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microbial resistance genes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초

시판 젓갈에서 분리한 Bacillus cereus의 독소 유전자 및 항균제 내성 분석 (Profiles of Toxin Gene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Bacillus cereus Strains Isolated from Commercial Jeotgal)

  • 박권삼;조의동;김희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870-877
    • /
    • 2020
  • Twenty-three Bacillus cereus strain isolated from commercial jeotgal were investigated for 11 toxin genes and susceptibility to 25 different antimicrobials. The hemolytic enterotoxins hblA, hblC, and hblD were detected in 13.0%, and non-hemolytic enterotoxins nheA, nheB, and nheC were detected in 26.1%, 100%, and 100% of the isolates, respectively. The positive rates of cytK, entFM, becT, hlyII, and ces were 73.9%, 60.9%, 26.1%, 8.7%, and 0.0%,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disk diffusion susceptibility test, all of the strains studied were resistant to cefuroxime, followed by cefoxitin (78.3%), oxacillin (78.3%), ampicillin (69.6%), penicillin G (69.6%), and amoxicillin (65.2%). However, all the strains were susceptible to 11 other antimicrobials, including amikacin, chloramphenicol, and ciprofloxacin. The averag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amoxicillin, ampicillin, and cefuroxime against B. cereus were 462.9, 235.0, and 135.0 ㎍/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sanitizing commercial jeotgal, and provide evidence to help reduce the risk of jeotgal contamination by antimicrobial-resistant bacteria.

High-Quality Whole Genome Sequence of a Linezolid-Resistant and Vancomycin-Susceptible Enterococcus faecalis Isolate ES-2-1 from a Pig Stool in South Korea

  • Jun Bong Lee;Nguyen Thi Mai Tho;Se Kye Kim;Jang Won Yoo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88-90
    • /
    • 2024
  • We report the whole genome sequence of a linezolid-resistant and vancomycin-susceptible Enterococcus faecalis strain, ES-2-1, which was isolated from a pig stool in South Korea. The assembled genome of ES-2-1 consists of a 2,648,168-bp circular chromosome containing the optrA gene (encoding the ABC-F type ribosomal protection protein), an 84,891-bp plasmid containing numerous antimicrobial resistance genes, and an 82,106-bp cryptic plasmid. The ES-2-1 strain belongs to sequence type 1024 (ST1024) and carries multidrug resistant genes including the optrA (oxazolidinone phenicol transferable resistance A) gene, which confers linezolid resistance.

대전지역에서 분리된 생물막 형성 Acinetobacter baumannii 임상분리주의 분자유전학적 특성과 항균제 감수성양상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Biofilm-forming Acinetobacter baumannii Clinical Isolates from Daejeon, Korea)

  • 성지연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00-109
    • /
    • 2018
  • 다제내성(multidrug-resistant, MDR) Acinetobacter baumannii 균주의 출현 및 확산이 전 세계적으로 보고되어 왔는데, 이들 대부분은 생물막 형성능력을 가지고 있다. 생물막 형성은 소독 및 건조에 대해 세균이 저항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요한 병독성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막을 형성하는 A. baumannii 임상 분리주를 대상으로 항균제 내성 기전에 대한 유전적 기초를 조사하였다. 크리스탈 바이올렛 분석법을 통해 생물막 형성능력을 확인한 결과 46균주가 생물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REP-PCR을 수행하여 서로 다른 클론에 속하는 16 균주를 선택한 후 이 균주들을 대상으로 항균제 내성 인자를 검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9개 non-MDR (0.96) 균주와 7개의 MDR (1.05) 균주의 평균 생물량은 서로 달랐지만, 이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생물막 형성 MDR 균주는 다양한 항균제 내성인자 ($bla_{OXA-23}$, armA 및 gyrA 및 parC의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non-MDR 균주는 항균제 내성인자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의 결과는 A. baumannii 균주의 생물막 형성능력이 항균제 감수성과 상관관계가 적음을 시사한다. 또한 MDR A. baumannii 임상 분리주의 출현은 대개 항균제 내성과 관련된 유전자의 돌연변이나 또는 다양한 항균제 내성인자의 획득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Prevalence of virulence-associated gene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Campylobacter jejuni from ducks in Gyeongnam Province, Korea

  • Yang, Jung-Wong;Kim, Sang-Hyun;Lee, Woo-Won;Kim, Yong-Hwan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85-96
    • /
    • 2014
  • Total 99 strains of Campylobacter spp. were isolated from 117 cases of duck's fecal samples. Among 99 strains of Campylobacter spp. isolates, 93 strains (93.9%) were C. jejuni and 6 strains (6.1%) were C. coli. Prevalence of virulence and GBS associated genes of 72 C. jejuni isolates was determined by m-PCR. Among the 10 kinds of virulence associated genes, cadF, dnaJ, flaA and ceuE genes were detected in all of C. jejuni isolates from ducks, racR, pldA, iamA, ciaB, virB11 and docC genes were 87.5%, 84.7%, 77.8%, 48.6%, 13.9% and 11.1%, respectively.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was performed on 72 C. jejuni isolates. The rate of resistance were 62.5% for oxytetracycline, 55.6% for kanamycin, 54.2% for enrofloxacin, 50% for ciprofloxacin, 37.5% for tetracycline and nalidixic acid, 18.1% for ampicillin, 15.3% for streptomycin, and 6.9% for ofloxacin. All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erythromycin. The adherence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bacteria) abilities of the 20 isolates to INT-407 cells were between $4.21{\pm}1.27{\times}10^4$ CFU/well and $1.053{\pm}0.451{\times}10^6$ CFU/well from the isolates of cj-55 and cj-52, respectively, and that can be expressed as 0.1033% to 5.2655% to the infecting inoculum. The invasion (intracellular bacteria) abilities of the 20 isolates to INT-407 were between $1.00{\pm}1.73{\times}10^3$ CFU/well and $8.47{\pm}5.16{\times}10^4$ CFU/well from the isolates of cj-13 and cj-47, respectively, and that can be expressed as 0.0050% to 0.4235% to the infecting inoculums. The average CFU/well of 20 campylobacters isolated from ducks for adherence to and invasion were $2.646{\pm}2.886{\times}10^5$ and $3.03{\pm}2.7{\times}10^4$ respectively, and that was $1.3230{\pm}1.2139%$ and $0.1516{\pm}0.1343%$ of the starting viable inoculum. There was considerable correlation ($R^2$=0.627) between the adherence and invasion ability of C. jejuni isolates for INT-407 cell.

임상검체와 가축으로부터 분리된 대장균을 대상으로 Quinolone계 항균제 내성인자 분석 (Analysis of Quinolone Resistance Determinants in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and Livestock Feces)

  • 성지연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22-430
    • /
    • 2018
  • 퀴놀론 항균제가 사람과 동물에게 부적절하고 광범위하게 사용될 경우 항균제내성인자의 출현 및 확산이 가속화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의 직장면봉 검체(N=40) 및 임상 검체로(N=25)부터 분리된 총 65균주의 nalidixic acid 내성 대장균을 대상으로 quinolone 내성 기전을 조사하였다. 항균제 감수성은 디스크 확산법에 의해 결정되었다. Quinolone 내성과 관련된 유전자와 돌연변이를 조사하기 위해 PCR 및 DNA sequencing이 수행되었다. 총 65균주의 nalidixic acid 내성 대장균 중 62균주가 gyrA, parC, parE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포함하고 있었는데, gyrA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포함하고 있는 균주는 62균주(95.4%)였고, 35균주(53.8%)가 parC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갖고 있었으며, 7균주(10.8%)가 parE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포함하고 있었다. 35균주는 gyrA 와 parC 유전자에 모두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65균주의 대장균을 대상으로 plasmid-mediated quinolone resistance (PMQR) determinants를 조사하였다. 65균주의 nalidixic acid 내성 대장균 중 13균주에서 qnrS 유전자가 검출되었으나 이 중 10균주는 gyrA, parC, parE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과 돼지로부터 분리된 대장균이 quinolone 계열 항균제에 내성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전이 gyrA, parC, parE 유전자에 염색체 돌연변이가 발생하는 경우임을 확인하였는데 이 돌연변이들은 치료목적 또는 동물의 성장촉진을 위한 항균제의 과다사용으로 유발될 수 있다.

충청지역의 임상검체로부터 분리된 대장균에 Aminoglycoside-Modifying Enzymes 확산 (Spreading of Aminoglycoside-Modifying Enzymes among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in Chungcheong Province)

  • 성지연;권필승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36-142
    • /
    • 2020
  • 세균의 항균제 내성율은 지난 몇십년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며 mobile genetic elements를 통한 항균제내성인자들의 전파는 다제내성세균의 출현 및 확산을 가중시켰다. 본연구에서는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aminoglycoside에 비감수성 대장균 33주를 대상으로 mobile genetic elements를 통해 전파될 수 있는 aminoglycoside 내성인자를 조사하였다. 16S ribosomal RNA methyltransferases (RMTases)와 aminoglycoside-modifying enzyme (AME)유전자가 PCR과 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검출되었다. 그 결과 aac(3')-II 유전자(54.5%)를 포함하고 있는 균주가 제일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aph(3')-Ia 유전자(18.2%)가 많았고 aac(6')-Ib 유전자(15.2%)를 포함하는 균주도 있었다. RMTase 유전자는 본 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aac(3')-II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18균주 중 17균주가 gentamicin에 내성을 보였으며 이중 16균주는 tobramycin에도 내성을 보였다. aac(6')-Ib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5균주는 모두 tobramycin에 내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AME 유전자를 획득하는 것은 사람에서 분리된 대장균이 aminoglycoside에 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기전 중 하나임이 확인되었다. 사람으로부터 분리된 세균을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항균제 내성인자를 조사하는 것은 내성세균의 확산을 막는데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충청지역의 닭으로부터 분리된 Proteus mirabilis 균주에 존재하는 Class 1 Integron의 유전형 분석 (Characterizations of Class 1 Integrons in Proteus mirabilis Isolated from Chickens at Chungcheong Province)

  • 성지연;변용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65-70
    • /
    • 2015
  • 최근까지도 세균 감염증 치료 또는 성장촉진을 목적으로 가축에게 광범위하게 항균제를 사용해 왔으며, 이는 사람에게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항균제들에 대한 내성세균의 출현 및 확산을 유도했다. 이렇게 출현한 다제 내성세균은 사람에게 음식을 통해 전달되고 내성유전자를 확산시킬 수 있어 더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지역에서 사육된 닭으로부터 분리된 Proteus mirabilis 균주를 대상으로 integron의 빈도 및 integron의 존재에 따른 항균제 내성 비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총 26 균주의 Proteus mirabilis가 분리되었으며 이 균주를 대상으로 항균제 감수성 검사와 PCR 및 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한 integron의 유전자 카세트 분석이 이루어졌다. 또한 extragenic palindromic sequence-based PCR (REP-PCR) 방법을 이용하여 P. mirabilis 균주들의 clonality를 확인하였다. P. mirabilis 26균주 중 14 균주(53.8%)가 class 1 integrons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Class 1 integron 내에는 aminoglycoside (aacC, aadA), trimethoprim (dfrA), lincosamide (linF), 및 erythromycin (ereA) 등의 내성을 유도하는 유전자 카세트가 위치해 있었다. 이들 class 1 integron을 포함하는 균주는 integron을 포함하지 않는 균주보다 aminoglycoside 및 trimethoprim 계열 항균제에 대해 높은 내성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class 1 integron은 P. mirabilis 균주들 사이에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있으며 다양한 항균제에 내성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축사환경에 다제 내성세균의 출현 및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integron의 확산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미생물 진화 연구를 위한 유전체 역학과 옥스포드 나노포어 염기서열분석 기술의 활용 (Genomic epidemiology for microbial evolutionary studies and the use of Oxford Nanopore sequencing technology)

  • 최상철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88-199
    • /
    • 2018
  • 다양한 미생물학 연구 분야의 발전에 힘입어 유전체역학은 발전되어 왔다. 예를 들어, 대용량서열화 기술의 발전으로 미생물 유전체의 수는 급속도로 증가해 오고 있다. 이러한 풍부한 유전체 데이터는 전에는 보지 못한 보다 더 정확한 미생물종의 동정에 도움을 주는 균주종 타이핑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 유전체역학은 유전체에 일반적인 유전자를 찾고 표기하는 것 뿐만 아니라 항균 저항성 유전자를 찾을 수 있다. 균주종 타이핑과 항균 저항성 유전자 찾기는 각각 종을 구분하고 유전체내의 유전자 위치를 결정하는 유전체 역학의 방법들로 시간에 따른 변화가 없는 측면이다. 이에 반하여, 하나의 숙주가 어떤 숙주를 감염시켰는지 알아내기 위해서는 감염된 숙주들 사이의 시간에 따른 동적인 전염 경로를 추론해야 한다. 이렇게, 균주종 타이핑, 항균 저항성 유전자 찾기, 전염 계통수 추론을 통하여 유전체역학의 궁극적인 목표 중 하나인 미생물성 전염병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대용량서열화 기술 중, 3세대 서열화기술 중 하나인 옥스포드 나노포어 MinION의 보다 나은 휴대성과 빠른 서열화의 성능 덕분에 유전체역학은 더 많은 발전을 거듭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항균 저항성 유전자를 찾고 전염병 경로를 추론하는 계산적인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미생물 유전체역학에서 MinION이 응용된 예들에 대하여 논하였다.

광주지역 유통·판매 수산물에서 분리된 장염비브리오의 독소유전자 분포 및 항생제 내성 조사 (Distribution of Toxin Gene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Seafood in Gwangju)

  • 정혜진;이민규;이향희;서시은;정소향;조배식;서정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63-6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에 유통·판매되고 있는 수산물을 대상으로 식중독 원인균인 장염비브리오의 검출여부와 분리된 균주의 독소 특성 및 항생제 내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패류 163건, 어류 97건 등을 포함하여 총 335건의 수산물 중 123건(36.7%)에서 장염비브리오가 검출되었다. 분리된 균주의 독소유전자 보유 여부를 확인한 결과 tdh 유전자는 모든 균주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trh 유전자는 패류 2건 및 갑각류 1건에서 분리된 3균주(2.4%)에서 검출되었다. 분리된 균주의 항생제 내성 실험 결과 116균주(94.3%)가 ampicillin에 대해 내성을 나타냈으며, ampicillin과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2종류에 모두 내성을 나타낸 균주는 민어에서 분리된 1균주(0.8%)로 확인되었다. 이외에 amikacin, chloramphenicol 등을 포함한 9종의 항생제에 대해서는 모든 균주가 감수성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광주지역 유통·판매 수산물에서 분리된 장염비브리오의 독소유전자 보유율 및 항생제 내성률은 비교적 낮으나, 환경적 요인에 의한 장염비브리오의 검출률 증가 및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주의가 필요함에 따라 수산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haracterization of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Resistance Genes and Their Relatedness to Class 1 Integron and Insertion Sequence Common Region in Gram-Negative Bacilli

  • Shin, Hae Won;Lim, Jinsook;Kim, Semi;Kim, Jimyung;Kwon, Gye Cheol;Koo, Sun Ho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호
    • /
    • pp.137-142
    • /
    • 2015
  •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TMP-SMX)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urinary tract infections, but increasing resistance to TMP-SMX has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MP-SMX resistance genes and their relatedness with integrons and insertion sequence common regions (ISCRs) in uropathogenic gram-negative bacilli. Consecutive nonduplicate TMP-SMX nonsusceptible clinical isolates of E. coli, K. pneumoniae, Acinetobacter spp., and P. aeruginosa were collected from urine.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by Etest. TMP-SMX resistance genes (sul and dfr), integrons, and ISCRs were analyzed by PCR and sequencing. A total of 45 E. coli (37.8%), 15 K. pneumoniae (18.5%), 12 Acinetobacter spp. (70.6%), and 9 Pseudomonas aeruginosa (30.0%) isolates were found to be resistant to TMP-SMX. Their MICs were all over 640. In E. coli and K. pneumoniae, sul1 and dfr genes were highly prevalent in relation with integron1. The sul3 gene was detected in E. coli. However, in P. aeruginosa and Acinetobacter spp., only sul1 was prevalent in relation with class 1 integron; however, dfr was not detected and sul2 was less prevalent than in Enterobacteriaceae. ISCR1 and/or ISCR2 were detected in E. coli, K. pneumoniae, and Acinetobacter spp. but the relatedness with TMP-SMX resistance genes was not prominent. ISCR14 was detected in six isolates of E. coli. In conclusion, resistance mechanisms for TMP-SMX were different between Enterobacteriaceae and glucose non-fermenting gram-negative bacilli. Class 1 integron was widely disseminated in uropathogenic gram-negative baciili, so the adoption of prudent use of antimicrobial ag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a surveillance system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