartic acid 3.23 m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성 아미노산의 경우 histidine 함량이 501.26 mg%로 가장 높았으며,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50.15%로 높게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은 stearic acid가 41.54%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lauric acid 12.00%, myristic acid 11.13%, pentadecanoic acid 41.54% 순으로 검출되었다. 불포화지방산은 oleic acid 만 검출되었으며, 총 지방산 함량의 27.9%를 함유하고 있었다. 비타민 A는 0.039 mg%, 비타민 E는 0.096 mg%, 비타민 C는 0.575 mg%로 검출되었다. 무기질은 Ca 함량이 1,892.60 mg%, K 함량이 1,244.90 mg%로 많이 검출되었다. 다음으로 Mg, Na, Mn, Zn 순이었고, Cu 함량은 미량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파잎의 유기산은 succinic acid 함량이 24,343.57 mg/l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citric acid 2,964.87 mg/l, maleic acid 2538.59 mg/l 순으로 검출되었다.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성을 측정한 결과 총 polyphenol 함량은 500 ppm에서 15.77 mg/ml, 1,000 ppm에서 32.32 mg/ml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1,000 ppm에서 약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총 flavonoid 함량은 500 ppm에서 15.58 mg/ml, 1,000 ppm에서 28.65 mg/ml으로 나타났다. 비파잎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500 ppm에서 68.26%, 1,000 ppm에서 80.53% 소거능을 보였으며, 이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1,000 ppm에서 대조구인 500 ppm BHT 및 BHA와 비슷한 수준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비파잎은 필수아미노산 및 항산화 비타민,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및 DPPH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비파잎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가치가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Antioxidative effect of active components of red ginseng

  • Kyu Nam;Kim, Jung-Sun;Baek, Bong-Sook;Kim, Yu-Jung;Chung, Hae-Young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4-224
    • /
    • 1996
  • 홍삼 총 사포닌 투여군은 대조군과 비교시 total free radical 및 malondialdchydc 농도는 유의상 있게 감소되었으며, 단백질의 carbonyl 농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홍삼 총 사포닌 투여군의 경우 Cu, Zn-SOD, catalasc, GSII reductase 등의 항산화 효소와 nonprotein-SH가 대조군 보다 증가되었다. 홍삼 총 사포닌의 구성성분들인 ginsenoside Rb$_1$, Rb$_2$, Rc, Rd, Re, Rg$_1$, Rh$_1$, Rh$_2$, Rf 중 ginsenoside Rh$_2$는 catalase 활성을 대조군보다 유의성있게 증가시켰으며, ginsenoside Rh$_1$ 및 Rc의 경우 GSII peroxidase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Cu, Zn-SOD의 경우 ginsenoside Rc는 대조군보다 유의성있게 감소시켰으며, GSII reductase의 경우 유의성있는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Effect of ginseng and ginsenosides on melanogenesis and their mechanism of action

  • Kim, Kwangmi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9권1호
    • /
    • pp.1-6
    • /
    • 2015
  • Abnormal changes in skin color induce significant cosmetic problems and affect quality of life. There are two groups of abnormal change in skin color; hyperpigmentation and hypopigmentation. Hyperpigmentation, darkening skin color by excessive pigmentation, is a major concern for Asian people with yellowe-brown skin. A variety of hypopigmenting agents have been used, but treating the hyperpigmented condition is still challenging and the results are often discouraging. Panax ginseng has been used traditionally in eastern Asia to treat various diseases, due to its immunomodulatory, neuroprotective, antioxidative, and antitumor activities. Recently, several reports have shown that extract, powder, or some constituents of ginseng could inhibit melanogenesis in vivo or in vitro.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antimelanogenic properties in ginseng or its components include the direct inhibition of key enzymes of melanogenesis, inhibition of transcription factors or signaling pathways involved in melanogenesis, decreasing production of inducers of melanogenesis, and enhancing production of antimelanogenic factor. Although there still remain some controversial issues surrounding the antimelanogenic activity of ginseng, especially in its effect on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nitric oxide, these recent findings suggest that ginseng and its constituents might be potential candidates for novel skin whitening agents.

Chemical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Effect of Distylium racemosum

  • Park, Young-Ki;Lee, Wi-Young;Ahn, Jin-Kwon;Lee, Hak-Ju;Chin, Hwi-Seung;Kwon, Young-Ji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259.2-259.2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solate and to identify the compounds and to find out antioxidants from the leaf of Distylium racemosum which belongs to Hamamelidaceae family. To isolate compounds, leaf of this plant were extracted with 50% Acetone and then crude extracts was partitioned with hexane. ether and ethyl acetate (EtOAc) successively. After partitioned, EtOAc fraction was subjected to column chromatography with various solvent systems in silica gel and/or Sephadex LH-20. (omitted)

  • PDF

식물배양세포를 이용한 항산화연구

  • 김기연;이정은;안영옥;권석윤;이행순;곽상수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5-68
    • /
    • 2000
  • 식물배양세포의 항산화기구 이해를 위하여 다양한 식물종에서 유도된 100종의 배양세포주를 대상으로 항산화효소 활성 및 저분자항산화물질을 분석하였다. 배양세포의 SOD와 POD 활성은 식물체에 비해 매우 높았으며, 특히 고구마와 카사바 배양세포는 각각 POD와 SOD 활성이 가장 높아, 항산화효소의 생산 및 항산화기구 해석에 좋은 소재임이 시사되었다. 배양세포의 평균 ascorbate 함량은 식물체에 비해 1/100 수준으로 낮았으며, glutathione 함량은 배양세포가 식물체보다 약 2-3배 높았다. 흥미롭게도 ascorbate와 glutathione의 환원형과 산화형의 비율은 식물종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식물배양세포는 높은 산화적인 스트레스에서 배양되는 것이 생화학적으로 확인되어 항산화물질 생산 및 항산화기구 연구에 좋은 소재임이 시사되었다.

  • PDF

압출성형 백삼추출물의 화학적 조성 및 항산화 활성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from a Extruded White Ginseng)

  • 손현정;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946-950
    • /
    • 2009
  • 본 연구는 압출성형 공정을 통한 인삼 시료의 성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수분함량을 20%로 고정시키고, 배럴온도는 100, $140^{\ciirc}C$로 변화시켜 압출성형백삼을 제조하였다. 백삼, 홍삼, 압출성형백삼의 일반성분 실험에서는 압출성형 공정을 통한 성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없었다. 항산화활성 측정 결과 산성다당체 함량은 홍삼이 62.94 mg/mL로 높게 측정되었고 총 폴리페놀함량과 DPPH 측정에서는 $140^{\circ}C$ 압출성형백삼이 각각 14.99 mg/g, 80.21%로 높게 측정되어 압출성형 공정을 통한 항산화 물질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140^{\circ}C$ 압출성형백삼의 조성 분석을 위하여 BuOH 분획을 실시한 결과 총페놀성 화합물과 산성다당체 측정 결과가 각각 27.2 mg/g, 217.6 mg/mL로 측정되었으며 HPLC를 통해 알아본 사포닌 조성은 $140^{\circ}C$ 압출성형백삼에서 모든 성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홍삼의 특유성분인 Rg3s, Rg3r의 증가로 압출성형 공정을 통한 백삼의 홍삼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색미의 생물활성 검색 (Biological Screening of Extracts from the Colored Rice Cultivars)

  • 한상준;김주선;채성욱;류수노;현진원;손건호;손호용;장현욱;강삼식
    • 생약학회지
    • /
    • 제35권4호통권139호
    • /
    • pp.346-349
    • /
    • 2004
  • Black colored rice has long been consumed in Oriental countries and is considered to be a healthy food. Extracts from rice with three different colors (white, black, and green) were prepared by using 80% MeOH and subjected to biological screening activities. The levels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black colored rice cultivars such as C3GHi and Heugjinjubyeo i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related white and green rice ones. When the effect of the extracts on thrombin time inhibition was analyzed, the extract from Heugjinjubyeo showed a dose-dependent suppressive activity. In addition, all the extracts tested did not inhibit the cyclooxygenase activity. Therefore the health benefits of the colored rice are attributed in part to their unique phytochemical composition such as high level of anthocyanin pigments with other minor strong antioxidant components for potential use in neutraceutical or functional food formulations.

'청도반시' 과실의 성장 중 일반 및 폴리페놀 성분의 변화 (Change in the Polyphenol Content of Cheongdobansi Persimmon Fruit during Development)

  • 이윤래;정헌식;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17
    • /
    • 2011
  • 떫은감 품종인 '청도반시' 과실의 일반 성분, 총페놀 및 페놀산 함량과 DPPH유리기 소거능을 7월부터 10월까지 1개월 간격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성장 중 감의 수분, 조단백질 및 조섬유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조지방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조회분 함량은 9월 이후에 증가함을 각각 나타내었다. 총페놀 함량은 성장에 따라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페놀산으로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p-coumaric acid 및 salicylic acid 등이 확인되었고, 이들의 함량은 성장 중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DPPH유리기 소거능은 성장 시기가 길어짐에 따라 감소됨을 보였다. 이로써 '청도반시' 과실의 일반 및 페놀성 물질 함량과 항산화성은 성장 시기에 따라 달라지며, 미성숙 과실도 활용소재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