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Search Result 15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감잎차와 녹차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비교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ersimmon Leaf Tea and Green Tea)

  • 임정호;김범근;박찬은;박기재;김종찬;정진웅;정승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97-804
    • /
    • 2008
  •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즐겨 마시는 차로 이용되고 있는 감잎을 시료로 택하여 실제 음용 조건으로 추출하여 일반 성분, 클로로필 및 총 페놀 함량을 분석하였고, 전자공여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 ACE 저해도, SOD 유사 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및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녹차와 비교하였을 때 비슷한 수준의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CE 저해도 역시 50%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SOD유사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 오히려 녹차보다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항균 활성의 경우 4가지 균주 모두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Staphylococcus aureus를 제외한 3가지 균주(Listeria monocytogenes, Escherichia coil, Salmonella typhimudum)에 대해서는 녹차 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노박덩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효과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Celastrus orbiculatus)

  • 강대연;신미옥;손재학;배송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2-57
    • /
    • 2009
  • 본 연구는 천연소재용 이용하여 식품 저장성과 안전성 향상을 위한 식품첨가제나 보존제등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민간에서 사용되어 온 노박덩굴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 및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효과를 알아 본 결과 COMB층이 $39.75{\mu}g/ml$에서 50%의 DPPH free radical의 소거활성을 보여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ROS 제거활성 측정결과에서도 COMB층이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4.73{\mu}g/ml$에서 50%의 ROS 제거 활성을 나타내어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trolox와 거의 유사한 제거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ONOO^-$ 제거활성 역시 COMB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positive control인 penicillamine 의 IC50값인 $4.34{\mu}g/ml$과 비교하였을 때 더 높은 제거 활성 효과를 나타내어 높은 항산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한 항균효과 실험 결과, 사용한 모든 균주에서 COMH층을 제외한 COMM, COMB 및 COMA층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bacillus subtilis에서는 COMH층을 제외한 모든 층에서 농도에 비례하여 항균력이 점차 증가하였으며, 전반적으로 COMM층과 COMB층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항산화효과는 노박덩굴의 butanol 분획층인 COMB층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COMM 순이었다. 항균 효과는 사용한 모든 균주에서 methanol 분획층인 COMM 층이 전반적으로 높은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COMB층이 다음으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상의 결과로 노박덩굴의 butanol 분획층인 COMB층과 methanol 분획층인 COMM 중에서 항산화 활성과 항균력을 나타내는 효과적인 생리 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지며, 앞으로 더욱 심도 있는 연구용 통하여 천연 항산화제, 천연식품보조제 및 천연 항균제등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활용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iological Activities of Methyl-4-[[(2E)-3,7-dimethyl-oxy]-3-hydroxybenzoate

  • Baek, Seung-Hwa;Oh, Hyun-Ju;Lim, Jin-A;Chun, Hyun-Ja;Lee, Hyun-Ok;Ahn, Jong-Woong;Perry, Nigel B.;Kim, Hyung-M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5권2호
    • /
    • pp.195-197
    • /
    • 2004
  • Methyl-4-[[(2E)-3,7-dimethyl-2,6-octadienyl]oxy]-3-hydroxybenzoate (5) has been identified from the New Zealand liverwort Trichocolea hatcheri (T. hatcheri)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evidence. This compound was tested for its growth inhibitory effects against tumor cell lines, using th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It showed growth inhibition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epidermidis (MIC, 1,000 ${\mu}$g/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pound 5 possesses antitumoral ,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능이버섯(Sarcodon aspratus) 추출물의 항산화성과 항균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arcodon aspratus)

  • 윤경영;이숙희;신승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967-972
    • /
    • 2006
  • 본 연구는 식품, 약용, 유전자원 등 풍부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 능이버섯에 대하여 기능성 식품의 개발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능이버섯을 열수와 에탄올로 추출하고 생리활성효과를 측정하였다. 과산화물가(POV)는 항산화제로 사용되는 ${\alpha}-tocopherol$과 BHT보다 능이버섯 에탄올추출물이 높은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었다. 능이버섯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는 능이버섯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전자공여능이 증가하였으며, 열수추출물이 에탄올추출물보다 전자공여능이 높았다. 능이버섯 추출물의 pH에 따른 아질산염 분해능과 농도에 따른 아질산염 분해능을 조사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아질산염 분해능이 증가하였고, 열수추출물이 에탄올추출물보다 분해작용이 좀 더 높게 나타났다. 능이버섯의 SOD 유사활성은 에탄올추출물이 열수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내었다. 추출물에 대한 항균활성은 6종류의 식중독세균 Bacillus subtilis KCTC 1659, Listeria monocytogenes ATCC 7644, Staphylococcus aureus ATCC 13565, Gram 음성균인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43895, Salmonella Typhimurium ATCC 7988, Shigella sonnei KCTC 2009을 실험균주로 사용하였다. 능이버섯의 항균활성은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모두 3%, 5% 농도에서 양성균인 L. monocytogenes와 S. aureus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흰민들레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볶음시간에 따른 흰민들레 침출차 제조에 관한 연구 (Biological Activity of Korean Dandelion (Taraxacum coreanum) Extracts and Preparation of Korean Dandelion Tea by Roasting Time)

  • 유은미;민성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81-587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Korean dandelion (Taraxacum coreanum). Water extracts, ethanol extracts and methanol extracts were used to examine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flavonoid content,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flavonoid, total polyphenol and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extraction solvents. The antimicrobial activties of Korean dandelion extracts were examined on several food borne illness microorganisms using the paper disc diffusion method. Inhibition zones were observed on 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subtilis, Bacillus cereus and Escherichia coli in ethanol extracts. Inhibition zones were also observed on Listeria monocytogenes in water extract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dandelion tea according to the roasting time and soaking amount of tea were studied. The pH of the dandelion tea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the soluble solid content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ed roasting time (p<0.01). The lightness of the dandelion tea decreased and the turbidity increased with increased roasting time. In sensory evaluation, the sensory scores for the color, flavor and total acceptability were highest in the 40 min roasted te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ater extract of Korean dandelion could be used as an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functional food source. The optimum roasting time for Korean dandelion tea was 40 min at $200^{\circ}C$.

초피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항균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Chopi(Zanthoxylum Pipperitum DC.) Solvent Extracts)

  • 안명수;김현정;한미남;원종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0-176
    • /
    • 2004
  • 천연첨가물검색의 일환으로 초피의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성과 항균성을 실험하고, 소비자의 수용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초피를 첨가한 육원전의 관능 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초피 용매 추출물들의 옥수수유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합성항산화 제인 BHT과 같은 농도에서 BUex는 월등히 높았으며, MEex, EAex는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2. 초피의 용매 추출물의 중 CHex와 BUex가 Escher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Ps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및 Listeria monocytogenes 모두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보였다. 3. 초피 가루를 식품에 첨가하여 제조한 육완자전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도를 검사한 결과는 0.1%를 첨가한 경우는 초피를 첨가하지 않은 본래의 육완자전과 같은 수준의 기호도를 나타내므로써(P<0.05) 초피 가루에 의한 이미(異味)가 없어 육와자전 제조에 초피가루를 사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활나무 부위별 추출물의 유지에 대한 항산화 효과 및 항균성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Crotalaria sessiflora L.)

  • 우나리야;김태수;박춘근;성하정;고상범;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948-952
    • /
    • 2005
  • 본 연구는 활나물의 항산화제와 항균제로의 이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되었다. 활나물의 용매 추출수율은 줄기, 잎, 뿌리 순이었고 줄기추출수율이 $4.47\%$로 가장 높았다 총 페놀성화합물 함량은 잎, 뿌리, 줄기의순이었고, 잎 추출물이 2.98 mg/mL로 가장 높았으며, 줄기 추출물에서 가장 낮았다. 활나물 부위별 추출물의 유지에 대한 항산화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옥수수유에 추출물과 항산화제를 각 농도별로 첨가하여 $60\pm2^{\circ}C$에 저장하면서 3일 간격으로 POV를 측정한 결과, 활나물의 잎, 줄기, 뿌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저장기간 동안 높은 항산화성을 나타내었고, $0.05\%$의 추출물을 첨가한 군의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또한 저장기간에 따른 CDV측정 결과 POV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산화 유도기간은 잎, 줄기$0.05\%$ 추출물이 대조군에 비해 연장되었다 활나물추출물의 항균성을 측정한 결과 잎 추출물이 모든 균종에서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줄기, 뿌리 추출물 순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Pseudomonas florescens에 대해서는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활나물 추출물의 항산화효과와 항균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부위에서 강한 활성을 나타내어 천연 첨가물로의 개발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Antimicrobial Activity of Caffeic acid-functionalized ZnO Nanoparticles

  • Choi, Kyong-Hoon;Hong, Dae Eui;Kim, Ho-Joong;Park, Bong Joo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80.2-380.2
    • /
    • 2016
  • The emergence of new infectious diseases, the resurgence of several infections that appeared to have been controlled and the increase in bacterial resistance have created the necessity for studies directed towards the development of new antimicrobials.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synthesized a novel antioxidant ZnO nanoparticle that is newly designed and prepared by simple surface modification process. Antioxidative functionality is provided by the immobilization of antioxidant 3-(3,4-dihydroxyphenyl)-2-propenoic acid (caffeic acid, CA) onto the surface of ZnO nanoparticles. Micro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ZnO@CA nanoparticles were investigated by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infrared spectroscopy (IR) and steady state spectroscopic methods. Antimicrobial Activities of ZnO@CA nanoparticles were measured against various bacterial strains using antibacterial testing methods.

  • PDF

천년초 꽃잎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Opuntia humifusa Petal)

  • 정복미;신미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23-530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Opuntia humifusa (OH) petal extracts. The methanol and hexane extracts of OH petals showed their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Clostridium perfringens. The OH petal butanol fraction had the best antioxidative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among OH petal extracts. The DPPH scavenging activity of OH petals was lower than the peroxynitrite scavenging effect. The hexane and methanol fractions at a concentration of 200 ${\mu}g$/mL inhibited proliferation >80% in four kinds of human cervical cancer cells(B16F10, HepG2, HT-29 and MCF-7). In particular, the anticancer effect against B16F10 human skin cancer cells at the same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cancer cells.

참가사리 분획물의 항산화.항균효과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Gloiopeltis Tenax)

  • 정영화;정복미;강대연;구미정;신미옥;배송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4호
    • /
    • pp.366-371
    • /
    • 2006
  • 참가사리의 항산화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ROS와 RNS 제거활성을 측정하였다. ROS 제거활성 측정결과 GTMM층과 GTMB층이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trolox와 유사한 높은 제거능을 보였고, $ONOO^-$ 제거능은 그 효과가 미약하였으나 GTMM 층에서 나타났으며 NO 제거활성 역서 GTMM층과 GTMB층에서 약한 효과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 GTMM 층에서 ROS 제거 활성의 효과가 높았으며 다음으로 GTMB층에서 효과를 보여 GTMM층과 GTMB층에 활성산소 제거효과를 가지는 물질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한 항균활성 효과 실험결과, Serratia marcescens가 모든 층에서 높은 항균력을 보였으며 Proteus mirabilis에서도 GTMA층을 제외한 모든 층에서 항균효과를 보였다. 사용한 모든 균주에서 각각 항균력의 차이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GTMB 층과 GTMM 층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참가사리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물질에 대한 단계적인 분리 동정이 이루어져 GTMM 층과 GTMB 층의 생리활성물질 개발이 기대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