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microbial test

검색결과 800건 처리시간 0.027초

식물성 천연항균소재를 첨가한 김치의 숙성 중 품질변화 (Effect of Botanical Antimicrobial Agent-Citrus Produc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Kimchi Fermentation)

  • 조성환;이승철;박완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1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숙도를 조절하여 선도유지기간을 연장할 목적으로 천연항균소재로서 항균작용 및 항진균작용이 탁월한 식물성 천연항균소재(Botanical Antimicrobial Agent-Citrus fruits : BAAC)를 이용하여 김치의 변패에 관여하는 미생물들에 대한 생육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김치의 산패에 관여하는 Lactobacillus plantarum, Klebsiella pneumonia, Pichia membranaefaciences 등에 대하여 뚜렷한 BAAC의 항균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항균력은 BAAC의 농도에 비례하여 증대하였다. $\beta-galactosidase$활성은 BAAC 처리 미생물 세포의 경우, 무처리구인 대조구 세포보다 훨씬 높게 나타나 BAAC처리에 의하여 미생물 세포막의 기능성이 크게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자현미경 촬영 사진의 결과 분석을 통하여 BAAC를 처리한 미생물 세포는 세포막 및 세포벽 기능이 파괴되어 세포내용물이 균체외부로 유출되어 사멸하는 미생물 균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발효김치 재료를 BAAC에 침지 또는 분무등의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BAAC처리농도 및 저장기간별로 미생물학적, 화학분석적 및 관능검사 결과치를 중심으로 숙성된 김치제품의 품질변화를 검토하였다. 김치 숙성중 pH변화는 BAAC를 첨가한 처리구의 경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에 비하여 pH저하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도의 증가도 같은 경향으로 억제되었다. 김치 숙성중 대조구의 경우,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미생물수가 급격히 증가한 반면, BAAC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미생물의 성장이 억제되었다.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BAAC를 첨가한 시험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vitamin C함량은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결과 $0.01\%$이하의 BAAC를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할 경우, 대조구와 향미 및 색도면에서 손색이 없는 김치생산이 가능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균작용에 대한 에센셜 오일들 간의 상승작용 탐색 (Exploring synergistic effect among essential oils in antibacterial action)

  • 김가은;박순권;조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547-55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피부상재균을 대상으로 단일오일의 항균효과를 살펴보는 동시에 2가지 이상의 오일을 혼합한 블랜딩 오일이 실제로 상승효과를 일으키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항균실험에 사용된 에센셜 오일은 100% 유칼립투스(EU), 레몬(LE), 라벤더(LA) 오일이었으며, 2가지 오일 블랜딩의 상승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EU+LE, LE+LA, EU+LA을 1:1의 비율로, 3가지 오일 블랜딩의 상승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 오일을 1:1:1 비율로 혼합하여 배지의 표피포도상구균에 적용한 후 항균 영역 값을 평균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단일오일에서는 LE이 가장 높은 항균력을 보였으며, LA는 가장 낮은 항균력을 보였다. 2가지오일 블랜딩에서는 EU+LA의 항균력이 단일오일의 항균력의 합보다 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3가지 오일 블랜딩의 항균효과는 아주 낮게 나타나 상승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블랜딩 한 오일의 수 보다 오일을 구성하는 화학 성분들 간의 상호작용이 상승효과에 더욱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에센셜 오일 블랜딩에 대한 과학적 증거 마련이 더욱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알로에 베라 및 프로폴리스 혼합 추출물의 구강내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ombined Extract of Aloe vera with Propolis against Oral Pathogens)

  • 임지영;문유선;정승희;이규임;유수연;박원봉;심창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99-904
    • /
    • 2002
  • 알로에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과 그 혼합물의 구강 내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 및 상호작용효과를 검색하였다. 알로에 ethanol 추출물 (AE)의 구강 병원균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S. mutans, C. albicans, E. coli에 대해서는 250$\mu\textrm{g}$/mL, E. fae-calis는 270$\mu\textrm{g}$/mL로 나타났다. 프로폴리스 ethanol 추출물(PE)의 경우에는 S. mutans에 대해서는 20 $\mu\textrm{g}$/mL, E. hirae, C. albicans, E. coli에 대해서는 20$\mu\textrm{g}$/mL, E. faecalis에 대해서는 40$\mu\textrm{g}$/mL로 나타났다. 수지 및 밀납성분을 제거한 분획(PW)의 S. mutans, E. hirae, C. albicans, E. coli의 최소저해농도는 70$\mu\textrm{g}$/mL로, PE 분획보다 낮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E.faecalis의 경우에는 18$\mu\textrm{g}$/mL로 PE분획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AE 및 PE의 혼합물의 항균효과를 측정한 결과, S. mutans, E. faecalis, E. hirae, C. albicans에 대하여는 상승효과 (FICI=0.375)가 있었으며, AE 및 PE의 각각의 MIC의 1/2 이하의 모든 농도범위에서 상승효과(FICI$\leq$0.5)가 있었다. 그러나 E. coli에 대하여는 AE 및 PE의 혼합에 의한 상승효과가 없었다(FICI=1.0). 또한, AE 및 PW의 혼합물의 항균효과를 측정한 결과, S. mutans, E. faecalis, E. hirae, C. albicans에 대하여는 상승효과가 적은 것 (FICI=0.75)으로 나타났다. 즉, 사용된 구강 병원균주 중에서 E. coli를 제외한 모든 균주들에 대하여 PE 및 PW는 AE의 항균효과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성 세균에 대한 마늘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Garlic Extract against Pathogenic Bacteria)

  • 문원희;육근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477-484
    • /
    • 2014
  • 본 연구는 마늘추출물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 실험연구이다. 항균효과의 대조 항생제로서 Ampicillin $10{\mu}g$(BBL)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2013년 11월과 2014년 1월로 두 차례에 걸쳐 진행하였다. Kirby-Bauer의 disc diffusion method에 따라 감수성을 측정하였고 CLSI에서 제시한 판독기준에 따라 감수성 여부를 판독하였다. 연구결과, 생마늘은 추출법과 관계없이 Ampicillin $10{\mu}g$에 비해 항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흑마늘은 제조법과 추출방법과 관계없이 4종의 균주에서 저항성을 발현하였다. CLSI의 감수성 판독기준에 따르면 S. aureus와 E. coli에 Ampicillin $10{\mu}g$은 강력한 항균효과를 발현한 반면, 모든 균주들이 흑마늘 추출물에는 저항성을 발현하였다. 다만, 15일의 자연숙성발효한 흑마늘의 에탄올 추출물은 S. aureus와 E. coli에서 성장저지환이 각각 8 mm와 7 mm로 나타나 항균효과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하겠다. 향후 마늘의 천연식품보존제 개발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흑마늘의 다양한 추출법을 활용한 항균효과에 대한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다중의약품에 저항하는 Staphylococcus aureus 균에 항균성을 가지는 파라-히드록시벤조히드라자이드 유도체의 합성과 구조-활성관계 3차원 정량분석 (Synthesis and 3D-QSAR of p-Hydroxybenzohydrazide Derivatives Wit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ultidrug-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Bhole, Ritesh P.;Bhusari, Kishore P.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77-87
    • /
    • 2010
  • 40여년전에 보고된 이래 병원에서 유래한 메치실린-저항 Staphylococcus aureus (MRSA) 은 세계적으로 큰 문제가 되어왔다. 항균성의 가능성을 가지는 새로운 약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N'-[(-3-substituted-4-oxo-1,3-thiazolidin-2-ylidene]-4-hydroxy benzohydrazide (4a-4.i)와 N'-[-(3,4-disubstituted)-1,3-thiazolidin-2ylidene)]-4-hydroxybenzohydrazide (5.a-5.i)~(10.a-10.i)을 적절한 합성방법을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이들 합성된 화합물들은 s. aureus 균주에 대해 생체외 조건에서 분석하였다. 시료 화합물과 표준 화합물에 대해 최소억제농도(MIC)를 결정하였다. 시험한 모든 화합물들은 2000 ${\mu}g$/mL 투여량까지는 독성이 없었고, 사용한 균주에 대해 상당한 항균성을 보였다. 특히 6.f, 7.g, 9.f 와 10.f, 10 i 들이 가장 항균성이 컸다. 이것으로 미루어 파라-히드록시벤조히드라자이드 고리와 치환된 싸이아졸린 고리는 항균성에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3D-QSAR 분석결과로 파라-히드록시벤조히드라자이드의 활성자리에 대한 결합방식을 알게되었다.

산화전위수 양치용액 사용이 만성 치주질환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Antimicrobial and clinical effects of mouthrinses of acid water prepared by an electrolysis apparatus on chronic periodontitis)

  • 조규성;원미숙;정현철;정정학;최성호;채중규;김종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7권4호
    • /
    • pp.739-749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ntimicrobial and clinical effects of acid water mouthrinse prepared by an electrolysis apparatus on chronic periodontitis and to evaluate the lasting period of these effects. The change' in the pattern of colonization of bacteria within the subgingival pockets was monitored by phase contrast microscopy, in 40 patients, over a period of 8 weeks. In addition, changes in the clinical parameters of the diseased sites were also monitored. Site of pocket ${\geq}$ 5mm was selected in each patient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s a test group, acid water mouthrinse was used twice a day in 20 patients. As control, no mouthrinse was used in 20 pati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uppression of motile bacteria was maintained for up to 3-4 weeks at test group. 2. Two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proportion of bacteria in subgingival plaque over a period of 8 weeks. 3. Loss of attach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st group and in test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rol group. 4.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shown in two groups concerning the gingival index, plaque index, bleeding index. The results suggest that acid water mouthrinse is effective for reducing subgingival bacteria. It can be concluded that acid water may be useful as an mouthrinsing agent.

  • PDF

오존화 올리브유의 항균성 및 변이원성 평가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Mutagenicity of Ozonized Olive Oil)

  • 장일웅;이승재;안정엽;미우라 토시아키;정문웅;최동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05-809
    • /
    • 2006
  • 오존화 올리브유의 여드름 치료용 소재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여드름 형성에 관여하는 미생물인 Propionibacterium acnes, Staphylococcus epidermidis, S. aureus와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생육 억제효과를 검토하였고, Ames test로 그의 변이원성 유무를 평가하였다. 항균활성을 paper disk 법으로 평가했을 때 P. acnes, S. epidermidis, S. aureus, P. aeruginosa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기 시작한 농도는 각각 4, 1, 0.5, 0,5 mg/mL이었고, 20 mg/mL 농도에서의 생육 저지환의 크기는 각각 7.7, 5.3, 5.6, 5.5 mm이었다. 50% 생육저해활성을 표시하는 $MIC_{50}$은 P. acnes, S. aureus, P. aeruginosa에 대해 2 mg/mL, S. epidermidis에 대해 4 mg/mL로 나타났으며 미생물의 생육이 관찰되지 않는 MIC 농도는 P. acnes, S. epidermidis, P. aeruginosa에 대해 8 mg/mL, S. aureus에 대해 10 mg/mL로 나타났다. 최소저해농도(MICs) 범위는 2${\sim}$10 mg/mL이었다.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균주에 대하여 오존화 올리브유와 오존화 메칠 올레산은 S9 mix의 첨가 유무에 상관없이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에서 $his^{+}$ 복귀돌연변이주의 수가 증가하지 않아 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오존화 올리브유는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여드름 형성 원인균에 대한 생육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여드름 치료용 소재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Pediococcus pentosaceus CBT SL4 배양물의 감염방어 및 제균활성 (Protection of Infection and Eradication Activity of Culture Product by Pediococcus pentosaceus CBT SL4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 홍운표;정명준;김수동;오은택;소재성;정충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79-783
    • /
    • 2004
  • P. pentosaceus CBT SL4균이 생산하는 항균물질 농축건조물은 H. pylori균에 대하여 평판 및 액상배양 조건에서 생육억제 활성이 확인되었고, 사막모래쥐를 사용한 감염실험에서는 감염방어 및 제균작용이, 보균자 인체실험에서는 제균작용이 확인되었다. 최근 3제 요법이나 신규 약물 등에 의하여 자각증세가 있는 위염증 환자에서의 제균율은 크게 향상되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전체국민의 감염율이 매우 높은 것과 식습관 등의 요인에 의하여 단체 및 사회생활을 통한 신규감염이나 재감염을 방어할 효과적 수단은 없는 상태에 있다. 따라서, 일상적인 섭취가 가능하고, 병원균의 내성개발 우려나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며, H. pylori균에 대한 감염방어 및 제균작용을 동시에 지닌 유산균 및 그 항균활성물질을 이용한 식품소재는 국민전체의 H. pylori 감염율을 낮추고, 신규감염과 재감염의 악순환을 방지하기 위한 유용한 방어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유산균 배양액에 의한 H. pylori균에 대한 생육억제 현상은 모든 유산균에서 보편적인 현상은 아닌 것으로서 특정한 균주의 배양액에서만 관찰되고 있어 단순히 젖산 등 유기산에 의한 효과로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Gram 음성의 병원균들은 외막의 보호작용에 의하여 분자량이 큰 박테리오신 성분에 의해서는 생육이 억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저자들은 당 균주가 생성하는 H. pylori 생육 억제 물질을 산성의 저분자 물질로 추정하고, 물질 및 작용기작 규명을 위하여 활성물질의 분리 및 구조분석 작업을 진행 중에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완료되면 분리정제 물질을 활용한 추가적인 산업화 용도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루시올을 활용한 폴리우루시올(PUOH)제조 및 LDPE/PUOH 복합필름 특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of Polyurushiol (PUOH) Using Urushiol and Property of LDPE / PUOH Composite Films)

  • 김도완;김인수;서종철;서정상
    • 공업화학
    • /
    • 제23권6호
    • /
    • pp.546-553
    • /
    • 2012
  • 옻나무에서 추출한 우루시올은 우수한 열안정성, 항균성 및 항산화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알러지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러지 유발원을 가지고 있는 우루시올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폴리우루시올 (Polyurushiol, 이하 PUOH) 분말을 제조하였다. 우선, 제조한 분말에 대한 FTIR, SEM, 항산화 및 항균성에 대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Twin screw extruder system을 이용하여 PUOH 분말의 함량 변화에 따른 LDPE/PUOH 복합필름을 제조하였고 액티브 패키징(active packaging) 소재로서의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제조한 LDPE/PUOH 복합필름에 대한 화학적 구조, 모폴로지, 열적특성, 광학적 특성 그리고 항균성 테스트를 PUOH함량 변화에 따라 실시하였다. FTIR과 SEM 결과 PUOH 분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LDPE와 PUOH 분말 사이에 화학적 결합이나 상호작용이 약하며, 분산성 및 혼화성이 좋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열적특성은 PUOH의 함량이 3%까지만 향상시켰다. Pure LDPE와 비교해보면, PUOH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LDPE/PUOH 복합필름의 자외선 흡수성과 E. coli에 대한 항균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LDPE/PUOH 복합필름을 패키징 소재로서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PUOH 분말과 필름의 분산성 향상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specific IgY의 항균력 (Antimicrobial activity of Specific IgY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 김영붕;노정해;손동화;김희주;성기승;이남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319-1325
    • /
    • 2000
  • 본 연구는 면역화된 산란계로부터 생산된 계란 난황중에 들어있는 S. mutans균주의 specific IgY를 분리하여 면역화 여부, Specific IgY 농도별 및 균수별에 따른 항균력을 현미경적 및 탁도측정에 의한 IgY의 항균력 효과를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면역화 여부에 따른 탁도시험 결과 면역처리된 처리구에 crude IgY를 10%와 20% 첨가에 의해 항균 효과가 있었다. 면역을 하지 않은 닭에서 생산된 계란으로부터 추출한 IgY를 10% 첨가구와 대조구에서는 응집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S. mutans로 면역화된 닭에서 생산된 계란에서 추출한 IgY의 10%첨가구는 상등액과 침전물에서는 균들이 응집되는 현상을 보였다. 면역화된 조난황 specific IgY를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 보다 S. mutans균들이 응집되는 정도에 있어서 확실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조 난황 specific IgY의 농도별 시험에서는 5%이상 첨가구 들에서는 전반적으로 균체들의 응집현상이 나타났으며 IgY를 2.5% 이하로 첨가한 처리구와는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탁도에 있어서도 조 난황 specific IgY 농도별 시험에서는 첨가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10% 이상 첨가구에서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응집된 균괴의 크기는 IgY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점 더 커져가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균수별에서는 $10^5\;cfu/mL$ 이상 접종구에서는 균체들이 응집되는 현상을 보였으며 균수가 많을수록 더욱 응집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Plaque 형성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IgY 농도 15%에서는 plaque 형성이 약 75%가 저해되었다. 따라서 면역화된 닭으로 부터 생산된 계란에서 추출된 crude IgY를 사용하여 S. mutans균으로부터 발생된 충치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