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i-Microbial

검색결과 545건 처리시간 0.021초

해조 다당류 추출물의 항균성 및 항염증 기능성평가 (The Functional Effects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of Seaweed polysaccharide Extracts)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161-169
    • /
    • 2018
  • 본 연구는 해조 다당류 추출물을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항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해조 다당류 추출물로 부터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RAW 264.7 세포에서 항염증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해조 다당류 추출물을 Sprague-Dawley (SD) 흰쥐의 등쪽 피부에 적용하여 단회투여독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해조 다당류 추출물은 피부섬유 아세포에서 최대 $1,000{\mu}g/mL$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1 % 해조 다당류 추출물로 처리되었을 때, $1.52{\pm}0.34cm$로 생육저해환이 형성되어 S. aureus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해조 다당류 추출물을 RAW 264.7 세포에 처리하면 농도 의존적으로 산화 질소 (NO)의 생성이 감소하고 인터루킨 1 베타 ($IL1{\beta}$), 종양 괴사 인자 알파 ($TNF{\alpha}$)와 같은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의 생성이 증가하였으며,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가 감소 하였다. 해조 다당류 추출물을 여러 농도로 흰쥐에 투여했을 때 증상은 14 일 이상 변하지 않았으며 췌장이나 장기 무게에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해조 다당류 추출물이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항균 및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가시상추 유래 생리활성물질의 분리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active Materials from Prickly Lettuce (Lactuca serriola))

  • 문성일;김성환;허완;김순영;김종식;이건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6-212
    • /
    • 2009
  • 가시상추(Prickly lettuce : Lactuca serriola)로부터 여러 가지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생리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가시상추의 일반성분, vitamin, polyphenol성 물질 그리고 flavonoid 성분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MeOH 조추출물에 의한 아질산염 제거 활성,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MeOH 조추출물의 EtOAc 분획에서 가장 높은 아질산염 제거 활성, 항산화 활성 그리고 항균 활성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polyphenol성 물질과 flavonoid의 함량도 가장 높았다. EtOAc 분획 중 subfraction 2 (EtOAc:MeOH=3:1)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다. Subfraction 2는 GC-MS에 의해 ${\rho}$-coumaric acid와 caffeic acid로 동정되었다. 가시상추 추출물의 용매 분획별 항균 활성을 검색한 결과, EtOAc 분획에서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가시상추 유래의 생리활성물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 데이터를 제공해 줄 것이다.

진피로부터 정제한 Syringin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urified Syringin from Cortex Fraxini)

  • 설민경;배은영;조영제;박순기;김병오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695-70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물푸레나무 껍질인 진피로부터 Syringin을 효과적으로 분리, 정제하고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평가하여 기능성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Syringin은 DPPH radical 소거활성 평가에서 50 ㎍/ml의 적은 농도로도 BHT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BTS radical 소거활성 평가에서는 모든 농도에서 BHT의 활성과 비슷한 정도의 활성을 나타냈다. PF 측정에서는 Syringin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다소 높아지는 듯했으나 증가폭이 크지 않았고 모든 농도에서 1.2 PF 이상의 활성이 나타나 항산화력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TBARs 활성 측정에서는 모든 농도에서 BHT의 활성보다 낮지만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람양성, 그람음성, 진균에 대한 생육 억제 활성 평가에서는 L. monocytogenes KCTC 13064, S. aureus KCTC 1916, E. coli KCTC 2571, H. pylori HPKCTC B0150의 네 균주에 대한 생육억제환의 크기가 Syringin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C. albicans ATCC 10231에 대해서는 생육억제환이 관찰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한 결과 Syringin의 수용성 물질의 항산화 활성은 지용성 물질의 항산화 활성보다 우수하고 진균을 제외한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 균주에 대한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Syringin의 항산화 및 항세균 기작에 대한 연구와 다른 생리활성 작용, 인체 적용성에 대한 연구를 추가로 진행한다면 천연 유래의 안전한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산돌배나무(Pyrus ussuriensis) 잎 분획물의 항암 및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 (Anti-cancer and Anti-microbial Effect of the Fraction Isolated from Pyrus ussuriensis Leaves)

  • 이창언;김영훈;이병근;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2호
    • /
    • pp.136-141
    • /
    • 2011
  • 본 연구는 산돌배나무 잎에서 추출한 분획물의 항암 및 항균효과를 조사하여 화장품소재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산돌배나무 잎을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60% acetone-$H_{2}O$(6:4, v/v)로 추출하고 아세톤 가용부를 분획하여 동결건조 시켰다. 아세톤 및 물 가용부를 Sephadex LH-20으로 충진한 칼럼에서 MeOH을 용출용매로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고 또한 MeOH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MIC-gel을 이용했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silica-gel TLC로 확인하였다. 항암효과는 마우스 피부암 세포(B16F10)를 이용한 MTT assay로 측정했다. 산돌배나무 잎으로부터 얻어진 분획물의 암세포 생장 저해율은 80% 이상의 저해률을 보였다. 항균활성 실험에서 산돌배나무 잎의 분획물은 그람양성균인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대하여 0.25 mg/disc에서 1.3 cm, 2 cm의 생육 저해환을 나타내었다. 그람음성균인 Escherichia coli 에 대하여 0.5 mg/disc에서 각 분획물들은 1.1 cm~1.5 cm의 생육 저해환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은 항암 및 항균효과를 가진 천연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하(帶下) 처방 3종의 항염, 항소양, 항균 효능에 관한 실험 연구 : 은화사간탕(銀花瀉肝湯), 소복축어탕(少腹逐瘀湯), 완대탕(完帶湯)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nti-inflammatory, Anti-pruritic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the Three Herbal Prescription: Eunhwasagan-tang (EST), Sobokchukeo-tang (SCT), Wandae-tang (WDT))

  • 이은규;박찬욱;김수현;최유진;박경미;양승정;조성희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2-56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 vitro anti-inflammatory, anti-pruritic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the three herbal prescription (EST, SCT, WDT), which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treating leukorrhea induced by various infections in the female genital tract. Methods: In this experiment,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were evaluated by Nitric oxide (NO), $Interlukine-1{\beta}$ ($IL-1{\beta}$), Interlukine-2 (IL-2), Interlukine-6 (IL-6),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Prostaglandin $E_2$ ($PGE_2$), Leukotriene $B_4$ ($LTB_4$) production amount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Nuclear factor kappa B ($NF-{\kappa}B$), Cyclooxygenase-2 (COX-2) gene expression levels in RAW264.7 cells. And the anti-pruritic effects were evaluated by Histamine, Acetylcholine (ACh), Acetylcholinesterase (AChE), Substance P production amount in Mast cell/9 (MC/9) and Pheochromocytoma 12 (PC12) cells. The anti-microbial effect was measured by inhibition zone diameter on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 and Aspergillus niger. Results: As a result of measuring anti-inflammatory efficacy, $IL-1{\beta}$, IL-2, IL-6, $TNF-{\alpha}$, $PGE_2$, and $LTB_4$ production amoun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ST, SCT, WDT extraction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mount of $NF-{\kappa}B$, iNOS, and COX-2 gene expression and the amount of Phospho-Inhibitor kappa B alpha ($p-I{\kappa}B-{\alpha}$)/Inhibitor kappa B alpha ($I{\kappa}B-{\alpha}$) and $NF-{\kappa}B$ p65 protein express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nti-pruritic effect, the amounts of histamine, ACh and Substance 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AChE production was slightly decreased, but it's significance did not appear. Finally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EST, SCT, WDT extraction groups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 and Aspergillus niger was inhibited, however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was not inhibited. Conclusions: These data suggest that EST, SCT, WDT can be used to treat patients with leukorrhea.

오배산가미(五倍散加味)가 점막(粘膜) 및 피부질환(皮膚疾患)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hbaesangami (OBSGM) on the mucosa and skin diseases)

  • 노석선;홍석훈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0권2호통권33호
    • /
    • pp.10-35
    • /
    • 2007
  •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hbaesangami (OBSGM) on mucosa and skin diseases,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tests were performed using several in vitro test models. Results : In anti-microbial test, OBSGM showed the slight inhibitory effect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In anti-oxidant test, OBSGM showed the pot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anti-inflammatory test, OBSGM weakly inhibited th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itric oxide(NO) release from the RAW 264.7 macrophage cells. OBSGM also inhibited the LPS-induced $interleukin-1{\beta}(IL-1{\beta})$ and cyclooxygenase-2 (COX-2) expressions. The inhibitory effects of OBSGM on macrophage activation was via the inhibition of $NF-{\kappa}B$, evidenced by transient transfection assay. Furthermore, OBSGM markedly inhibited the activation of Jun-N-terminal kinase (JNK) and p38 MAP kinase in RAW 264.7 cells. In skin wrinkle formation assay, OBSGM strongly inhibited collagnease and elastase, whose activities are tightly related with the wrinkle formation. In addition, OBSGM inhibited the activities of MMP-1, MMP-2 on the mRNA levels in RAW 264.7 cells. However, OBSGM did not show an inhibitory potential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indicating that it could not be applicable for skin whitening.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OBSGM may be due to its inhibitory potentials on the macrophage activation. And, the anti-wrinkle effects of OBSGM may be due to its inhibitory potential on the collagnease and elastase activities. Therefore, OBSGM could be applicable for the treatment of mucosa and skin diseases.

  • PDF

소금 첨가에 따른 도라지 발효 특성과 미생물 변화 및 항비만 효능 평가 (Effe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Fermentation with Salt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Microbial Change and Anti-obesity Activity)

  • 신나래;임수경;김호준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4-73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n microbial ecology,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besity of Platycodon grandiflorum (PG) fermentation with salt. Methods: PG was fermented for four weeks with 2.5% salt and the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PG were performed by measuring pH, total sugar content, viable bacteria number and microbial profiling. Also, we measured total polyphenol, flavonoid and the percent of inhibition of lipase activity and lipid accumulation. Results: Salt added to PG for fermentation had an effect on pH, total sugar, total and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Total sugar and pH were reduced and number of total and lactic acid bacteria were increased after fermentation. The majority of bacteria for fermentation were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psedomesenteroides and Lactococcus lactis subspecies lactis regardless of salt addition. However, microbial compositions were altered by added salt and additional bacteria including Weissella koreensis, W. viridescens, Lactobacillus sakei and Lactobacillus cuvatus were found in fermented PG with salt. Total flavonoid was increased in fermented PG and lipid accumulation on HepG2 cells treated with fermented PG was reduced regardless of salt addition. Moreover, fermented PG without salt suppressed lipase activity. Conclusions: Addition of salt for PG fermentation had influence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cluding pH and sugar content as well as number of bacteria and microbial composition. In addition, fermented PG showed anti-obesity effect by increasing flavonoid content and inhibition of lipase activity and lipid accumulation.

저식염 고추장 양조시 항균물질 혼합첨가의 영향 (Effect of Combined Use of various Anti-microbial Materials on Brewing of Low Salted Kochujang)

  • 박선주;김동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287-294
    • /
    • 2007
  • 소금농도를 9%에서 6%로 줄이고 항균물질로 알코올과 겨자, 키토산을 혼합첨가 하여 제조한 저식염 고추장의 숙성중의 효소활성도와 미생물상 및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숙성 중 수분활성도의 저하는 식염 9%인 대조구에서 심하였고, 숙성 중에 효모수는 증가하였으나 알코올-겨자 혼합 첨가로 효모수를 조절할 수 있었다. 고추장 숙성 중 ${\beta}-amylase$ 활성은 항균물질 첨가시 증가하였으나 ${\alpha}-amylase$와 protease 활성은 조금 감소하였다. 고추장은 숙성이 진행되면서 L차 a-, b-값이 증가하였으며 알코올 첨가 고추장이 $({\Delta}E)$값의 변화가 적었다. 적정산도는 항균물질의 첨가로 숙성 후기에 저하되었으며, 산화환원전위의 저하는 대조구에서 심하였다. 고추장 숙성 중 총당의 감소는 알코올-겨자 혼합 첨가구(EM)에서 적어 환원당량이 많았으며, 숙성 후기의 알코올의 생성은 알코올에 키토산을 혼합 첨가한 고추장(EC)에서 높았다. 고추장 숙성 중기까지 아미노태 질소는 증가하였고, 숙성중 암모니아태 질소의 생성은 알코올-겨자-키토산 혼합 첨가구(EMC)에서 적었다. 12주 숙성된 고추장을 관능 평가한 결과 색과 향기에서 알코올(E) 또는 알코올-겨자 혼합 첨가구(EM)가 좋아 저식염 고추장 제조시 알코올 또는 알코올-겨자를 혼합 첨가하는 것이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양호하였다.

수박 과실썩음병 병원균(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에 대한 식물유래 항균 활성물질 탐색 (Search for Plant-originated Antibacterial Compounds Against Pathogen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of Watermelon Bacterial Fruit Blotch)

  • 노진택;최용화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7-89
    • /
    • 2015
  • 본 연구는 수박 과실썩음병의 원인균인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균에 대해서 항균활성을 갖는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개발할 목적으로 약용식물 133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들 133종 약용식물의 MeOH 추출물에 대한 bioassay를 통해 항균 활성을 검정한 결과 청피(Citrus unshiu Markovich) 추출물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청피(Citrus unshiu Markovich)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을 구명하고자 용매분획을 하였고, 용매분획 중에서 hexane fraction이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Hexane fraction을 GC-MS로 분석하여 chromatogram상의 각각의 peak에 해당하는 mass spectrum과 Wiley library를 비교하여 profiling 한 결과, essential oil인 d-limonene, ${\gamma}$-terpinene, ${\beta}$-linalool, terpineol과 지방산인 palmitic acid, 9,12-octadecadienoic acid, linolenic acid 그리고 steroid 화합물인 stigmasterol이 검출되었다. 이들 검출화합물 중에서 항균 활성물질로 추정되는 d-limonene, ${\gamma}$-terpinene, ${\beta}$-linalool, terpineol의 항균 활성을 검정하기 위해 표준품을 사용하여 bioassay한 결과 두 화합물 d-limonene, ${\gamma}$-terpinene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청피로부터 분리한 d-limonene과 ${\gamma}$-terpinene 화합물이 항균 활성물질인 것을 구명하였다. 항균력이 강한 청피 추출물 또는 d-limonene과 ${\gamma}$-terpine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추출물을 수박 과실썩음병에 대한 친환경 방제용 자제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