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erior dislocation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38초

관절경하 생체흡수형 Knotless Anchor를 이용한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의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using Bioabsorbable Knotless Anchor for Anterior Instability of Shoulder)

  • 이용재;이동주;임광열;김명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3-108
    • /
    • 2004
  • 목적: 견관절의 전방 불안정성이 있는 환자에서 관절경하 생체흡수형 knotless anchor를 이용한 치료 결과를 객관적 및 주관적 평가를 통하여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본원에서 외상성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 대하여 관절경하 생체흡수형 knotless anchor를 이용하여 Bankart복원술을 시행하고 평균 12개월 추시된 1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 구성은 남자가 14명, 여자가 1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4세 (16세${\sim}$42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4개월(12개월${\sim}$18개월)이었다. 수술시간은 같은 저자에 의해 2002년 1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suture anchor 술기를 이용하여 관절경하 Bankart 복원술을 시행한 20예와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후 탈구의 재발이나 아탈구의 발생은 없었으며 Rowe등에 의한 기능적 평가에서 평균 89.4점이었고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는 평균 87.5였다. 최종 추시시의 견관절 운동 범위는 각각 굴곡이 평균 171도, 외회전이 평균 54도로 측정되었고 전 예에서 결과에 만족하였으나 3예에서 운동시 불안감각이 남아 있었다. 수술시간은 suture anchor 술기를 이용한 Bankart 복원술에서 1개의 매듭 당 평균 25.5분이 소요되었지만, 생체흡수형 knotless anchor를 이용시 1개의 anchor당 소요 시간은 평균 16.5분으로 의미 있게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P<0.05).결론: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의 원인인 Bankart병변의 치료에 있어 knotless anchor 술식은 관절낭의 적절한 긴장을 획득하고 수술 시간을 단축하는 장점이 있으며 탈구나 아탈구의 재발없이 견관절 불안정성을 치료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Total Ankylosis by Heterotopic Ossification in an Adolescent Anterior Trans-olecranon Fracture Dislocation: A Case Report

  • Kim, Beom-Soo;Song, Kwang-Soon;Bae, Ki-Cheor;Lee, Si-Wook;Um, Sang-Hyun;Cho, Chul-Hyu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2권3호
    • /
    • pp.154-158
    • /
    • 2019
  • The incidence of heterotopic ossification in adolescents appears to be lower than in adults. There exist very few reports of heterotopic ossification with total bony ankylosis in child or adolescent populations. We describe a case of total bony ankylosis of the elbow secondary to heterotopic ossification, in a 14-year-old female. Total ankylosis of the elbow at 45 degrees of flexion was noted 6 months postsurgery, and complete surgical excision of the heterotopic mass was performed. After an additional one-time dose of radiation therapy an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medication, full range of motion was obtained without any recurrence or other complications, up to the last follow-up of 30 months.

과두흡수가 있는 환자의 측방 두부방사선 계측 (Lateral Cephalometic Assessment in Patients with Condylar Resorption)

  • 허윤경;박효상;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4호
    • /
    • pp.337-346
    • /
    • 2006
  • 이 논문은 2년 동안 경북대학병원 구강내과를 턱관절 질환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에 과두흡수가 있는 환자들로서 자기공명영상, 파노라마, 측방횡두개상 그리고 측방 두부방사선 사진들을 모두 촬영한 34명의 환자들만 선택하여, 측방두부방사선 계측으로 과두흡수와 안면부 골격형태의 연관성을 한국인 정상 교합자들의 평균치와 비교 조사하였고, 전치부 개교합이 동반된 군과 개교합이 없는 군을 서로 비교하였으며, 또한 자기공명영상으로 과두흡수와 관절원판변위와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과두흡수가 잘 발생될 수 있는 환자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졌다: (1) 34명중 1명만이 남자로 여자가 대부분이었다, (2) 연령대는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가능하나 10대와 20대에서 발병률이 높았다, (3) 환자들은 높은 하악하연각과 높은 하악각을 가졌다. (4) 하악지의 높이는 작게 나타났으며, (5) 전악각 함요(antegonial notch)가 대체적으로 저명하였다, (6) 구치부 교합은 Angle's Class I 관계가 많았으나, ANB각도는 평균 5.54도로 하악의 후퇴를 나타내었다. (7) 과두흡수는 하악하연각이 낮은 경우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8)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개교합이 동반된 군이 개교합이 없는 군보다 hyperdivergent한 골격형태를 가졌다, (9) 자기공명영상사진에서 과두흡수는 대부분 비정복성 관절원판전위와 연관되어 있었다. 수직적 골격성장이 큰 경우 관절원판 전방변위와 과두흡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봉합나사와 골터널을 이용한 골성 반카르트 병변의 고정 (Alternative Fixation Technique for Bony Bankart Lesion with Using Suture Anchor)

  • 김병국;이호재;김고탁;단진명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574-578
    • /
    • 2019
  • 급성 견관절 탈구에 동반된 골성 반카르트 병변은 골편과 상완인대의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과 안정된 고정이 치료에 필수적이며, 이의 실패는 견관절 재발성 불안정성과 외상 후 관절염을 유발할 수 있다. 반카르트 병변에 큰 뼈 조각 또는 분쇄된 골절 파편이 있는 경우, 관절경 수술 시 제한된 시야와 조작의 어려움으로 큰 골편을 골절 부위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어렵다. 개방형 시술 시는 골편에 도달하고 고정하기 위하여 광범위한 연부 조직 유리 및 절제가 필요하여 이는 신경과 혈관 합병증, 견갑하건의 약화 및 견관절 강직 등, 외과적 접근법과 관련된 병적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 저자들은 관절경적 수술이 용이하지 않은 크기의 관절와 골절이 동반한 견관절 전방 탈구 환자에서 골절면에 봉합나사 고정 후 골 터널을 만든 골편에 봉합사를 통과한 후 골편 및 상완인대를 함께 매듭 하여, 해부학적 위치로 안정된 정복을 얻는 수술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관절와 골 결손을 동반한 견관절 전방 불안정증에 대한 Latarjet 술식 (Latarjet Operation for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with Glenoid Bone Defect)

  • 조승현;조남수;이진웅;최일헌;곽윤호;이용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189-198
    • /
    • 2009
  • 목적: 관절와 골 결손을 동반한 견관절 전방 불안정증에 대해 시행한 Latarjet 술식의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0월부터 2007년 5월까지 관절와의 현저한 골 결손을 동반한 재발성 전방 불안정증으로 Latarjet 술식을 시행 받은 1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15개월 (12~19개월), 평균 연령은 29.9세 (19~44세)였고, 남자가 13예였다. 우측이 8예, 좌측이 6예였으며, 우세수가 8예, 비우세수가 6예였다. 6예는 이전에 관절경적 뱅카르트 봉합술을 받은 후 재발하여 Latarjet 술식을 시행한 경우였다. 2예는 간질로 치료받는 환자였다. 결과: Rowe 점수는 수술 전 평균 51.8점에서 수술 후 평균 80.2점으로 향상되었고, 최우수 9예, 우수 4예, 양호 1예였다. Korean shoulder score for instability도 수술 전 평균 61.6점에서 수술 후 평균 82.1점으로 향상되었다. 능동적 전방 거상과 중립위 외회전 운동 범위는 수술후 건측과 비교하여 각각 8도와 16도 감소되었다. 전방 거상력과 중립위 외회전력은 수술 후 건측의 근력에 대해 각각 78.7%와 82.5%였다. 1예에서 간질 발작으로 재탈구가 발생하였고, 1예에서 일시적으로 한차례 아탈구가 있었다. 섬유성 골 유합이 2예, 전이된 오구 돌기의 흡수가 1예, 수술 중 나사에 의한 골 파괴가 1예, 수술 후 일시적 근피 신경 손상이 1예, 수술 후 견관절 강직이 1예 있었다. 결론: Latarjet 술식은 현저한 전방 관절와 골 결손을 동반한 견관절 전방 불안정증에서 수술 후 외회전 운동 범위의 감소를 유발할 수 있으나 관절 호의 길이를 연장시켜 견관절의 기능과 안정을 회복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오구 돌기 전이와 관련된 합병증이 많이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요한다.

견관절 병변과 관련된 이두박건 활차의 관절경적 소견 (Arthroscopic Findings of Biceps pulley in Shoulder Pathology)

  • 최창혁;김신근;장우창;이승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6-141
    • /
    • 2002
  • 목적 : 이두박건 구 입구에서 이두박건의 내측 전위를 방지해주며, 관절내 활주를 유도해 주는 이두박건 활차는 상부 관절순 및 회전근개의 작용에 영향을 받아 발달하며, 형태학적인 혹은 기능적인 변형이 생길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관절경으로 관찰한 이두박건 활차를 형태학적으로 분류하고, 견관절의 병변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2년 1월부터 7월까지 견관절경 검사 및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49명에 대해서 이구박건 활차의 양상을 stretched type, sling type, detached sung type, concealed type으로 분류하여 관찰하였으며, 대상자는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 22례, 회전근 개 파열 12례, 충돌증후군 5례, 동결견 6례, 상부 관절순 병변 2례, 견갑흉곽 점액낭염 1례, 그리고 이두박건 장두 탈구 1례 이었다. 결과 : 전체 49례중 전형적인 양상인 stretched type은 24례$(49\%)$에서 관찰되었으며, sling type은 5례$(10\%)$, detached sling type은 2례, 그리고 concealed type이 1례 관찰되었으며, 회전근 개 파열이 이두박건 장두 부위까지 연장된 8례를 포함한 17례 $(35\%)$의 경우 그 양상을 확인 할 수 없었다. 결론 : 관절내 이두박건 장두의 내측전위를 방지하고 활주를 유도하는 이두박건 활차의 형성, 발달 및 증상의 유발에는 견관절의 병변 및 체상운동의 정도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상악 절치부에 매복된 다수 과잉치의 외과적 발거 (SURGICAL EXTRACTION OF MULTIPLE SUPERNUMERARY TEETH BY TWO-STAGE PROCEDURE)

  • 홍은혜;김성오;이제호;최형준;손흥규;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33-338
    • /
    • 2008
  • 과잉치란 정상에 비해 많은 수의 치아를 일컫는 것으로 유치열기와 혼합치열기에 발생하며, 여러 가지 임상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상악 전치부의 과잉치는 상악 전치의 맹출 장애 및 전위, 정중부의 치간 이개, 치근 흡수, 함치성낭종 형성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기에 진단하고, 과잉치의 위치 및 수, 형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증례는 상악 전치부에 네 개의 과잉치가 영구치의 맹출을 방해하고 있는 경우로, 발거 시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두 단계로 나누어 발거하였다.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네 개의 과잉치가 주위의 영구치 맹출을 방해하고 있었고, 그 중 두 개의 과잉치는 절치 치배에 매우 근접해 있었다. 네 개의 과잉치를 동시에 제거할 경우 영구 치배에 손상을 줄 위험이 있으므로 두 개의 역위 매복된 원추형의 과잉치만 먼저 발거하였다. 남은 두 개의 과잉치는 위치가 변화되기를 기다린 후 두 번째 발거 수술을 시행하여, 주위 절치 치배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치조골 삭제를 적게 하여 합병증 발생을 줄일 수 있었다.

  • PDF

주관절 강직의 병태 생리 (Pathophysiology of Stiff Elbow)

  • 송현석;윤형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286-292
    • /
    • 2010
  • 목적: 관절의 적절한 기능을 위해서는 관절의 안정성과 운동 범위의 유지가 필요하다. 주관절과 연관된 환자의 주소의 대부분이 주관절의 강직이다. 최근 보고들에서 주관적의 강직에 대한 치료에서 우수한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어떠한 술식을 선택하여야 하는 것은 결정하기 어렵다. 대상 및 방법: Morrey 등은 기능적인 운동 범위를 30-130도의 굴곡-신전 범위, 50도 회내전 및 50도 회외전이라고 하였다. 이 범위에서 일상 생활의 약 90%가 이루어 진다. 주관절 강직은 원인이 되는 외상과 주 병변의 위치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다. 관절 내 원인으로는 심각한 관절 내 불일치, 관절 내 유착 또는 관절 내 연골의 소실, 골극 형성에 의한 기계적 제한, 관절 내 유리체, 활액막의 과다 증식이 해당된다. 관절 외 원인으로는 외상 또는 탈구에 의한 심한 관절막의 유착, 측부 인대 또는 근육의 구축이 해당된다. 결과 및 결론: 신전 제한의 주 원인은 전방 관절막의 섬유화에 의한 구축이다. 이러한 병변은 전방 관절막 절제술이 도움이 된다. 굴곡 제한의 주 원인은 내측부 인대의 후방대의 구축이다.

Monteggia 골절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n Monteggia Fracture)

  • 서재성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31-138
    • /
    • 1987
  • 1. 총 8예중 남자 6례, 여자 2례이었다. 2. 손상의 원인은 낙상이 4례로 가장 많았다. 3. Bado 분류에 의한 빈도는 I형이 4례(50%), II형 1예(12.5%), III형 3예(37.5%)이었다. 4. 척골골절의 위치는 상 1/3 이상 부위가 7예이었다. 5. 요골두 탈구 방향은 전방이 3예로가장 많았다. 6. 치료는 소아는 2예 모두 비수술적 방법으로 하였으며 성인 6예중 2예는 도수정복하고 4례는 골골절윤 압박금속판을 사용하여 내고정하였으며 골두 탈구는 모두 도수정복하였다. 7. 결과는 Bruce 등에 의한 판정으로 excellent 3예, good 2례, fair 1예, poor 2례이었다.

  • PDF

외상후성 관절염에 대한 족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 (Total Ankle Arthroplasty for the Post-traumatic Osteoarthritis)

  • 이근배;조상권;김병수;최민선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5-50
    • /
    • 2007
  • Purpose: To evaluate the short-term clinical outcomes of total ankle arthroplasty for the post-traumatic osteoarthritis. Materials and Methods: Fourteen patients who had undergone total ankle arthroplasty from February 2005 to June 2006 were reviewed. Eleven patients were male and three patients were female. The mean age was 52.8 years (range, 33 to 69 years).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15.9 months (range, 12 to 24 months). Primary injuries were pilon fractures in eight cases, malleolar fractures in three, ankle syndesmotic injury in one, talus fracture and dislocation in one, and distal tibial physeal injury in one. Visual analogue scale (VAS), Range of motion (ROM),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and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an VAS improved from 8.6 preoperatively to 2.6 at last follow-up. The mean ROM improved from 24.6 degrees preoperatively to 33.1 degrees postoperatively. The mean AOFAS score improved from 44.5 points preoperatively to 75.1 points postoperatively. Radiographically, all components were stable, but there were component malpositions in two cases, including one varus malposition of tibial component and one increased anterior translation of talar component. Complications were deep infection in one case, intraoperative malleolar fracture in three, marginal wound necrosis in two, and heterotopic ossification in one. One prosthesis was revised because of deep infection. Conclusion: Total ankle arthroplasty for the post-traumatic osteoarthritis is believed to be an useful method for preservation of the motion, relief of the pain and high satisfaction of patients in short-term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