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hocyanin

검색결과 819건 처리시간 0.026초

흑미 미강으로부터 안토시아닌의 최적 추출 조건 및 안토시아닌 추출 분말의 저장 안정성 (Optimal Conditions for Anthocyanin Extraction from Black Rice Bran and Storage Stability of Anthocyanin Extract)

  • 김효주;위지향;양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1543-1549
    • /
    • 2015
  • 농업 부산물인 흑미 미강으로부터 식품 원료로 활용하기 위한 안토시아닌을 최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추출 조건을 평가하였다. 흑광 품종 미강의 안토시아닌을 분석한 결과 주요 안토시아닌 성분은 cyanidine-3-glucoside(C3G)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흑미 미강의 안토시아닌을 추출하기 위하여 추출 용매, 추출 온도, 추출 시간에 따라 추출 분말의 수율 및 C3G 함량을 분석한 결과 흑미 미강은 50% 에탄올 용매, $70^{\circ}C$, 2시간 추출에서 안토시아닌이 최적으로 추출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흑미 미강으로부터 최적 조건에서 추출된 안토시아닌 분말을 식품 원료로서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저장 온도($-20^{\circ}C$, $4^{\circ}C$, 실온)와 기간(168일)에 따라 색차와 C3G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흑미 미강에서 추출한 안토시아닌 분말의 색차는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 모두 저장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다. 반면 안토시아닌 분말의 C3G 함량은 저장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여 안토시아닌 함량과 색도 간에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흑미 미강의 안토시아닌 분말은 저장 168일 후에도 모든 저장 온도에서 C3G 함량이 초기 함량의 90% 이상을 유지하여 매우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안토시아닌이 풍부하며 저장 안정성이 높은 흑미 미강의 추출 분말은 식품 산업에서 천연색소 및 기능성 원료로서 활용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색미 색소의 종류와 기능 (Diversity and Function of Pigments in Colored Rice)

  • 최해춘;오세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spc1호
    • /
    • pp.1-9
    • /
    • 1996
  • The edible natural pigments extracted from plant organs become steadly popular to consumer because of those physiological functions desirable for food preservation and human health in recent years. There are a number of colored rice genotypes from light brown to blackish purple via reddish brown and purple. Some researchers reported their results on extraction recipes and identification of chemical structure of the pigments from the colored rice. The pigments extracted from colored ric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of anthocyanin and tannin pigments. Anthocyanin pigments are mainly contained in purple or blackish purple rice while tannin pigments are mainly contained in brown or reddish brown rice. Some brownish purple rices showed two peaks of tannin and anthocyanin pigments simultaneously. Purple rices showed better extraction of pigments in $0.1\%$ HCl-contained $80\%$ methanol or $0.5\%$ malic-acid-contained $80\%$ ethanol, while red rices revealed better extraction of pigments in $0.01\%$ citric-acid-contained $80\%$ ethanol. The anthocyanin pigments are generally unstable to heat, light and acidity of solution. The pigments extracted from colored rice can be preserved stably under the dark and cool(<$5^{\circ}C$) condition and at pH $2.0\~4.0$. The anthocyanin pigments of purple rice are mainly composed by cyanidin-3-glucoside (chrysanthemin). The other pigment fractions in purple rice were identified to peonidin-3-gluco-side, malvidin-3-galactoside(uliginosin) and cyanidin-3-ramnoglucoside(keracyanin). The pericarp coloration of purple rices is controlled by three complimentary genes C (anthocyanin), A(activator) and $Pl^{w}$(purple leaf) genes, while the red rices are expressed by complimentary interaction between Rc(basic substance of pigment) and Rd(distribution of pigment) genes or C and $Pl^{w}$ genes. Recently, the antioxidation and antimutagenic activity in main component of anthocyanin pigments extracted from colored rice were identified. The natural pigments from colored rice can be useful for beverages, cakes, ice scream, cosmetic and so on.

  • PDF

AtMyb56 Regulates Anthocyanin Levels via the Modulation of AtGPT2 Expression in Response to Sucrose in Arabidopsis

  • Jeong, Chan Young;Kim, Jun Hyeok;Lee, Won Je;Jin, Joo Yeon;Kim, Jongyun;Hong, Suk-Whan;Lee, Hojo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41권4호
    • /
    • pp.351-361
    • /
    • 2018
  • Sucrose is a crucial compound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lants, and the regulation of multiple genes depends on the amount of soluble sugars present. Sucrose acts as a signaling molecule that regulates a proton-sucrose symporter, with its sensor being the sucrose transporter. Flavonoid and anthocyanin biosynthesis are regulated by sucrose, and sucrose signaling can affect flavonoid and anthocyanin accumul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found a Myb transcription factor affecting accumulation of anthocyanin. AtMyb56 showed an increase in its expression in response to sucrose treatment. Under normal conditions, anthocyanin accumulation was similar between Col-0 (wild type) and atmyb56 mutant seedlings; however, under sucrose treatment, the level of anthocyanin accumulation was lower in the atmyb56 mutant plants than in Col-0 plants. Preliminary microarray analysis led to the investigation of the expression of one candidate gene, AtGPT2, in the atmyb56 mutant. The phosphate translocator, which is a plastidial phosphate antiporter family, catalyzes the import of glucose-6-phosphate (G-6-P) into the chloroplast. AtGPT2 gene expression was altered in atmyb56 seedlings in a sucrose-dependent manner in response to circadian cycle. Furthermore, the lack of AtMyb56 resulted in altered accumulation of maltose in a sucrose-dependent manner. Therefore, the sucrose responsive AtMyb56 regulates AtGPT2 gene expression in a sucrose-dependent manner to modulate maltose and anthocyanin accumulations in response to the circadian cycle.

재래종(在來種)갓의 Anthocyanin 색소(色素)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二報)] Anthocyanin의 정량(定量)- (Studies on the Anthocyanins in Brassica juncea -Part II.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Anthocyanins-)

  • 박근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1호
    • /
    • pp.39-41
    • /
    • 1979
  • 우리나라 재래종(在來種)갓의 anthocyanin 색소(色素)의 구명(究明)을 위(爲)한 실험(實驗)에서 제일보(第一報)의 구조추정(構造推定)에 이어서 이들 색소(色素)의 함량(含量)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채취시기(採取時刻)의 구별(區別)에 의한 전(全) anthocyanin의 함량(含量)은 peonidin-3-glucoside로 표시(表示)하여 봄갓이 175.5mg% 가을갓이 192.7mg%로 가을갓이 약간(若干) 더 많은 함량(含量)을 보였다. 2, 착색정도(着色程度)의 구별(區別)에 의한 전(全) anthocyanin의 함량(含量)은 peonidin-3-glucoside로 표시(表示)하여 잎의 양면착색(兩面着色)갓이 290.2mg%, 한면(面)만의 착색(着色)이 73.6mg%, 양면(兩面)모두 무착색(無着色)갓이 40.0mg%이었다. 3. 신선(新鮮)한 갓에서 peonidin-3-glucoside로 표시(表示)하여 40mg%이하의 anthocyanin 함량(含量)으로는 육안(肉眼)으로서는 전혀 갓특유(特有)의 착색(着色)을 감지(感知)할 수 없었다. 4. 갓에 존재(存在)하는 이종(二種)의 anthocyanin의 조성비(組成比)는 채취시기(採取時期)및 착색(着色)의 정도(程度)에 따라서도 거의 일치(一致)하였으며 그 조성(組成)은 peonidin-3-glucoside가 55.3% 그리고 peonidin-3-galactoside가 44.7%이었다.

  • PDF

검정콩 성숙시기에 따른 안토시아닌 함량 변화 (Changes of Anthocyanin Contents During Maturity Stages in Black Soybean)

  • 이은섭;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9-23
    • /
    • 2010
  • 검정콩 종피에 존재하는 안토시아닌 함량의 변화 분석을 통해 안토시아닌 생성과 종피색소 착색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UPLC로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하여 개별 안토시아닌 축적량과 종피색 변화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검정콩 종피 내에서의 안토시아닌 생성시기는 일품검정콩은 개화기 후 35일 이전, 흑청콩도 개화기 후 40일 이전이었는데, 가장 먼저 생성된 성분은 두 품종 모두 cyanidin-3-Glucoside이었다. 종피색의 착색시기는 일품검정콩은 개화기 후 45일경, 흑청콩은 개화기 후 55일~60일이었다. 종피착색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개별 안토시아닌은 cyanidin-3-Glucoside로 밝혀졌다. 종색 착색시기와 수확시의 안토시아닌 함량을 비교한 결과, 두 시기의 안토시아닌 함량 증가율은 일품검정콩이 439%, 흑청콩이 249%였으나 수확기의 종피색 착색정도를 구분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할 때, 종피색에 관여하는 물질은 안토시아닌 이외의 기타 성분이 존재할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성(植物性) 색소(色素)의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꽃잎맨드라미(Amaranthus tricolor L.) Anthocyanin색소(色素)의 안정성(安定性)-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Plant Pigments -II.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s in Ganges Amaranth-)

  • 김광수;이상직;윤태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2-49
    • /
    • 1979
  • 꽃잎맨드라미 anthocyanin을 식용색소(食用色素)로 이용할 목적으로 모델시스템하에서 anthocyanin 안정성(安定性)에 미치는 온도, pH, 당류(糖類) 및 그 분해산물(分解産物), ascorbic acid, quercetin, sodium pyrophosphate, thiouea 그리고 금속(金屬) 이온들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H가 8.0에서 1.0으로 낮아짐에 따라 anthocyanin의 파괴(破壞)가 지연되였는데 pH 2.0에서는 초기의 anthocyanin 파괴(破壞)가 pH 2.0, 3.0에서 보다 더 빨랐다. 2. 수용액내에서 가열 $(80^{\circ}C)$시 pH 2.0에서의 anthocyanin잔존량(殘存量)이 다른 pH수준에서보다 더 많았으며 저장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색소(色素)의 파괴(破壞)가 크게 촉진되었는데 $40^{\circ}C$의 암소(暗笑)에서 10일후 19%정도 $2^{\circ}C$에서는 90%정도 남아 있었고 $2^{\circ}C$에서의 반감기(半減期)는 63일이었으나 $40^{\circ}C$에서는 1.7일로 떨어졌다. 이 색소파괴(色素破壞) 반응(反應)의 활성화(活性化)에너지는 18.93kcal/mole였다. 3. AA의 농도가 15 mg/100 ml에서 50 mg/100 ml로 증가함에 따라 반면에 색소잔존량(色素殘存量)은 줄어 들었다. 4. Anthocyanin의 파괴(破壞)에 대한 glucose와 fructose영향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며 당류분해물(糖類分解物)중에서는 formic acid, levulinic acid, furfural 순으로 색소잔존율(色素殘存率)이 감소하였으며 furfural anthocyanin 파괴작용(破壞作用)이 가장 심하였다. 5. Ascorbic acid 공존하(共存下)에서 quercetin, sodium pyrophosphate 다같이 anthocyanin에 대한 보호작용을 인정할 수 없었으나 thiourea가 50 및 100 mg/100 ml인 처리구에서는 색소손실량(色素損失量)이 상당히 줄어 들었다. 6. 금속(金屬) 이온들중 $Hg^{2+}$$Cu^{2+}$은 30 ppm에서 기타 금속(金屬)이온들에 비하여 anthocyanin의 파괴(破壞)를 촉진시켰다.

  • PDF

자색고구마에서 추출한 anthocyanin의 광안정성 (Photostability of Anthocyanin Extracted from Purple-Fleshed Sweet Potato)

  • 임종환;이장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46-349
    • /
    • 2002
  • 자색고구마에서 anthocyanin 색소를 추출한 후 EDTA, gallic acid, phosphoric acid, propyl gallate 및 sodium ascorbate 등을 첨가하여 $20^{\circ}C$에서 20,000 lux의 백색광을 조사하면서 색소의 광에 대한 안정성을 살펴보았다. EDTA와 sodium ascorbate가 자색고구마 색소의 광안정성을 증진시켰으며, 이들은 각각 100 ppm, 1,000 ppm 이상 사용하였을 때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anthocyanin pigments in colored rice

  • Kim, Min-Kyoung;Kim, Han-Ah;Koh, Kwang-Oh;Kim, Hee-Seon;Lee, Young-Sang;Kim, Yong-Ho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2권1호
    • /
    • pp.46-49
    • /
    • 2008
  • Anthocyanin pigments from varieties of black, red and wild rice were identified and quantified to evaluate their potential as nutritional function, natural colorants or functional food ingredients. Anthocyanin extraction was conducted with acidified methanol with 0.1M HCl (85:15, v/v) and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 aglycone and sugar moieties was conducted by comparison with purified standards by HPLC, Ultraviolet-Visible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nd paper chromatography. Black and wild rice showed three different types of pigments by HPLC whereas red rice variety did not show any anthocyanins. Out of three pigments detected, one (peak 2) was characterized as cyanidin-3-glucoside (C3G) by comparison of spectroscopic and chromatographic properties with an authentic standard, and another (peak 3) was tentatively identified as cyanidin-fructoside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properties with ${\lambda}_{max}$ of aglycone in 1% HCl methanol at 537 nm,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a with major ions at 449 and 287 m/z and chromatographic properties. But another pigment (peak 1) has not been characterized. The most abundant anthocyanin in black and wild rice was C3G.

Hibiscus속 종내의 anthocyanin 분포 (Distribution of Floral Anthocyanins in the Species of Genus Hibiscus)

  • 김종화;손창열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3호
    • /
    • pp.381-384
    • /
    • 1998
  • Hibiscus속 (아욱과)의 27개 종에 대한 안토시아닌분포를 조사한 결과 절(section)간 안토시아닌조성의 차이를 관찰하였다. 가장 대표적으로 발견되는 안토시아닌은 delphinidin과 cyanidin의 3-xylosyglucoside와 3-glucoside로, Trichospermum, Fucaria, Trionum, Abelmoschus, Ketmia절에 속하는 종들에서 나타났다. Cyanidin 3-sophoroside는 Lilibiscus절의 종들에서 발견되는 대표적인 안토시아닌이었다. Bombycella절에서는 6가지의 common anthocyanidin의 3-glucoside와 3-malonylglucoside가 검출되었다. 이러한 안토시아닌의 절간 분포 차이는 기존의 형태적 자료에 기초를 둔 section의 구분 범주와 잘 일치하였다. 또한 자가불화합성을 나타내는 section에서 다양한 안토시아닌의 변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안토시아닌의 변이결과들을 수분생태학과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 PDF

자색고구마 캘러스배양에서 안토시아닌 생합성에 미치는 광의 영향 (Effect of Light on Anthocyanin Biosynthesis in Callus Culture of Purple Sweetpotato)

  • 박혜정;김정숙;박현용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307-311
    • /
    • 2005
  • 자색고구마의 캘러스 배양에서 광의 조사가 안토시아닌 생합성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하였다. 잎조직으로부터 자색캘러스는 $0.5\;{\mu}M$ 2,4-D가 첨가된 MS배지, 광조건에서 유도되었다. 광의 세기에 따른 효과는 암 조건에 비교하여 광조건에서 안토시아닌 생합성이 $2{\sim}3$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약광 (3000 lux)에서 안토시아닌 생합성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광 조사에 의한 안토시아닌 생합성의 촉진효과는 LED를 이용하며 실험한 결과에서 청색광을 2시간 처리한 경우 3000 lux의 백색광을 처리한 대구조에 비교하여 1.4배의 안토시아닌 생합성 향상효과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