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omer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초

A New Antioxidant Monoterpene Glycoside, $\alpha$-Benzoyloxypaeoniflorin from Paeonia suffruticosa

  • Ryu, Geon-Seek;Park, Eun-Kyung;Joo, Jeong-Hoon;Lee, Bong-Ho;Choi, Byoung-Wook;Jung, Duk-Sang;Lee, Nam-H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105-108
    • /
    • 2001
  • $\alpha$-Benzoyloxypaeoniflorin (1), a new antioxidant monoterpene $\alpha$-glycoside anomer was isolated from Paeonia suffruticosa along with known compounds, $\beta$-benzoyloxypaeoniflorin (2), paeonolide, paeoniflorin and mudanpioside H. The structure of 1 has been determined by comparing spectral data with those of $\beta$-Benzoyloxypaeoniflorin(2). Compound 1 exhibited moderately pot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n DPPH radical.

  • PDF

Transglycosylation of Permethylated Methyl D-Glycopyranosides in the Presence of Trimethylsilyl Trifluoromethanesulfonate

  • 이창귀;전정호;서영환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9권11호
    • /
    • pp.1233-1238
    • /
    • 1998
  • Transglycosylation reactions among methyl 2,3,4,6-tetra-O-methyl-D-glycopyranosides and isomeric butyl alcohols or cyclohexanol took place in the presence of trimethylsilyl trifluoromethanesulfonate (TMSOTf) in dichloromethane. The extent of the reaction after 1 h and 24 h from mixing was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omerization of the substrate took place during the course of transglycosylation, which favors α anomer regardless of the anomeric configurations of the starting glycosides. Transglycosylation also favors the a anomer regardless of the steric bulkiness of the alcohol. tert-Butyl alcohol did not give any transglycosylation, suggesting the steric hindrance of approaching the bulky alcohol to the oxonium intermediate. A mechanism for the transglycosylation have been proposed.

양송이에서 분리한 보체계와 대식세포 활성화 다당류의 구조적 특성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the Anti-Complementary and Macrophage Activating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Agaricus bisporus)

  • 김병희;권미향;임왕진;성하진;양한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709-716
    • /
    • 1998
  • 양송이의 알칼리 추출물에서 면역계의 주요인자인보체계와 macrophage를 활성화시키는 다당들을 분리, 정제하고 구조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AB-20-IVa-2는 항보체 활성과 macrophage 활성능을 동시에 나타내는 단백다당으로 주요 구성당은 glucose > galactose > mannose 순으로 함유되어 있고 주요 구성아미노산은 phenylalanine (34.72%)과 valine (27.84%)이었다. AB-20-Ia와 AB-20-IIa-2a는 macrophage 활성을 갖고 있는 순수다당으로 AB-20-Ia의 주요 구성당은 glucose > xylose > mannose이고 AB-20-IIa-2a는 xylose > glucose > mannose이었다. AB-20-Ia, AB-20-IIa-2a, AB-20-IVa-2의 분자량은 각각 84만, 75만, 65만 정도로 추정되었다. AB-20-Ia, AB-20-IIa-2a, AB-20-IVa-2의 구조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NMR 분석, methyl화 분석을 통해 anomer 배위 양식과 당쇄 결합 양식을 조사하였다. AB-20-Ia는 ${\beta}-anomer$ 형태로 존재하는데 비해서 AB-20-IIa-2a는 ${\alpha}-$${\beta}-anomer$ 모두 확인되었으며 ${\beta}-$의 비율이 좀 더 높았다. 또, AB-20-Ia와 AB-20-IIa-2a 모두 구성당 잔기에 acetyl기가 존재하였으며 특히, macrophage 활성능이 더 강한 AB-20-IIa-2a에 더 높은 비율로 함유되어 있었다. 이 정제 다당들의 당쇄 결합양식은 AB-20-Ia는 주로 ${\beta}-1,6-linked\;glucofuranosyl$ 잔기가 주쇄를 구성하고 있고, AB-20-IIa-2a는 1,6-linked glucopyranosyl 잔기가 주쇄를 이루고 여기에 측쇄들이 1,4 결합으로 연결된 다당으로 추정되었다. 또, AB-20-IVa-2는 1,2-linked xylofuranosyl 잔기와 1,6-linked glucopyranosyl 잔기가 주쇄를 이루고 이 xylofuranosyl 잔기에 측쇄들이 1,3 결합으로 연결된 다당으로 추정되었다.

  • PDF

Practical Synthesis of $\alpha$-Galactosyl Ceramide, KRN 7000.

  • Song, So-Young;Jung, Song-Kyu;Kim, Sang-Hee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75.1-175.1
    • /
    • 2003
  • Galactosyl ceramides paly important roles in biological system as immunomodulator and essential constituents of membranes and cell walls. An efficient synthesis of $\alpha$-galactosyl ceramide, KRN 7000, derived from marine sponge Agelas mauritianus as accomplished via a short reaction involving the coupling ceramide moiety and trichloroacetimidate as glycosylation donor. We could synthesize $\alpha$-galactosyl ceramide stereoselectivity without $\beta$-anomer formation on a multigram scale.

  • PDF

벼(Oryza sativa L.)의 지상부로부터 adenosine과 phlomuroside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denosine and Phlomuroside from the Aerial Parts of Oryza sativa L.)

  • 정락훈;이대영;조진경;백윤수;서경화;이동걸;강희철;김지영;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4호
    • /
    • pp.321-324
    • /
    • 2014
  • 벼 지상부를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n-hexane, EtOAc, n-BuOH, 및 $H_2O$ 분획으로 나누었다. n-BuOH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 ODS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실시 하여 2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NMR, IR 및 MS data를 해석하여 각각 adenosine (1)과 phlomuroside (2)로 구조 동정 하였다. 이들 화합물들은 벼에서는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태국칡(Pueraria mirifica)으로부터 norsesquiterpene의 분리 및 동정 (Norsesquiterpenes from the Roots of White Kwao Krua (Pueraria mirifica))

  • 권정화;조진경;박희정;허규원;방면호;한민우;오창환;고성권;조수열;최갑용;김진호;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4호
    • /
    • pp.347-352
    • /
    • 2014
  • Pueraria mirifica 뿌리를 실온에서 70% Et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EtOAc 분획, n-BuOH 분획, $H_2O$ 분획으로 나누었다. EtOAc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 octadecyl silica, 및 Sephadex LH-20 c.c.를 반복 실시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Nuclear magnetic resonance, infrare, 및 mass spectrometry의 spectroscopic data를 해석하여, 화합물 1-4를 각각 megastigm-5-en-3,9-diol, linarionoside B, 3,5,6,9-tetrahydroxy-megastigm-7-ene 및 3,4,9-trihydroxymegastigma-5,7-diene으로 구조를 결정하였다. 화합물 1-4 모두 P. mirifica에서는 이번에 처음으로 분리된 화합물이다.

키토산분해효소의 분류와 효소적 특성 (Enzymatic Characterization and Classifications of Chitosanases)

  • 정우진;국주희;김길용;박지용;박노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16-22
    • /
    • 2005
  • 키토산분해효소(Chitosanases, EC 3.2.1.132)는 당질가수분해효소군의 하나로, 아미노당인 D-glucosamine polymer인 chitosan의 ${\beta}-1,4-glycoside$ 결합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이며, 세균, 곰팡이, 식물 등에 널리 분포한다. 본 논문에서는 chitosanase의 N-말단 아미노산의 서열과 입체구조에 근거한 family 및 clan 분류, 작용모형, 절단 유형, subclass 분류, 및 family-subclass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아미노산 서열과 입체구조와 기질의 분해패턴 사이에는 깊은 상관이 있음을 확인 제시하였다. 다양한 종 유래 chitosanase의 1차구조의 해명과 진화적 상관 규명, 나아가 보다 정교한 chitosanase의 정의와 다양한 산업적 응용에의 가능성도 검토하였다.

식용 제비집으로부터 비극성 비드기술을 활용한 시알산의 분리정제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rification Process of Sialic Acid from Edible Bird's Nest Using Affinity Bead Technology)

  • 김동명;정주영;이형곤;권용성;백진홍;한인석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1-90
    • /
    • 2020
  • Sialic acid, which is contained in about 60-160 mg/kg in the edible bird's nest (EBN), is known to facilitate in the proper formation of synapses and improve memory fun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effectively the sialic acid from edible bird's nest using affinity bead technology (ABT). After preparing the non-polar polymeric bead "KJM-278-28A" having a porous network structure, and then desorbed sialic acid was concentrated and dried. The analysis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ead "KJM-278-28A" showed that the particle size was 400-700 ㎛, the moisture holding capacity was 67-70%, the surface area (BET) was 705-900 ㎡/g, and the average pore diameter 70-87 Å. The adsorption capacity of the bead "KJM-278-28A" for sialic acid was shown a strong physical force to bind sialic acid to the bead surface of 400 mg/L.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effects of sialic acid on water, ethanol, and 10% ethanol on the bead, it was confirmed that desorption effectively occurs from the beads when only ethanol is used. As a result of HPLC measurement of the separated sialic acid solution, a total of four sialic acid peaks of N-acetyl-neuraminic acid (Neu5Ac), α,β-anomer of Neu5Ac and N-glycoly-neuraminic acid were identified.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separate sialic acid from EBN extract with efficient and high yield when using ABT.

HPLC에 의한 산지별 한국산 석류과피 중 항산화화합물의 함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Antioxidants in Korean Pomegranate Husk (Granati pericarpium) Cultivated in Different Site)

  • 곽혜민;정현희;송방호;김종국;이진만;허종문;송경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4호
    • /
    • pp.431-434
    • /
    • 2005
  • 한국산 석류 과피 중 주요 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는 ellagic acid와 punicalagin에 대한 HPLC 정량법을 확립하였다. 확립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column은 Agilent Zorbax Eclipse XDB-C18($4.6{\times}150mm,\;5{\mu}m$), 이동상은 1% formic acid를 포함하는 순수(A)와 1% formic acid를 함유하는 MeCN(B)을 이용하여(A) 용매가 5%에서 50분 후 100%가 되도록 농도기울기를 주어 용출하며, 이 때 유속은 0.8 ml/min., 검출은 UV 254 nm이다. 석류 과피 중 ellagic acid와 punicalagin 함량을 분석하기 위한 최적 전처리 추출조건을 확립한 결과, 100 ml의 95% ethanol로 5 g의 석류 과피를 3시간 환류추출한 경우 상기 항산화 화합물의 추출효과가 가장 좋았다. 확립된 최적 분석 조건을 이용하여 재배지가 다른 국내산 석류 과피 5종 중 함량을 조사한 결과 ellagic acid의 함량은 해평산이 $15.27{\mu}g/mg$으로 가장 높았으며, punicalagin의 함량은 장성산이 $16.21{\mu}g/mg$으로 가장 높았다. 한편 이들의함량은 산지별로 매우 큰 차이를 보여 한국산 석류피를 건강기능식품 등의 원료로 이용할 경우 산지의 선택이 매우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Ganoderma lucidum IY009 배양균사체 유래 단백다당류의 저분자와 고분자 분획의 특성 (Properties of the High and Low Molecule of the Proteoglycan Extracted from Ganoderma lucidum IY009)

  • 백성진;김용석;전억한;이은숙;이준우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8
    • /
    • 2001
  • 항암 효과와 면역 활성 효과가 있는 영지 균사체의 alkali 추출 단백다당류인 GMPG와 이것을 모체로하여 한외여과를 이용한 고분자 단백다당류(GMPG-UH)와 저분자 단백다당류(GMPG-UL) 그리고 column 분획을 이용한 고분자 단백다당류(GMPG-CH)와 저분자 단백다당류(GMPG-CL)를 얻어서, 면역 항암 활성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GMPG, GMPG 고분자 및 저분자 분획들의 총당과 총단백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 GMPG는 85.9% 및 12.8%, 한외여과 분획인 GMPG-UH와 GMPG-UL은 75.5% 및 72.7%의 당과 31.3%의 33.6%의 단백질, 컬럼 분획인 GMPG-CH와 GMPG-CL은 당과 단백질이 각각 96.9%와 87.1% 및 1.9%와 8.1%를 함유하고 있었다. 구성 당은 대부분 glucose, mannose, fructose, galactose, xylose와 소량의 ribose 및 arabinose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alpha}$${\beta}-glucose$의 결합 비율이 $0.84{\sim}1.14$${\beta}-glucan$이 주를 이루는 단백다당류이고, 저분자보다는 고분자가 더 많은 ${\beta}$-결합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성 아미노산의 조성은 공통적으로 산성 아미노산인 Asp와 Glu, 중성 아미노산인 Ala와 Leu이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IR의 경우는 ${\beta}$-당의 결합양식을 결정 짖는 $890cm^1$ 부근에서의 흡수 peak가 관찰되었다. 또한 $^{13}C-NMR$ spectrum에서 GMPG, GMPG 고분자 및 저분자, ${\beta}-1,3$ anomer를 결정 짖는 C-1 peak가 $103{\sim}105ppm$에서 나타나 ${\beta}-(1{\rightarrow}3)-glucan$ 구조를 갖는 단백다당류임을 알 수 있었다. GMPG-CH와 GMPG-CL은 sarcoma 180 고형암에 대해 각각 79.6% 및 63.4%의 암세포 중식 저해율을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beta}$-결합 당의 함량이 높은 고분자 분획이 항암활성도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