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wrinkle effect

검색결과 307건 처리시간 0.038초

한방약용식물의 항산화효과 및 기초화장품소재 응용 (Antioxidizing Effects of Herbal Medicine Plants and Their Applications to the Materials of Skin Care Cosmetic Base)

  • 박영호;이창섭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707-710
    • /
    • 2010
  • 우리나라 서남단의 지리산에는 천연야생에서 자생하는 한방약초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약초로 분류되는 식물로는 1200여종이 자생 혹은 재배되고 있다. 최근들어 이들 중 현대인의 피부노화억제와 관련하여 관심을 끌고 있는 약초로 홍화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데 금번연구에서는 홍화의 주성분인 폴리페놀 화합물(Polyphenol cocktail)이 30 - 40대 중년기의 여성에게 주름생성을 억제시켜 피부노화에 대한 지연효과를 줄 수 있는 천연물질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in vitro법으로 DPPH assay로 항산화효과를 확인하고 더불어 인체에 대한 임상시험을 통해 얼굴피부의 주름발생에 대한 억제 혹은 개선효과가 있음을 입증하고자 한다. 또한 홍화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노화 마스크팩 시제품의 개발로 진일보하여 기능성화장품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것임을 확신한다.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효과를 갖는 다기능성 천연 자외선 차단제(BHC-S) 개발 (Development of Multifunctional Natural Sunscreen (BHC-S) Having Sunscreening and Anti-wrinkle)

  • 김철;정새별;임경현;강명환;안준혁;김진희;이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21-327
    • /
    • 2017
  • 본 연구는 기존의 인공적으로 합성된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대체하는 안정적인 식물유래 천연 자외선 차단제(BHC-S)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땅콩싹추출물, 병출추출물 및 곰피추출물로 구성된 천연 자외선 차단제(BHC-S)는 합성 자외선 차단제인 Parsol MCX-XR (OMC)와 동등 수준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질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안전성을 가지며, 주름개선 등 다기능성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자외선 차단 및 항노화을 위한 천연 화장품 원료로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Biological activities of Rosa multiflora Ethanol Extract as Cosmetic Material

  • Jo, Ha Neul;Kim, Hyun Woo;So, Yangkang;Yoo, Byoung Wan;Kim, Ji Hyo;Lee, Tae Bum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1-91
    • /
    • 2018
  • The Rosa multiflora, a well-known plant belonging to Rosacea, is widely used in orthodox medicine in worldwide. However, its biological activity as a functional ingredient for cosmetic products have not yet been studied. Accordingly, an investigation of the above mentioned atrributes was performed on a 50% ethanol extract of Rosa multiflora.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DPPH. Additionally, the contents of total phenols and flavonoids were analyzed. Also, the phenolic compounds were detected using HPLC. The melanogenesis regulatory effect was evaluated using melanin content and cellular tyrosinase activity in B16F10 melanoma cells. The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assay was performed for anti-wrinkle effect.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assessed using the disc diffusion assa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denoted by the $SC_{50}$ value was found to be $123.1{\mu}g/ml$, whereas that of positive control (ascorbic acid) was $27.5{\mu}g/mL$.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were 202 mg/g and 86.77 mg/g, respectively. In addition, astragalin and gallic acid were identified in the extract. Also, the ethanol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alpha}$-MSH-induced melanogenesis in B16F10 cells. For anti-wrinkle effect,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was 53.2% at a concentration of $100{\mu}g/ml$.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 against S. aureus and E. coli was observed to be 0.5 - 5%, and no significant activity was noted against C. albicans. Therefore, the ethanol extract of Rosa multiflora can be used effectively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 PDF

당귀, 작약, 지황, 천궁 혼합 발효물의 항산화, 항주름 및 미백 효과 (Antioxidant, Anti-Wrinkle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Fermented Mixture Extracts of Angelica gigas, Paeonia Lactiflora, Rehmannia chinensis and Cnidium officinale)

  • 엄지나;민진우;주광식;강희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52-159
    • /
    • 2017
  • Background: I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n extract of a mixture of Angelica gigas, Cnidium officinale, Paeonia lactiflora, and Rehmannia glutinosa ferment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with enhanced value and functionality. In oriental medicine, a mixture of these herbs is called Samultang. Methods and Result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a fermented extract of Samultang on oxidative stress, procollagen type I expression, and melanin production. Samultang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followed by inoculation with Leuconostoc mesenteroides to obtain the fermented extract. The evaluation of viability of B16F10 cells and human foreskin fibroblast (HHF) revealed that both ethanol and fermented extracts of Samultang were non-toxic. The results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test showed that the fermented extract of Samultang ($SC_{50}value=100{\mu}g/m{\ell}$) was a more effective DPPH free radical scavenger than its ethanol extract. In addition, procollagen type I expression was higher in cells treated with the fermented extract of Samultang than in cells treated with ethanol. In the non-toxic concentration range, the fermented extract of Samultang showed strong inhibitory effect on melanin production in ${\alpha}-melanocyte$ stimulatin hormone-stimulated B16F10 cells ($IC_{50}=37.9{\mu}g/m{\ell}$).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ermented extract of Samultang has considerable protential as a cosmetic ingredient owing to its antioxidant, anti-wrinkle, and whitening effects.

모자반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소재 특성 (Functional Cosmetic Effect of Sargassum Extracts)

  • 심하은;노대영;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2권2호
    • /
    • pp.142-146
    • /
    • 2024
  • 전세계적으로 천연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기존 화학합성 기능성화장품소재를 대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천연물에서 기능성화장품소재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모자반은 우리나라의 해안 전지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갈조류의 일종으로서 식용으로도 이용되는 만큼 안전성이 확보되어있는 해조류이다. 본 연구에서는 큰잎 모자반(Sargassum coreanum). 짝잎 모자반(Sargassum hemiphyllum), 쌍발이 모자반(Sargassum patens)의 3가지 종류의 모자반으로부터 열수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였으며, 항산화효과, 미백효과, 주름개선효과, 자외선흡수효과 및 항염증효과를 측정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모자반추출물은 세포독성시험결과 안전성이 매우 우수하였고,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이용한 항산화능 측정결과 우수한 항산화능을 보여주었으며 tyrosinase inhibition을 이용한 미백효과시험에서는 큰잎 모자반(Sargassum coreanum)의 미백효과가 상당히 우수하였다. 그러나 주름개선효과, 자외선흡수효과와 항염증효과는 비교적 낮았다. 결론적으로 큰잎 모자반(Sargassum coreanum)은 세포독성이 적었고,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가 우수하여 미백 기능성화장품소재로서 응용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한방 원료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통한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치 평가 (The Evaluation of Anti-wrinkle Effects in Oriental Herb Extract)

  • 강금석;김인덕;권륜희;허예영;오상훈;김민아;정혜진;강환열;하배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8호통권88호
    • /
    • pp.1147-115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7가지 한방원료(음양곽, 복분자, 오미자, 구기자 , 건지황 l 사상자 , 토사자)의 항산화 효과, collagen 합성 촉진 효과, collagenase 활성 저해 효과를 비교 평가함으로써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항산화 실험인 DPPH 소거 효과, 리놀산 자동산화 억제 효과, superoxide radical 소거 효과, hydroxyl radical 소거 효과에서는 음양곽, 복분자, 오미자, 구기자가 대체적으로 뛰어난 활성을 보여 항노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주름개선 실험인 collagen 합성 촉진 효과, collagenase 저해 효과에서는 건지황, 사상자, 토사자가 다른 네 가지 물질에 비해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어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7가지 한방원료가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능을 나타내므로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부평초 추출물의 미백 및 항주름 효과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 of Spirodela polyrhiza extracts)

  • 김동희;박태순;김세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4호
    • /
    • pp.391-398
    • /
    • 2019
  • 부평초 추출물 및 부평초 분획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항산화, 항주름 및 미백 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부평초 70% 에탄올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SE-E) 100 ㎍/mL 농도에서 각각 44.2와 74.3%로 나타났다. 항주름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내에서의 procollagen 생합성 활성과 MMP-1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부평초 70% 에탄올추출물(SE)은 25 ㎍/mL 농도에서 48.5%, 같은 농도에서 SE-E는 가장 높은 57.8%의 생합성 활성을 나타내었다. SE와 SE-E의 MMP-1 저해활성은 25 ㎍/mL 농도에서 각각 13.4와 28.5%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melanin 생합성 저해 활성과 세포내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25 ㎍/mL 농도에서 SE는 각각 9.6과 13.8%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E-E는 각각 15.4와 22.0%의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SE와 SE-E의 높은 항주름 및 미백 활성이 확인되어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높아 졌으며 추가적인 항균, 항염, 항암 등의 연구가 진행된다면 제약, 화장품, 기능성 식품 등의 분야에 효과적인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보성녹차 감압증류추출물의 주름개선, 미백 효능과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항균효과 (Wrinkle Improvement, Whitening Effect of Boseong Camellia sinensis Vaccum Distilled Extract and Antioxidant, Antibacterial Efficacy of its Hydrothermal Extract)

  • 이광원;홍정현;정선화;김영균;박신성;박수인;신문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845-855
    • /
    • 2021
  • 본 연구는 보성에서 재배된 녹차잎을 감압증류와 열수추출법으로 추출하여 항산화, 항주름, 미백, 항균 in vitro 실험과 HPLC 분석을 수행하였다. 보성녹차 감압증류추출물은 주름개선(Elastase 활성 저해 실험)과, 미백(Mushroom tyrosinase 활성 저해 실험) 효능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열수추출물보다 낮은 농도에서 IC50 값이 측정되었다. 보성녹차 열수추출물은 항산화 시험(DPPH, ABTS+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능, 총 폴리페놀 함량)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항균 실험에서는 보성녹차 열수추출물에 의해 Staphylococcus aureus, Cutibacterium acnes 균주에 대하여 Clear zone이 형성되었다. HPLC 분석 결과로, EGCG와 Caffeine이 열수추출물에서 40.29 mg/g, 9.94 mg/g 검출되었고, 감압증류추출물에서는 Caffeine이 3.4 mg/g 검출되었다. 따라서 보성녹차 감압증류추출물은 주름개선과 미백효과가 탁월하며, 보성녹차 열수추출물은 항산화, 항균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캄보디안 상황버섯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 연구 (Anti-wrinkle Effect of Cambodian Phellinus linteus Extracts)

  • 천순주;장민정;장영아;최은영;전동하;김영훈;조우아;정연숙;권혁범;김태훈;최경임;도정룡;이창언;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718-1721
    • /
    • 2008
  • 사람의 피부는 자외선, 오염된 공기, 화학 제품 등 환경에 끊임없이 노출된다. 이들로 인한 자유라디칼과 활성 산소는 피부세포에 큰 손상을 끼치게 된다. 캄보디안 상황버섯 열수,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지방 산패 억제능 측정과 주름개선 효과 측정을 하였다. 캄보디안 상황버섯 열수, 에탄올 추출물에 금속이온을 첨가하여 지방산패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캄보디안 상황버섯 열수 추출물 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Fe^{2+}$$Cu^{2+}$chelating 능력이 우수하였다. 캄보디안 상황버섯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0.1 mg/ml, 0.5 mg/ml, 1 m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인 butylated hydroxytoluene (BHT)보다 높은 지방산패 억제를 나타내었다. 캄보디안 상황버섯 열수, 에탄올 추출물은 산화 촉매제인 $Fe^2$를 함유한 지방 산패 억제능이 $Cu^{2+}$를 이용한 지방산패 억제능 보다 우수하였다. 주름개선 효과 측정으로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캄보디안 상황버섯 에탄올 추출물은 0.01 mg/ml의 농도에서 50.7%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대조군인 urosolic acid보다 높은 elastase 저해활성을 타나내었다. 또한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0.1 mg/ml의 농도에서 약 5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캄보디안 상황버섯 열수 추출물 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collagenase에 대해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캄보디안 상황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은 지방산패 억제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주름 개선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β-glucosidase 활성 균주 발효에 의한 황기 Isoflavonoid 성분변화 및 생리활성 (The Isoflavonoid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e of Astragalus Radix by Fermentation of β-glucosidase Strains)

  • 김철중;최재후;성은수;임정대;최선강;유창연;이재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371-378
    • /
    • 2020
  • Background: In this study, the radix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extract fermented by Saccharomyces cerevisiae, Weissella cibaria, and Pediococcus pentosaceus to increase the levels of isoflavonoid aglycone contents. Methods and Results: In order to change the in isoflavonoids, we fermented the radix of A. membranaceus extracts with microorganisms that have β-glucosidase activity. Besed on the β-glucosidase activity, we selected three strains, Weissella cibaria, Pediococcus pentosaceu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HPLC analysis revealed that the levels of isoflavonoid aglycones were increased in all fermentation cases, and the extracts fermented by S. cerevisiae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isoflavonoid aglycones.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ti-wrinkle effects and whitening effects of the S. cerevisiae-fermented extracts using the DPPH assay,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ssay, and collagenase inhibition activity assay. We confirmed higher activity in S. cerevisiae-fermented extracts than in control, with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value of 565.1 ± 59.1 ㎍/㎖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yrosinase inhibition rate of 78.4 ± 0.9%, and collagenase inhibition rate of 83.8 ± 1.1%. Conclusions: We selected three stains of microorganisms showing high β-glucosidase activity, W. cibaria, P. pentosaceus and S. cerevisiae. Isoflavonoid glycones in the radix of A. membranaceus were converted to isoflavonoid aglycones by fermentation. In addition, the fermented radix of A. membranaceus exhibited antioxidant activity, anti-wrinkle effect, whitening effec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