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oxidants activity

검색결과 931건 처리시간 0.101초

$CoCl_2$로 유도된 C6 신경교세포의 사멸에 대한 억간산(抑肝散)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Ukgan-san in $CoCl_2$-induced Cell Death of C6 Glial Cells)

  • 조문영;신용진;하예진;우찬;김태정;유주연;최용석;최정훈;신선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8-191
    • /
    • 2013
  •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made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mechanism of Ukgan-san (UGS) extracts on hypoxia-induced C6 glial cell death. Methods : The cell viability was assessed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MT) assay and cell morphological changes were analysed with microscope after staining with crystal violet (CV). Reactive oxygen species (ROS) formation was assessed by flow cytometer after staining with 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DCF-DA). We also analyzed expression of hypoxia-inducible factor-1 alpha (HIF-$1{\alpha}$) and p53, processing of procaspase-3 and procyclic acidic repetitive protein (PARP) by western blot method. Results : We estimated the elevated cell viability by UGS extract on $CoCl_2$-induced C6 glial cells. UGS attenuated $CoCl_2$-induced ROS formation in C6 glial cells and also showed a protective activity compared to antioxidants and exhibited abrogation of LDH-released by $CoCl_2$. UGS suppressed the typical apoptotic cell death markers, caspase-3 and PARP activation. UGS inhibited $CoCl_2$-induced HIF-1${\alpha}$ expression which is known as a major regulator for hypoxia-induced cell death, and suppressed p53 expression.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UGS extract contains protective constituents for hypoxia-induced C6 glial cell death.

발효홍삼 농축액을 이용한 노인용 기능성 간식(양갱)의 항산화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tive Capac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using Fermented Red Ginseng for the Elderly)

  • 김애정;한명륜;이수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3-8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 혼합물(Lactobacillus casei와 Bifidobacteriumlogum 1:1)을 이용하여 발효홍삼을 제조하여 강화된 기능성 성분을 확인하였다. 유산균 혼합물에 의한 발효로 인해 발효홍삼의 전자공여능(EDA%)는 6.11~3.22 mg/g의 범위로 감소하여 홍삼($16.32{\pm}0.29$ mg/g)에 비해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삼 및 발효홍삼의 ginsenosides의 함량 차이를 분석한 결과, ginsenoside$-Rb_1$, $-Rb_2$, -Rc 등의 사포닌 함량은 홍삼이 발효홍삼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발효홍삼에서는 항암활성이 우수한 대사산물인 20(S)$-Rg_3$, 20(R)$-Rg_3$, Compound K 함량이 홍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노인 건강증진 식품을 제조하고자 발효홍삼 농축액 첨가비율(0%, 5%, 10%, 15%, 20%)을 달리하여 발효홍삼 양갱을 제조하고 그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발효홍삼 첨가 수준별 색도 측정 결과, L값과 b값은 발효홍삼 농축액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관능 평가결과, 홍삼농축액 10% 첨가 양갱의 맛, 색, 향, 질감 등이 다른 군들에 비해 우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발효홍삼의 기능성과 기호적인 면을 함께 고려해 볼 때 10% 첨가가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차후 본 자료를 기초로 하여 발효홍삼을 이용하여 제조한 제품에 대한 기능성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잎새버섯차의 전처리방법에 따른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ifola frondosa Tea with Different Pre-treatments)

  • 신복음;이자영;김정한;최종인;하태문;정구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54-25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전처리방법별로 잎새버섯차를 제조하여 차의 pH, 색도 등의 품질과 아미노산 및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건조, 증숙, 보온처리 버섯차를 제조하여 추출액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건조와 증숙처리 차의 당도, 고형분, 질소함량 차이는 없었고 보온처리 차의 값이 다른 처리에 비해 높았다. 버섯차의 색도는 보온처리에서 가장 진하고 어두웠으며 보온처리 차가 462.9 mg/L로 총 아미노산 함량이 1.8배 이상 높아 보온처리에 의한 차의 추출성분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온처리 버섯차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4.6 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2 mg/g으로 증가하였고 페놀성 화합물의 증가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도 증가하였다. 또한 맛의 기호도도 7.0으로 소폭 증가하여 보온처리는 잎새버섯의 영양성분과 항산화활성의 추출을 용이하도록하고 관능적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배양한 흰쥐 대뇌세포의 저산소증 모델에서 우황청심원이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oohwangcheongsim-won on Gene Expression in a Hypoxic Model of Cultured Rat Cortical Cells)

  • 박동완;김완식;배철환;정승현;신길조;이원철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23-136
    • /
    • 200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Woohwangcheongsim-won (WC) on the in vitro neuronal development and alteration in gene expression in a hypoxia model using cultured rat cortical cells. Methods : E/sub 18/ rat cortical cells were grown in a neurobasal medium containing B27 supplement and various concentration of WC. Initial development of growth cone was investigated by phase-contrast microscopy, while dendritic spine formation and synaptogenesis were investigated by immunocytochemistry with SynGAPα(a postsynaptic marker) and synaptophysin (presynaptic marker) antibodies. Alteration in gene expression was analyses by microarray using rat 5K-TwinChips. Results : WC suppressed the development of growth cones and WC increased the number of dendritic spines at 20 and 50㎍/mL concentratio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stead, i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number at 100㎍/mL. The expression of anti-apoptosis gene Bcl2-like 1 (Bcl211) increased (Global M=0.46), while Akt1 decreased. Proapoptosis genes Bad and PDCD2 increased. The expression of hemoglobin alpha 1 (probably neuroglobin) increased (Global M=0.93). The expression of antioxidants such as catalase, heme oxygenase (HO), and PRKAG2 gene increased. The expression PKC gene increased. The expression of retinoic acid receptor alpha (RARα) increased significantly (Global M=1.0). Conclusions : These data suggest that WC trends to suppress cellular activity slightly in normoxia and increases the expression of apoptosis-, antioxidation-, oxygen capture-related genes in hypoxia, but increases Bcl111 that anti-apoptosis gene, on the other hand increases Bad, PDCD2 that pro-apoptosis genes, too..

  • PDF

Spermatogenic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Mucuna prureins (L.) in Epididymal Spermatozoa: A Dose Dependent Effect

  • Suresh, Sekar;Prithiviraj, Ealumali;Venkatalakshmi, Nagella;Ganesh, Mohanraj Karthik;Ganesh, Lakshmanan;Lee, Hyun-Jeong;Prakash, Seppan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441-447
    • /
    • 2011
  • The study aim is to investigate the free radicals scavenging and spermatogenic potentials, as well as to analyze any reproductive toxicity of ethanolic extract of Mucuna prureins (M. pruriens) Linn. in spermatozoa, under different dosages in normal male rat. Normal rats were randomly selected and suspension of the extract was administered orally at the dosages of 150, 200 and 250 mg/kg body weight of the different groups of male rats (n=6) once in a day for 60 days and grouped as group II, III and IV respectively. Saline treated rats served as control -group I. On the $60^{th}$ day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nd the epididymal sperm were subjected to various analyses like level of ROS production, LPO, enzymatic and non enzymatic antioxidant, morphology, morphometry, chromosomal integrity and DNA damage. Result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in ROS production and peroxidation and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enzymic and non-enzymic antioxidants in all concentration treated groups when compared with control. Results from all the drug treated groups showed good sperm morphology, increased sperm count and motility. There was no DNA damage and showed normal chromosomal integrity even in 250 mg/kg dose. When compared with control all the three extract treated groups showed increased ROS scavenging activity. However, group II (200 mg/kg)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all the parameters. From the present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M. pruriens has potential to improve the sperm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rough scavenging the excess ROS with any adverse side effects.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ethanolic seed extract of M. pruriens may serve as anti-oxidant that can exploit to treat the oxidative stress mediated male factor infertility.

망태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베타글루칸 및 아미노산 함량 분석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ies, β-glucan, and amino acid contents of Phallus indusiatus)

  • 안기홍;조재한;한재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7-44
    • /
    • 2020
  • 본 연구는 망태버섯의 성숙한 자실체(fruiting body)와 균모와 자루가 돌출하기 전의 에그(egg)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 중에서 항산화 활성과 베타글루칸 함량, 아미노산 성분함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건조방법 별로 열풍 건조한 시료와 동결 건조한 시료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망태버섯의 에그의 열풍건조 후 열수추출물 1 mg/ml 농도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각각 59.4%와 15.6%로 자실체 추출물 시료에 비하여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도 역시 망태버섯 에그의 열풍건조 시료의 열수추출물에서 8.25 mg GAE/g의 함량치를 가장 높았다. 망태버섯 에그의 열풍건조 시료의 베타글루칸 함량은 45.9%로 나타나 자실체 및 동결건조 시료에 비하여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자실체와 에그의 건조시료로부터 총 17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전체적으로 망태버섯 에그 건조시료 대부분의 아미노산 성분함량이 자실체의 건조시료 함량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망태버섯 자실체와 에그에서 가장 높은 함량치를 보인 아미노산 성분은 비필수 아미노산인 시스테인(Cys)으로 에그에서는 205.6 mg/kg의 함량치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높은 성분은 필수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Phe)과 비필수 아미노산인 글루탐산(Glu) 이었다. 본 연구의 야생 식용버섯으로 잘 알려진 망태버섯의 건조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성분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항산화와 관련된 생리활성은 열풍건조에 의한 건조시료로부터 추출하였을 경우 효능이 더 높았으며, 생리활성 및 영양성분 함량은 망태버섯의 자실체에 비하여 에그의 추출물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 생물자원 착즙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ioresource Juices from Jeju)

  • 이영준;김단비;조주현;백순옥;이옥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93-29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에 자생하는 생물자원 착즙액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여 추후 제주 생물자원을 이용한 산업적 활용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제주 생물자원 20종 착즙액은 2.0-6.5의 pH 범위 값을 나타내었으며, 3.3-16.8 $^{\circ}Bx$ 값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 함량 측정 결과, 복분자 착즙액이 47.3 mg GAE/100 mL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포도와 블루베리가 각각 40.3 및 34.7 mg GAE/100 mL으로 측정되어 20종의 생물자원 중에서 베리류 착즙액(S6-S8)에서 높은 총 페놀 함량을 나타냈다. DPPH 및 ORAC assay를 이용하여 20종 착즙액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한라봉 착즙액이 86.8%로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영귤 착즙액이 $2,409.5{\mu}M$ TE/mL으로 가장 높은 ORAC 수치를 보였다. 또한 레몬, 황금향, 감귤 착즙액에서도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감귤류 착즙액의 경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한편, 아질산염 소거능은 참다래 착즙액이 가장 높은 활성(84.4%)을 나타내었다. 제주 생물자원 20종 착즙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및 아질산염 소거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결과 한 결과, DPPH radical 소거능과 pH간의 상관계수의 값이 0.7343으로 가장 높았다. 이때 5종의 감귤류 착즙액만을 선택하여 상관관계를 나타낸 경우 총 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과의 상관관계가 0.875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상백피 추출물을 효소전환 하여 생성한 oxyresveratrol 및 oxyresveratrol-3-O-glucoside의 피부 자극성 및 감작성 평가 (Evaluation on Skin Irritation and Sensitization of Oxyresveratrol and Oxyresveratrol-3-O-glucoside Produced by Biotransformation of Morus alba Extract)

  • 박근태;김정근;임영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51-256
    • /
    • 2012
  • 상백피 추출물의 연구결과로는 항산화효과, 미백, 주름개선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화장품원료로 사용하기 위한 피부자극, 감작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guinea pig를 이용하여 피부 자극시험을 평가한 결과 OXY 및 OXY-3 처리군 모두에서 P.I.I 수치 0.5 이하에 해당하는 비자극성으로 판정되었다. 또한 GPMT법을 이용한 피부감작 시험 평가 결과 OXY 및 OXY-3 처리군 모두에서 발적, 홍반, 부종 등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반응의 빈도도 0%로 나타나 알러지 유발능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시험조건하에서 guinea pig에 대한 상백피 유래 미백성분들은 1% 이하의 농도에서 사용시 무자극성이며 면역반응에 의한 감작성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1% 이하의 시료 물질을 화장품 원료 등에 적용시 약물에 의한 피부 자극성 및 면역반응에 의한 피부 감작성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은 비교적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콜라겐 펩타이드의 피부 장벽 보호 효과 (Beneficial Effect of a Collagen Peptide Supplement on the Epidermal Skin Barrier)

  • 김정기;이지해;배일홍;서대방;이상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58-463
    • /
    • 2011
  • In vivo에서 10주간의 UV 조사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손상 및 2주간의 아세톤 도포에 의해 유발되는 급성 피부장벽손상에 대한 콜라겐 펩타이드의 보호 효능을 관찰한 결과, 주름 증가, 비정상적 각질 세포 증식에 의한 피부 두께 증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증가 등이 콜라겐 펩타이드의 경구 섭취에 의해 개선됨을 확인하여, 콜라겐 펩타이드가 피부 손상을 방어하고, 피부 장벽회복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콜라겐 펩타이드의 피부 장벽 회복 기전을 살펴보기 위하여 사람 각질세포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콜라겐 펩타이드는 SPT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콜라겐 펩타이드가 광노화 및 급성 피부장벽 손상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진피 및 표피 층의 손상을 회복 혹은 보호하는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콜라겐 펩타이드가 광노화 보호 또는 피부장벽 개선 효능을 갖는 새로운 미용 식품 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AOT/isooctane 역미셀계내에서의 lipoxygenase 반응 특성 (Characterization of Lipoxygenase in AOT/Isooctane Reversed Micelles)

  • 장판식;이광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7-16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dioctyl sulfosuccinate (aerosol-OT, AOT)와 비극성 유기용매인 isooctane으로 구성된 역미셀계를 이용하여 lipoxygenase의 반응특성을 살펴보았다. 기질로 사용되는 ${\alpha}-linoleic\;acid$가 5%(w/v) cupric acetate-pyridine 용액에 의하여 정량적으로 발색됨을 확인하였는 바, 기질이 단위시간당 소모되는 정도로서 lipoxygenase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Lipoxygenase 효소반응을 위한 최적 pH, 온도 및 R값 ([water]/[AOT]) 등을 측정한 결과 각각 5.0, $25^{\circ}C$, 10.0 등이었으며 $K_m$$V_{max}$값은 각각 0.31 mM of ${\alpha}-linoleic\;acid$$384.16{\mu}mol$ of ${\alpha}-linoleic\;acid\;decomposed/min$임을 확인함으로써, 역미셀계내에서 lipoxygenase 효소활성을 예민하고 안정되게 측정할 수 있었다. 한편, 지용성 항산화제의 일종인 ${\alpha}-tocopherol$을 역미셀계에 적용시킨 결과 최대 72%까지 lipoxygenase 효소의 활성도를 저해하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이는 대두 가공품 및 곡류 가공품에 ${\alpha}-tocopherol$을 첨가함으로써 가공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