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cancer activities

검색결과 754건 처리시간 0.02초

Effect of Soy Isoflavones on the Expression of $TGF-{\beta}1$ and Its Receptors in Cultured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 Kim Young-Hwa;Jin Kyong-Suk;Lee Yong-Wo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5-183
    • /
    • 2005
  • The two major isoflavones in soy, genistein and daidzein, are well known to prevent hormone-dependent cancers by their anti estrogenic activity. The exact molecular mechanisms for the protective action are, however, not provided yet. It has been reported that genistein and daidzein have a potential anticancer activity through their antiproliferative effect in many hormone-dependent cancer cell lines.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TGF-\beta1)$ has also been found to have cell growth inhibitory effect, especially in mammary epithelial cells. This knowledge led to a hypothetical mechanism that the soy isoflavones-induced growth inhibitory effect can be derived from the regulation of $TGF-\beta1$ and $TGF-\beta$ receptors. In order to test this hypothesis, the effects of the soy isoflavones at various concentrations and periods on the expression of $TGF-\beta1$and $TGF-\beta$ receptors were investigated by using Northern blot analysis in human breast carcinoma epithelial cell lines, an estrogen receptor positive cell line (MCF-7) and an estrogen receptor negative cell line (MDA-MB-231). As a result, only genistein has shown a profound dose-dependent effect on $TGF-\beta1$ expression in the $ER^+$ cell line within the range of doses tested, and the expression levels are correspondent to their inhibitory activities of cell growth. Moreover, daidzein showed down-regulated $TGF-\beta1$ expression at a low dose, the cell growth proliferation was promoted at the same condition. Therefore,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the soy isoflavones can be mediated by $TGF-\beta1$ expression, and the effects are mainly, if not all, occurred by ER dependent pathway. The expression of $TGF-\beta$ receptors was induced at a lower dose than the one for $TGF-{\beta}1$ induction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ER, and the expression pattern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cell growth inhibi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gulation of $TGF-\beta$ receptor expression as well, prior to $TGF-\beta1$ expression, may be involved in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soy isoflavones. Little or no expression of $TGF-\beta$ receptors was found in the MCF-7 and MDA-MB-231 cells, suggesting refractory properties of the cells to growth inhibitory effect of the $TGF-\beta$. The soy isoflavones can seemingly restore the sensitivity of growth inhibitory responses to $TGF-\beta1$ by re-inducing $TGF-\beta$ receptors expression. In conclusions, our findings presented in this study show that the antitumorigenic activity of the soy isoflavones could be mediated by not only $TGF-\beta1$induction but $TGF-\beta$ receptor restoration. Thus, soy isoflavones could be good model molecules to develop new nonsteroidal antiestrogenic chemopreventive agents, associated with, regulation of $TGF-\beta$ and its receptors.

  • PDF

인간의 대장암 HT-29 세포주에서 라이코펜이 Insulin-like Growth Factor-I Receptor Signaling Pathway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ycopene on the Insulin-like Growth Factor-I Receptor Signaling Pathway in Human Colon Cancer HT-29 Cells)

  • 이현숙;정재인;강영희;;윤정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37-443
    • /
    • 2003
  • 선행연구에서 라이코펜이 HT-29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는 그 기전을 연구하기 위하여 수행되 었다. 라이코펜이 HT-29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지 조사하기 위해서 여러 농도의 라이코펜이 포함된 배지에서 세포를 4일 동안 배양하였다. 라이코펜 농도의 증가에 따라 사멸되는 세포에서 나타나는 특징의 하나인 DNA fragmentation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Western blot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에 의하면 라이코펜이 IGF-IR, IRS-1, PI3K, Akt와 같은 IGF-IR pathway에 속하는 단백질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IGF-IR의 인산화를 유도하기 위해서 라이코펜이 포함된 배지에서 세포를 배양하고 IGF-I을 첨가하여 0, 5, 10, 60분간 배양한 다음 IGF-IR antibody를 이용하여 immunoprecipitation을 수행하였다. 라이코펜은 IGF-I에 의한 IGF-IR, IRS-1의 인산화와 IGF-IR와 PI3K의 결합을 감소하고 인산화된 Akt를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IGF-IR signaling의 억제는 이 대장암세포에 존재하는 IGF-II의 autocrine loop을 억제하는 원인이 될 수 있어, 라이코펜의 암세포증식을 억제하는 기전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라이코펜은 토마토와 그 가공품에 많이 존재하는 물질로 자연적인 식사를 통해 많이 섭취할 수 있는 물질이다. 라이코펜의 항암 기전을 밝혀냄으로써 미래 암예방과 치료를 위한 중요한 기능성 영양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키토산 처리가 콩나물의 Soyasaponin 함량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hitosan Treatment on Changes of Soyasaponin Contents in Soybean Sprouts)

  • 오봉윤;박복희;함경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84-588
    • /
    • 2007
  • 키토산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재배한 콩나물의 조사포닌은 대조구에 비해 모두 키토산을 처리한 콩나물에서 더 많이 증가하였다. 생장기간 별로 키토산을 처리했을 때, 생장 $5{\sim}6$일째 조사포닌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 2,000, 1,000, 500 ppm 그리고 250 ppm 농도로 키토산을 처리한 콩나물 순서로 조사포닌 함량이 증가하였다가 7일째에는 감소하였다. 키토산을 농도별로 처리한 콩나물에서 그룹 B 사포닌의 함량을 분석하였을 때 soyasaponin I 은 250 ppm 처리구 콩나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더 높은 농도로 처리했을 때에는 키토산의 농도에 따라서 함량이 감소하였다. Soyasaponin II의 함량은 대조구 콩나물보다 키토산 처리구 콩나물이 키토산의 농도를 증가시켜 처리하였을 때 증가하여 1,000 ppm을 처리했을 때 최고값을 보이다가 더 높은 농도인 2,000ppm을 처리했을 때에는 감소하였다. 하지만 콩나물 재배중 키토산 처리는 soyasaponin V의 함량변화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Sovasaponin III과 IV의 함량은 soyasaponin II와 비슷하게 키토산을 1,000 ppm 처리할 때까지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으며 2,000 ppm 키토산 처리구에서는 약간 감소하였다.

신령버섯균사체 액체배양물의 자가분해에 의한 항암성 isoflavone-conjugated glycoprotein 분리 (Isolation of Anticarcinogenic Isoflavone-conjugated Glycoproteins from a Submerged Liquid Culture of Agaricus blazei Mycelia by the Autolysis Process)

  • 김소영;김영숙;장정순;김보현;라키브 압두르;김곤섭;김정옥;하영래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316-1324
    • /
    • 2014
  • 신령버섯균사체(Agaricus blazei mycelia: ABM)를 대두박이 함유된 액체배지에 배양하고, 이것을 자가분해($53^{\circ}C$, pH 5.5, 120 rpm, 3 hr)하여 항암성이 강한 isoflavone-conjugated glycoprotein (Gluvone 이라 명명)을 분리하였다. Gluvone은 지금까지 알려진 당단백질과는 달리 분자량이 작고(9,400 Da), isoflavone이 결합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Gluvone은 60% 탄수화물(glucose, fructose, ribose), 31% 단백질 및 2% isoflavone (daidzein, genistein)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Gluvone은 S-180 복수암세포, MCF-7 인체유선암세포에 대한 독성이 강하였고, S-180 세포로 유발한 mouse 복수암을 강하게 억제하였다.

Paclitaxel, Lenvatinib 및 방사선 병용 요법의 역형성 갑상선암에서의 항암 작용 (Anti-cancer Activity of Paclitaxel, Lenvatinib and Radiation Combination Therapy on Anaplastic Thyroid Cancer in Vitro and in Vivo)

  • 전시열;김수영;김석모;박기청;김희준;장호진;이용상;장항석;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9-25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Although anaplastic thyroid carcinoma (ATC) is rare, it is one of the deadliest forms of thyroid cancer. The fatality rate for ATC is high, and the survival rate at one year after diagnosis is <20%.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tumor activities of paclitaxel, radiation, and tyrosine kinase inhibitor (TKI) combined therapy in anaplastic thyroid cancer cells both in vitro and in vivo and explore its effects on apoptotic cell death pathways. Materials & Methods: ATC cell line was exposed to TKI, lenvatinib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clitaxel with radiation, and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by MTT assay. Effects of the combined treatment on cell cycle and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were assessed by flow cytometry and western blot analysis. The ATC cell line xenograft model was used to examine the anti-tumor activity in vivo. Results: Our data revealed that the combined administration of paclitaxel, TKI, and radiation decreased cell viability in ATC cells, and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poptotic cell death in these cells, as demonstrated by the cleavage of caspase-3 and DNA fragmentation. This combination therapy reduced anti-apoptotic factor levels in ATC cells, while significantly decreasing tumor volume and increasing survival in ATC xenograft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dministering the combination of paclitaxel, TKI, and radiation therapy may exert significant anticancer effects in preclinical models, potentially suggesting a new clinical approach for treating patients with ATC.

구리이온(II)이 존재할 때 Salvianolic acid B에 의한 DNA 절단 (DNA Breakage by Salvianolic acid B in the Presence of Cu (II))

  • 이평재;문철;최윤선;손현규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05-210
    • /
    • 2018
  • 단삼의 성분인 salvianolic acid B는 다양한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다. 특히 항산화 효과는 간세포, 신경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세포유형에서 보호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하지만 ferulic acid와 같이 항산화제로 여겨지는 몇몇 페놀성 물질은 특정 전이 금속이 있으면 산화작용을 하며 이것이 항암 효능을 설명하기도 한다. 본 실험에서 salvianolic acid B가 $Cu^{2+}$ 환경에서 산화작용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salvianolic acid B와 $Cu^{2+}$를 동시 처리하면 supercoilded 형태의 DNA가 open circular 혹은 linear 형태로 바뀌었으나 salvianolic acid B 혹은 $Cu^{2+}$를 단독 처리 했을 때는 그렇지 않았다. $Cu^+$에만 특정적인 킬레이터 neocuproine을 이용하여 salvianolic acid B가 $Cu^{2+}$$Cu^+$로 환원시킴을 알았으며 $H_2O_2$를 물과 산소로 분해하는 catalase를 처리하면 DNA 분해가 일어나지 않았다. 활성산소종 중 하나인 $H_2O_2$는 생체분자 특히 DNA를 공격하여 정상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한다. 정리하면 salvianolic acid B에 의한 $Cu^{2+}$의 환원은 $H_2O_2$를 생성하며 $H_2O_2$는 DNA 분해를 일으킨다. 이런 결과는 salvianolic aicd B의 항암효과가 salvianolic acid의 $H_2O_2$ 생성 때문일 수 있다는 작은 단서를 줄 수 있으며 이는 좀 더 실험이 이뤄져야 한다.

시판 약물의 시토크롬 2J2 약물대사효소 저해능 탐색 (Screening of Potential Anticancer Compounds from Marketed Drugs: Aripiprazole, Haloperidol, Miconazole, and Terfenadine Inhibit Cytochrome P450 2J2)

  • 류광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558-1564
    • /
    • 2011
  • CYP2J2는 치료약물 및 아라키돈산과 같은 내인성 화합물의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효소이다. 최근, CYP2J2 단백질이 인체 종양 조직이나 종양 세포주에 과발현되어 있고, CYP2J2 효소의 작용에 의해 생성된 에폭시에이코사트리에논산(EETs)이 세포사멸을 방지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시판중인 약물 120종을 대상으로 시토크롬 2J2 동종효소에 저해능을 가지는 화합물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인체 간 마이크로솜 시료에 아스테미졸과 NADPH 재생성계 및 약물(50 ${\mu}M$)을 첨가한 후 15분간 반응시켜 생성된 대사물을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시토크롬 2J2 동종효소 활성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할로페리돌, 터페나딘, 아리피프라졸, 미코나졸의 순으로 CYP2J2 효소 활성 저해능을 보였다. 미코나졸은 CYP2J2에 의해 매개되는 에바스틴($IC_{50}$=11.2 ${\mu}M$) 및 터페나딘($IC_{50}$=2.2 ${\mu}M$) 대사를 강력하게 저해하였다. 터페나딘 또한 CYP2J2 매개 에바스틴 대사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IC_{50}$=13.6 ${\mu}M$). 향후, 이들 약물을 대상으로 한 항암 활성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Cordycepin에 의한 LNCap 인체 전립선 암세포의 apoptosis 및 G2/M arrest 유발 (Induction of Apoptosis and G2/M Cell Cycle Arrest by Cordycepin in Human Prostate Carcinoma LNCap Cells)

  • 이혜현;황원덕;정진우;박철;한민호;홍수현;정영기;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2-97
    • /
    • 2014
  • Cordycepin은 Cordyceps militaris에서 처음 유래된 nucleoside adenosine 유도체의 일종으로 면역증강 및 항암활성을 포함한 다양한 약리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LNCap 인체 전립선 암세포 모델을 이용하여 cordycepin에 의한 항암활성 기전을 연구하였다. Cordycepin 처리에 따라 LNCap 세포는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증식이 억제되었으며, 이는 apoptosis 유발과 연관성이 있음을 poly ADP-ribose polymerase의 단편화 현상과 Annexin V 염색에 의한 정량적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Cordycepin 처리에 따른 flow cytometric analysis 결과로서 cordycepin이 세포주기 G2/M기 정체 현상을 유발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cyclin B1 및 cyclin A의 발현 감소와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cordycepin이 처리된 LNCap 세포에서 cyclin-dependent kinase (CDK) inhibitor p21Waf1/Cip1의 발현이 증가되었지만, CDK2, CDC2 및 Cdc25C의 발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cordycepin에 의하여 증가된 p21 단백질은 CDK2 및 CDC2와의 복합체를 형성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LNCap 전립선 암세포에서 cordycepin에 의한 G2/M 및 apoptosis 유발은 p53 비존적인 CDK inhibitor p21의 발현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발효 콩을 주원료로 한 기능성 식품 추출물의 항산화성, 항돌연변이원성 및 세포독성 효과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Functional Food Manufactured from Fermented Soybean Extract)

  • 최승필;오흥석;박종철;남기본;이득식;함승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14-220
    • /
    • 2004
  • 발효콩을 주원료로 한 기능성 식품의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31.6$\mu\textrm{g}$/mL의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직접 변이원인 MNNG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에서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해 발효 콩을 주원료로 한 기능성 식품의 에탄올 추출물(200 $\mu\textrm{g}$/plate)에서 84.8%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Trp-P-1에 대해서는 S. typhimurium TA98과 TA100 두 균주에 대해 각각 88.7%와 92.8%로 다른 분획물보다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검토한 실험에서는 A549와 AGS 및 MCF-7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료농도의 증가와 함께 억제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시료농도 1 mg/mL에서 A549에 대해서 84.5%와 AGS에서는 88.7% 그리고 MCF-7에 대해서는 85.6%의 높은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품종별 장미꽃 메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Different Rose Cultivars)

  • 이선미;이림;성지혜;양진우;김영화;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51-55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장미꽃 methanol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LPS에 의해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염증억제 효과를 알아보았다. 염증 억제의 지표로서는 세포가 방출하는 NO 생성량과 iNOS 및 $NF-{\kappa}B$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RAW 264.7 대식세포에 대한 품종별 장미꽃 methanol 추출물($500{\mu}g/mL$)이 NO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NO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iNOS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LPS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iNOS 단백질의 발현이 장미꽃 methanol 추출물 처리 시 유의적으로 수준으로 억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Luciferase activity를 실행한 결과, LPS로 자극한 세포와 비교하였을 때 염증과 관련된 $NF-{\kappa}B$ promoter activity가 장미꽃 methanol 추출물 처리시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세포질의 $I{\kappa}B{\alpha}$의 인산화를 저해함으로써 전사요소인 $NF-{\kappa}B$ p65, p50을 핵 속으로 유리시키는 과정을 억제하였다. 이 결과로 장미꽃 methanol 추출물이 전사단계에서 저해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장미꽃 methanol 추출물은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에 따라 만성 질환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