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her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36초

Paeonia suffruticosa Andr.의 약배양(約培養)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nther Culture of Paeonia suffruticosa Andr.)

  • 김재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16
    • /
    • 1974
  • 반수체식물(半數體植物)을 만들기 위(爲)하여 경제수종(經濟樹種)인 Paeonia suffruticosa Andr.의 1-2핵(核) 소포자기(小胞子期)의 약(葯)을 Kinetine, 2.4-D, 및 NAA 등(等)을 첨가(添加)한 Murashige and Shoog의 개량배지(改良培地)에 배양(培養)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배양(培養)한 약(葯)에서 Callus가 발생(發生)하였는데 이 callus는 약강내(葯腔內)에서도 생기고 그 외(外)의 약벽조직등(葯壁組織等)에서도 생기지만 약강내(葯腔內)에서 출현(出現)된것만이 반수성(半數性)callus였다. 2. 배양(培養)한 2,000개(個)의 Paeonia suffruticosa Andr.의 약중(葯中)에서 14개(個)(0.7%)의 반수성(半數性)callus가 생겨났는데 이 반수성(半數性) callus는 모두 때문 약강내부(葯腔內部)에서 형성(形成)되여 약(葯)의 봉합부(縫合部)를 헤치고 나온 소포자기원(小胞子起源)의 callus라는 것이 명백(明白)하였다. 3. 2n callus가 생긴 것은 전체(全體)의 0.5% 정도(程度)였었는데 이는 주(主)로 약벽조직(葯壁組織)의 내피(內被)나, 약강(葯腔)사이의 격막(隔膜), 약이유조직등(葯耳柔組織等)에서 생긴것이였다. 4. 약강내(葯腔內)의 소포자(小胞子)는 변화(變化)하여 다핵소포자(多核小胞子) 다세포체(多細胞體)들이 약강내(葯腔內)에 출현(出現)하게 되며 환원소포자(還元小胞子)에서 callus가 생기기 때문에 반수체(半數體)가 육성(育成)되는 것이 틀림이 없었다.

  • PDF

아카풀코나리에서 Differential Slot Blot을 이용한 약발현 유전자 목록작성 (Cataloguing of Anther Expressed Genes through Differential Slot Blot in Oriental Lily (Lilium Oriental Hybrid 'Acapulco'))

  • 서은정;유희주;한봉희;임용표;정미정;이성곤;김동헌;장안철;예병우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5호
    • /
    • pp.598-606
    • /
    • 2013
  • 약은 생식과 화형을 결정짓는 꽃의 주요한 기관 중 하나이다. 오리엔탈나리인 아카풀코로부터 만든 약 특이적 cDNA library로부터 2000개의 ESTs를 무작위로 선발하였다. 잎과 약을 cDNA 탐침으로 이용한 differential slot blot이 약에서 발현되는 클론들을 얻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570개의 비반복적 ESTs를 얻었고 염기서열분석을 하였다. BLASTX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GenBank에 비교해서 191개의 클론이 의미 있는 유사성을 보였지만 나머지(66.5%)는 기존에 보고된 염기서열에 확인되지 않았다. Gene ontology(GO) annotation에 따른 기능분류결과 대체적으로 세포와 세포구성 부분에서 주요하게 단백질이 확인되었다. 7개의 다른 기관과 발달 단계에서 전사체 분석은 약특이적일 적으로 추정되는 30개의 클론을 가지고 노던혼성화반응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differential slot blot을 이용하여 약에 발현되는 유전자를 선별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간주되며 또한 지금의 연구가 앞으로 나리의 화분을 포함한 약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목본식물(木本植物)의 약배양(葯培養)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nther Culture of Some Woody Species)

  • 김재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5-39
    • /
    • 1971
  • 약배양(葯培養)에 의(依)한 반수체식물(半數體植物)의 유기(誘起)가 돌연변이(突然變異), 유전학등(遺傳學等)의 기초연구(基礎硏究)나 실지육종사업(實地育種事業)에 혁신(革新)을 갖져올 수 있다는 사실(事實)이 알려지자 최근(最近) 2-3년간(年間) 이에 대(對)하여 많은 연구(硏究)가 시도(試圖)되었지만 현재(現在)까지 성공(成功)된 식물(植物)의 종류(種類)는 수종(數種)에 불과(不過)하다. 식물(植物)의 여러조직배양법(組織培養法) 중(中)에서도 약배양(葯培養)이 특(特)히 힘든것은 이 경우(境遇)에는 환원소포자(還元小胞子)에서 Callus가 embryoid를 유기(誘起)하여야만 되기 때문이다. 과수(果樹)와 화목류(花木類) 4속(屬) 7종(種)의 식물(植物)을 대상(對象)으로 약배양(葯培養)을 시도(試圖)하였다. 배양약(培養葯)은 대개(大槪) 4분자(分子)에서 늦은 소포자기(小胞子期)의 것을 혼합(混合)하여 사용(使用)하였고 배양기(培養基)는 Modified murashige and skoog의 배지(培地)를 기본배지(基本培地)로 하고 여기에 NAA, $2{\cdot}4$-D, YE, Kinetin등(等)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을 농도(濃度)와 조합(組合)을 달리한것을 첨가(添加)하여 만들었다. 재료(材料)의 취급(取扱), 멸균배양(滅菌培養)에 따른 여러조작(操作), 조직표본작성등(組織標本作成等) 모든것은 상법(常法)에 의(依)하였다. 이제 성적(成績)을 요약(要略)하면 다음과 같다. 1. Callus는 개나리, 진달래, 산철쭉, 살구 등(等)에서 형성(形成)되었고 복숭아, 배, 자두에서는 안생긴다. 2. Auxin Kinetin의 종류(種類)와 농도(濃度)를 달리한 여러 배양기(培養基)를 사용(使用)하였지만 Callus형성(形成)은 어느 것에서나 잘된다. 3. 개나리에서는 Callus는 약표면(葯表面), 약격부위(葯隔部位)에서 체세포기원(體細胞起源)의 2배성(倍性) Callus가 생기고 소포자(小胞子)에서는 안생긴다. 오래 배양(培養)된 소포자(小胞子)에서는 대부분(大部分) 전분(澱粉)이 축적(蓄積)된다. 4. 진달래에서는 화사(花絲), 약격(葯隔), 약내동(葯內童) 등(等)에서 체세포성(體細胞性) Callus가 형성(形成)되고 소포자기원(小胞子期源)의 Callus는 안생기고 소포자(小胞子)에는 전분(澱粉)이 축적(蓄積)된다. 5. 산철쭉은 Callus형성(形成)이 화사(花絲), 약격등(葯隔等)에서도 생기지만 주(主)로 화사반대편(花絲反對便)의 약이첨단(葯耳尖端)에서 잘생긴다. 소포자기원(小胞子期源)의 Callus는 안생기고 소포자(小胞子) 전분(澱粉)이 축적(蓄積)되는 점(點)은 진달래와 같다. 6. 살구는 체세포성(體細胞性) 약조직기원(葯組織起源)의 Callus는 거이 안생기고 Callus는 약강내부(葯腔內部)에서 형성(形成)되어 약봉합부(葯縫合部)를 헤치고 나온다. 오래 배양(培養)된 소포자(小胞子)에도 전분(澱粉)은 축적(蓄積)되지 않는다. 7. 복숭아, 배, 자두 들에서는 60여일배양(餘日培養)된 약(葯)의 어느 부위(部位)에서도 Callus는 형성(形成)되지 않는다. 반면(反面) 소포자(小胞子)에 전분축적(澱粉蓄積)도 안되는것이 특징(特徵)이다. 8. 체세포(體細胞) Callus는 주(主)로 약벽내피(葯壁內被), 두 약강(葯腔)사이의 격막(隔膜), 약격(葯隔) 및 약이유조직등(葯耳柔組織等)에서 생긴다. 9. 살구의 약조직(葯組織)은 배양중(培養中) 별(別)로 변화(變化)가 안되지만 소포자(小胞子)는 변화(變化)하야 다핵소포자(多核小胞子), 다조포체(多組胞體)들이 약강내(葯腔內)에 출현(出現)한다. 이런 현상(現像)은 살구의 Callus는 소포자기원(小胞子期源) 이라는것을 표시(表示)해준다. 10. 7종(種)의 식물중(植物中) 살구만은 환원성(還元性) 소포자(小胞子) Callus가 생기고 기타(基他)의 식물(植物)들은 약(葯)의 체세포성(體細胞性) 조직(組織)에서 Callus가 형성(形成)되기 때문에 반수체육종(半數體育種)의 가능성(可能性)은 살구에서만 있다.

  • PDF

Arabidopsis Histidine-containing Phosphotransfer Factor 4 (AHP4) Negatively Regulates Secondary Wall Thickening of the Anther Endothecium during Flowering

  • Jung, Kwang Wook;Oh, Seung-Ick;Kim, Yun Young;Yoo, Kyoung Shin;Cui, Mei Hua;Shin, Jeong Sheop
    • Molecules and Cells
    • /
    • 제25권2호
    • /
    • pp.294-300
    • /
    • 2008
  • Cytokinins are essential hormones in plant development. $\underline{A}$rabidopsis $\underline{h}$istidine-containing $\underline{p}$hosphotransfer proteins (AHPs) are mediators in a multistep phosphorelay pathway for cytokinin signaling. The exact role of AHP4 has not been elucidated.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young flower-specific expression of AHP4, and compared AHP4-overexpressing (Ox) trangenic Arabidopsis lines and an ahp4 knock-out line. AHP4-Ox plants had reduced fertility due to a lack of secondary cell wall thickening in the anther endothecium and inhibition of IRREGURAR XYLEMs (IRXs) expression in young flowers. Conversely, ahp4 anthers had more lignified anther walls than the wild type, and increased IRXs expression. Our study indicates that AHP4 negatively regulates thickening of the secondary cell wall of the anther endothecium, and provides new insight into the role of cytokinins in formation of secondary cell walls via the action of AHP4.

Changes of RNA synthesis in Anther Wall of Brassica napus during Male Gametogenesis

  • Kim, Moon-Za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1호
    • /
    • pp.25-32
    • /
    • 1995
  • The distribution of RNA in the anther wall of Brassica napus during male gametogenesis was followed by 3H-uridine autoradiography. Silver grain(SG) density was not above background in the anther wall just after microspore was released from tetrad callose wall. Significant accumulation of SGs occurred in tapetum, endothecium, and epidermis before microspore vacuolation. Accumulation of RNA in the tapetal cells was peak before the vaculation occurred in the microspore. With the onset of tapetal senescence at the partially vacuolated microspore stage, SGs decreased and they completely disappeared in the tapetum at the bicelled pollen stage. Accumulation of RNA in the endothecial cells was peak after the microspore mitosis and continued just after the generative cell mitosis. Appreciable SGs also occurred in cells of epidermis from nonvacuolate microspore stage to bicelled pollen stage. During this period, SG density was almost same and was not high as compared with tapetum or endothecium. At tricelled mature pollen stage, no incorporation occurred in anther wall. SGs were found mostly over the nucleouls and chromation of the cell nuclei.

  • PDF

벼 약배양에 효과적인 배지조성 및 저온처리 방법 (Effects of Cold Shock Pretreatment and Carbohydrate Sources on Anther Culture of Rice)

  • 이기환;원용재;고종민;박향미;조준현;오병근;양세준;김순철;남민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369-373
    • /
    • 2003
  • In spite of potential benefits of anther culture, low productivity of plant regeneration in some genotypes; e.g. tonsil and indica rice, is one of the major obstacles for practical use of anther cul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cold shock method and carbohydrate source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nther culture in rice. The most common carbon source, sucrose was replaced to maltose, which has two molecules of glucose. Maltose increased callus induction 1.4-to 1.8-fold higher in japonica rice, 3.2-to 11.6-fold in tongil types and 2.7-fold in indica rice IR50. Callus induction was increased from 0.2% to 12.5% in maltose medium compared to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sucrose plus glucose in indica rice "Tetep". A simple procedure of vacuum packaging of panicles during cold shock treatment prolonged not only anther viability more than 15 days but also increased callus induction more than 2-fold compared to open-air storage (conventional method). Combining of above two methods, callus induction was increased 28 to 56% in japonica, 13 to 33% in tonsil type and 12 to 31% in indica rice. Plant regeneration was increased 14 to 35% in japonica, 10 to 20% in tonsil and 4 to 15% in indica rice, respectively.

약(葯)배양 기법 이용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식물체 생산 (Production of New Regenerated Plant by Anther Culture of Italian Ryegrass)

  • 김기용;강경민;최기준;임용우;장요순;성병렬;손대영;이병현;조진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9-212
    • /
    • 2002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Lolium multiflorum Lam.) 계통 A의 약(葯) 배양을 실시하여 약(葯) 유래의 식물체를 생산하였다. MS 기본배지에 sucrose 30 g/$\ell$, NAA 2 30 mg/$\ell$, kinetin 1 30 mg/$\ell$을 첨가한 캘러스 유도배지에서 배양 20일만에 약(葯) 유래의 캘러스를 유도하였다. 캘러스 유도율은 9.2%였으며, 캘러스의 평균 크기는 8.6mg/callus/anther 였다. MS 기본배지에 sucrose 30 g/$\ell$, NAA 1 mg/$\ell$, kinetin 2 mg/$\ell$을 첨가한 재분화 배지에 캘러스를 치상하여 배양 50일에 완전히 재분화된 식물체를 얻었으며, 캘러스로부터 식물체로 재분화되는 비율은 26% 였다.

DNA marker를 이용한 벼의 조직배양 효율 재선 (Improvement of Cultural Efficiency Using DNA Markers in Anther and Seed Culture of Rice)

  • 김경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27-533
    • /
    • 2006
  • 벼의 약 및 현미 배양효율과 관련된 DNA marker를 이용하여 인디카형 벼 품종인 'IR 36'의 조직배양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MGRI집단의 약배양에서 식물체분화율이 높은 계통으로 선발된 'MGRI 079'와 'MGRI 036'의 약배양 효율은 각각 19.8%, 19.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MGRI 079'에 'IR 36'이 여교배되어 양성된 $BC_2F_4$ 100 계통에 대한 marker 검정을 실시하여 선발된 34 계통중 약배양에서 캘러스 형성률이 'IR 36'보다 높은 계통은 30계통이었고, 현미배양에서 'IR 36'보다 식물체 분화율이 높은 계통은 $BC_2F_4-28$ 외 14 계통이었다. $BC_2F_4$ 34계통 중에서 식물체분화능력이 높은 계통으로 선발된 $BC_2F_4-28$은 간장이 'IR 36'보다 큰 편이었으나 출수기와 미립특성은 'IR 36'과 비슷하였다. 'MGRI 036'에 'IR 36'을 반복친으로 여교배하여 양성된 $BC_4F_3$ 50계통의 현미배양을 실시한 결과 'IR 36'보다 식물체 재분화율이 높은 계통은 $BC_4F_3-3$ 외 10 계통이었고, 그중 $BC_4F_3-46$의 식물체 재분화율이 1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