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hocyanins

검색결과 267건 처리시간 0.024초

아로니아 추출물의 미세캡슐 제조 및 설기떡의 안토시아닌 안정성 연구 (Microencapsulation of aronia extract and stability of encapsulated anthocyanins during sulgidduk cooking)

  • 최예지;고은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63-17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3가지 코팅물질로 미세캡슐화하여 설기떡에 첨가하고 물리화학적 특성 및 안토시아닌의 잔존률을 확인하고,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소비자의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아로니아 가루를 첨가한 설기떡에 비해 미세캡슐을 첨가한 설기떡의 가용성 고형분, 수분함량, 적색도, 총 안토시아닌 함량과 총 폴리페놀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철환원력은 말토덱스트린과 아라비아검 또는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혼합하여 제조된 미세캡슐을 첨가한 설기떡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안토시아닌 잔존률은 아로니아 가루를 첨가한 설기떡보다 미세캡슐화된 아로니아 가루를 첨가한 설기떡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말토덱스트린으로 제조된 미세캡슐 또는 말토덱스트린과 아라비아검을 혼합하여 제조된 미세캡슐을 첨가한 설기떡의 안토시아닌 잔존률이 가장 높았다. 아로니아 가루 또는 미세캡슐을 첨가한 경우에 설기떡의 신맛과 떫은맛이 증가하였고, 코팅물질을 혼합 사용한 미세캡슐의 첨가가 설기떡의 색에 대한 기호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말토덱스트린과 아라비아검을 혼합하여 제조된 미세캡슐을 설기떡에 첨가하는 방법이 아로니아의 안토시아닌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오디 anthocyanin 색소의 추출 및 저장 안정성 (Extraction and Stabilization of Anthocyanin Pigments from Morus alba Fruits)

  • 서경화;이대영;정락훈;김영언;김영래;홍억기;방면호;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1호
    • /
    • pp.29-32
    • /
    • 2014
  • This study was initiated to search for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extraction of anthocyanins from Morus alba Fruits using organic acids and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pigments at various storage environments. The anthocyanins were effectively extracted by addition of organic acids such as citric acid, malic acid and fumaric acid. The anthocyanins were not degraded at $25^{\circ}C$ and under a fluorescent light with 183 lux, but sharply degraded at $60^{\circ}C$.

Effects of Different Growing Regions on Quality Characteristics, Bioactive Compoun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onia (Aronia melanocarpa) in Korea

  • Hwang, Eun-Sun;Thi, Nhuan D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3호
    • /
    • pp.255-262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growing regions on quality characteristics, total bioactive compound contents, an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in aronia. Aronia grown in 3 different regions (Sangjoo, Ulju, and Youngcheon) in Korea was obtained and used fresh or as a freeze-dried powd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moisture, ash, crude lipid, and crude protein contents in aronia sampled from the 3 different regions. Aronia grown in Sangjoo had the highest total acid content and the lowest sugar content and pH value. Conversely, aronia grown in Youngcheon possessed the lowest total acid content and the highest sugar content and pH value. Aronia grown in Sangjoo possessed relatively high levels of polyphenols, flavonoids, and anthocyanins, as well as high antioxidant activity in comparison with aronia produced in other regions. Aronia grown in Youngcheon scored the highest f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in sensory evaluations, which may be related to the high sugar content and pH, and the low total acidity of the fruits. It is possible that higher sugar contents and pH, and lower total acidity in the aronia grown in Youngcheon result in more preferable sensory characteristics. However, they also contain relatively low levels of total polyphenols, flavonoids, and anthocyanins, and have low antioxidant activity as measured by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ssays.

흑미(현진주벼)유래 안토시아닌의 항산화능 탐색 (Isolation of Anthocyanin from Black Rice (Heugjinjubyeo) and Screening of its Antioxidant Activities)

  • 박영삼;김선중;장효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5-60
    • /
    • 2008
  • 유색미는 회색 빛 외에 붉은색 흑은 보라색 계통의 색소를 겨 부분에 함유하고 있다. 특히, 흑미는 예로부터 건강식품으로 여겨져 왔다. 흑미(흑진주벼)는 최근에 anthocyanin포함하는 생리활성 물질원으로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Anthocyanin은 수용성의 색소로서 flavonoid계통의 대표 색소로 알려져 왔다. 흑미에 함유되어있는 Anthocyanin으로는 cyanidin 3-O-glucoside와 peonidin 3-O-glucoside, malvidin 3-O-glucoside, pelagonidin 3-O-glucoside, delphinidin 3-O-glucoside등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흑미로부터 amberlite XAD7 chromatography방법을 사용해서 anthocyanin을 추출 후 HPLC와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정량분석 및 정성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흑미의 anthocyanin 추출물 중 95%가 cyanidin 3-O-glucoside, 5%가 peonidin 3-O-glucoside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in vitro상의 여러 가지 실험방법을 통하여 anthocyani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100g/ml 농도의 anthocyanin추출물은 90%이상 linoleic acid emulsion의 과산화를 억제하였고, 55.20%의 DPPH 자유 라디칼 제거효과, 54.96%의 superoxide 자유 라디칼 제거효과, 72.67%의 과산화수소 제거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또한 높은 환원 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준 항 산화 물질로는 BHA, BHT, ${\alpha}-tocopherol$을 사용하였다. 이 결과로 보아 anthocyanin추출물은 새로운 항산화 물질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구기자 추출물의 최적 항산화 추출조건 모니터링 (Monitoring for optimum antioxidant extraction condition of Gugija (Lycium chinensis Mill) extract)

  • 김학윤;이기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51-460
    • /
    • 2017
  • 본 연구는 구기자 항산화 성분의 최적 추출과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건조 구기자의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X_1$, 0~80%) 및 추출 시간($X_2$, 1~5 hr)이며, 종속변수로는 수율,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으로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수율,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회귀식의 $R^2$은 각각 0.9066, 0.9859, 0.8645, 0.9464로 1~10%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건조 구기자 가용성 고형분 수율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8.25%에서 4.22 hr 추출한 것(23.12%)으로 나타났다. 안토시아닌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79.98%에서 3.06 hr 추출한 것(흡광도 1.43)으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의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67.02%에서 3.37 h 추출한 것($3,100{\mu}g/100g$)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DPPH 라디컬 소거능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69.81%에서 1.67 h 추출한 것(96.93%)으로 나타났다.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등고선도를 겹쳐 그려 얻은 최적 조건(에탄올 농도 70% 및 추출 시간 2,5 hr)으로 추출된 추출물의 안토시아닌은 1.0080(흡광도) 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3,145{\mu}g/100g$, 그리고 DPPH 라디컬 소거능은 97%로써 증류수로 1시간 추출한 대조구(안토시아닌 0.4652(흡광도), 플라보노이드 $1,633{\mu}g/100g$ 및 DPPH 라디컬 소거능 87%)에 비해 높은 항산화 성분 추출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개량머루', '거봉' 및 '홍이슬' 품종의 anthocyanin 조성과 특징 (Anthocyanin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Gaeryangmeoru', 'Kyoho', and 'Hongisul' Grape Varieties)

  • 권용희;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4호
    • /
    • pp.470-478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중인 '개량머루', '거봉', '홍이슬' 품종의 anthocyanin 조성을 UPLC-ESI-MS/MS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개량머루'는 착색에 불량하게 작용하는 기상 조건에서도 착색이 우수한 흑포도 품종이고, '거봉'과 '홍이슬'은 교잡종 포도로 각각 검정색과 분홍색 과피를 갖고 있다. 과피에서 추출된 anthocyanin의 조성은 UPLC-ESI-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품종에서 검출된 anthocyanin은 '개량머루'와 '거봉'에서는 각각 25가지, '홍이슬'에서는 21가지였고, 각 품종에서 검출량이 많았던 anthocyanin은 8(개량머루), 15(거봉), 5(홍이슬)가지였다. 세 품종 모두 mono-glucoside가 di-glucoside보다 많았으며, '개량머루'와 '거봉'은 malvidin이 많았던 반면, '홍이슬'은 cyanidin이 가장 많았다. '개량머루'는 acylated anthocyanin(2.0%)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고 '거봉'과 '홍이슬'에서는 p-coumaric acid의 acylation이 가장 많았다. Cyanidin feruloyl glucoside가 '홍이슬'에서만 검출되어 품종 지표로 활용이 가능하였다. 결론적으로 anthocyanin의 조성을 anthocyanidin, 결합된 당의 개수, acylation 및 특정 anthocyanin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품종의 특징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품종별 anthocyanin 특성을 이용하여 '개량머루'가 Vitis amurensis 혹은 그 교잡종의 가능성과 '홍이슬'에서 품종 구별의 기준으로 활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머루(Vitis amurnesis Ruprecht) Anthocyanin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 1 보(第 1 報)] 머루 Anthocyanin의 분리(分離) 및 정량(定量) - (Studies on the Anthocyanins in Wild Vines (Vitis amurensis Ruprecht). - (Part 1)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of Anthocyanins in Wild Vines -)

  • 황인경;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4호
    • /
    • pp.183-187
    • /
    • 1975
  • 우리나라 산간지방(山間地方)에 야생(野生)하는 머루 중(中)의 총(總) anthocyanin의 함량(含量)과 개별(個別) anthocyanin의 조성(組成)을 측정(測定)하였다. 머루로 부터 색소(色素)를 0.1% HCl methanol로 추출(抽出)하여 파장(波長) 538nm $({\lambda}max.)$에서 흡광도(吸光度)를 측정(測定)하여 총(總) anthocyanin 함량(含量)을 구(求)하였다. 추출액중(抽出液中)의 개별(個別) anthocyanin들은 paper chromatography로 분리(分離)하고 0.1% HCl methanol로 용출(溶出)하였다. 분리(分離)된 개별(個別) anthocyanin들의 용액(溶液)을 各己의 흡수극대(吸收極大) 파장(波長)에서 흡광도(吸光度)를 측정(測定)하여 조성비(組成比)를 구(求)하였다. 머루 중의 총(總) anthocyanin 함량(含量)은 신선물(新鮮物)의 g 당(當) 3.95mg이였다. 개별(個別) anthocyanin들의 조성비율(組成比率)은 다음과 같다. delphinidin-3-monoglucoside 12.5%, petunidin-3-monoglucoside 3.5%, cyanidin-3-monoglucoside 2.1%, delphinidin-3,5-diglucoside 10.1%, malvidin-3-monoglucoside 4.3%, petunidin-3,5-diglucoside 8.3%, cyanidin-3,5-diglucoside like 4.1%, malvidin-3,5-diglucoside 55.1%. 머루 중의 주(主) 색소(色素)는 malvidin-3,5-diglucoside이였다.

  • PDF

검정콩 껍질 유래 안토시아닌의 RBL-2H3 세포에서 탈과립화와 사이토카인 생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Anthocyanins Isolated from Black Soybean (Glycine max L.) Seed Coat on Degranulation and Cytokine Generation in RBL-2H3 Cells)

  • 정미자;하태정;최하나;이지선;박용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662-1667
    • /
    • 2011
  • 안토시아닌(anthocyanins)은 플라보노이드에 속하고 항산화 활성들을 포함한 그들의 다양한 건강 유익성에 대해 알려져 있다. 그들 중 검정콩 껍질에서 분리한 주요 안토시아닌은 glycopyranose를 함유하고 있는 배당체이다. 천식은 호염기성 세포(basophils)와 비만세포(mast cells)를 포함한 다양한 면역세포와 관련된 알레르기 관련 질병이다. 호산구(eosinophils), 호염기성 세포, 비만세포는 탈과립화에 의한 천식-특이적 보조 2(T-helper 2) 사이토카인 분비 그리고 계속해서 일어나는 증폭과 같은 염증을 일으키는 매개체의 증가를 통해 알레르기 천식(allergic asthma)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흰쥐 호염기성 백혈병(rat basophilic leukemia) RBL-2H3 세포는 알레르기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in vitro 모델이다. 본 연구에서는 검정콩 껍질 안토시아닌이 항원으로 자극한 RBL-2H3 세포에서 탈 과립 그리고 Th2 사이토카인 생산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세포 탈과립은 ${\beta}$-hexosaminidase의 방출을 검출함으로써 평가하였다. IgE-항원 복합체로 자극한 RBL-2H3 세포내 ${\beta}$-hexosaminidase 방출과 Th2 사이토카인 생산이 무처리군의 그것과 비교하여 더 높았다. 안토시아닌은 RBL-2H3 세포의 IgE-항원 복합체 유도 탈과립을 현저하게 억제시켰고 RBL-2H3 세포내 IgE-항원 복합체-매개체 interleukin(IL)-4, IL-13 그리고 TNF-${\alpha}$ 생산을 저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검정콩 껍질 유래 안토시아닌이 알레르기 반응(allergic reaction)을 현저히 저해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였고, 이들 안토시아닌이 향후 알레르기 천식을 억제하거나 개선하는데 유용한 물질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