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isotropic diffusion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초

유체시뮬레이션을 통한 Ar/CF4 자화유도결합 플라즈마의 특성 연구 (A study on Ar/CF4 Magnetized Inductively Coupled Plasma Using Fluid Simulation)

  • 김윤기;손의정;위성석;김동현;이호준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4권4호
    • /
    • pp.560-566
    • /
    • 2015
  • The self-consistent simulation based on the drift-diffusion approximation with anisotropic transport coefficients was performed. The RHCP-wave propagation was observed in MICP and this wave was refracted toward the high-density region. The calculated impedance seen from the antenna terminal shows that resistance component of MICP is a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ICP. Because of a higher resistance, the power transfer efficiency was improved to 95%. This property is practically important for large-size, low-pressure plasma sources because high resistance corresponds to high power-transfer efficiency and stable impedance matching characteristics.

공장에서 퍼지는 냄새에 관한 수치계산적 연구 (Numerical Simulation of the Odor Spreading in a Factory)

  • ;송은화;남현규;신춘식;김희동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B
    • /
    • pp.2540-2543
    • /
    • 2008
  •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are continuously coated with some chemicals in the clean room of a factory. Spreading of these chemicals is causing serious problems both in controlling clean room quality as well as to the workers inside the factory. It is required to alleviate or properly control the offensive odor which is mainly composed of propylene glycol mono ethyl acetate, novolak resin and photo active compound. The control strategy employed is to bleed the offensive odor gas out the clean room. A full scale 3D CFD model was created with anisotropic porous media, chemical species transport with no volumetric reaction, and thermal diffusion with propane gas (tracer gas) to simulate the odor spreading. A segregated implicit solver with standard k-$\varepsilon$ model is employed. The detailed CFD analysis made it possible to develop an effective method of ventilating the coater room and optimizing their capacities.

  • PDF

Some properties of the Green's function of simplified elastodynamic problems

  • Sanchez-Sesma, Francisco J.;Rodriguez-Castellanos, Alejandro;Perez-Gavilan, Juan J.;Marengo-Mogollon, Humberto;Perez-Rocha, Luis E.;Luzon, Francisco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3권3_4호
    • /
    • pp.507-518
    • /
    • 2012
  • It is now widely accepted that the resulting displacement field within elastic, inhomogeneous, anisotropic solids subjected to equipartitioned, uniform illumination from uncorrelated sources, has intensities that follow diffusion-like equations. Typically, coda waves are invoked to illustrate this concept. These waves arrive later as a consequence of multiple scattering and appear at "the tail" (coda, in Latin) of seismograms and are usually considered an example of diffuse field.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average correlations of motions within a diffuse field, in frequency domain, is proportional to the imaginary part of Green's function tensor. If only one station is available, the average autocorrelation is equal to the average squared amplitudes or the average power spectrum and this gives the Green's function at the source itself. Several works address this point from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point of view. However, a complete and explicit analytical description is lacking. In this work we study analytically some properties of the Green's function, specifically the imaginary part of Green's function for 2D antiplane problems. This choice is guided by the fact that these scalar problems have a closed analytical solution (Kausel 2006). We assume the diffusiveness of the field and explore its analytical consequences.

명암도 응집성 강화 및 분류를 통한 3차원 뇌 영상 구조적 분할 (Structural Segmentation for 3-D Brain Image by Intensity Coherence Enhancement and Classification)

  • 김민정;이정민;김명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3A권5호
    • /
    • pp.465-472
    • /
    • 2006
  • 최근 대용량 의료영상 데이터로부터 인체 기관 또는 질환 부위 추출을 위한 영상 분할 기법이 매우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으나, 뇌와 같이 다중 구조를 가지면서 구조간 경계 구분이 어려운 영상의 구조적 분할에는 한계를 가진다. 이를 위해 주로 복셀을 유한 개의 군집으로 분류하는 군집화 (clustering) 기법이 이용되나 이는 개별 복셀 단위의 연산을 수행함으로 인해 잡음의 영향을 받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므로 잡음의 영상을 최소화하고 영상 경계를 강화시키는 향상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구조적 분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스는 뇌 자기공명영상에 대하여 백질(white matter), 회백질(gray matter),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의 내부 구조를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필터링 기반 군집화에 의한 구조적 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우선 구조간 경계를 강화하고 구조 내 잡음을 약화시키기 위해 응집성 향상 확산 필터링(coherence enhancing diffusiion filtering)을 적용한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해 강화된 영상에 퍼지 c-means 군집화 기법을 적용하여 각 복셀이 속하는 구조에 해당하는 군집의 인덱스를 할당함으로써 구조적 분할을 수행한다. 제안된 구조적 분할기법은 기존의 가우시안 또는 일반적인 비등방성 확산 필터링과 군집화 기법을 적용한 기법에 비해 전문가의 수동분할 결과와의 일치 비율에 의한 분할 정확도를 향상시킴을 보였다. 또한 경계 부분에 있어서의 세밀한 분할을 통해 재생산 가긍하고 사용자 수동후 처리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형태적 뇌 이상 진단을 위한 효율적인 보조 수단을 제공한다.

연료전지 가스확산층(GDL) 내의 물질거동에 대한 연구 (Analysis of Mass Transport in PEMFC GDL)

  • 정희석;김정익;이성호;임철호;안병기;김찬중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10호
    • /
    • pp.979-988
    • /
    • 2012
  • 연료전지 GDL 내의 물질전달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실제 GDL 을 고해상도 3 차원 스캐닝 장비를 활용하여 GDL의 다공 구조를 실측하였다. 측정된 Data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GDL의 Carbon-fiber 구조를 전산해석이 가능한 모델로 자동적으로 형성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이 모델을 활용하여 스택 체결 시 압축에 의한 GDL 구조 변형을 예측하고, Carbon-fiber의 정렬 방향에 따른 변형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CFD 기법 중 하나인 VOF 모델과 Pore-network 모델을 이용하여 GDL 내부의 물거동 및 반응기체의 물질거동을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상사실험을 통하여 해석 결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실제 체결에 의하여 압축 변형된 GDL 내에서의 물질거동을 좀 더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고, GDL 체결 방향 및 최적 MPL 두께 선정 등의 실제 설계에 활용할 수 있었다.

SOFC 음극의 기공구조가 음극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Pore Structure on the Anodic Property of SOFC)

  • 허장원;이동석;이종호;김재동;김주선;이해원;문주호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86-91
    • /
    • 2002
  •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 SOFC)는 무공해 청정에너지원으로서 기존의 발전방식을 대체할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구성요소는 크게 음극(anode), 양극(cathode), 전해질(electolyte)로 나뉘어 지는데 그 중 음극은 전극으로서의 역할은 물론 음극지지형인 경우 지지체 역할가지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아주 다양한 특성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연료전지 성능의 최대 감쇄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분극저항을 줄이기 위해서는 높은 전기전도도와 높은 가스투과도가 요구되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극 제조과정 중 첨가하는 기공 전구체의 종류에 따라 기판의 기공구조가 어떻게 바뀌는지 또 그로 인해 기판의 미세구조 및 전기전도도가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관찰하였다. 결과 음극기판의 미세구조 및 전기전도도는 기공전구체의 종류에 따라 크게 달라졌으며 특히 이방성을 가지는 기공전구체의 사용은 전도성상의 단락 및 비효율적인 기공의 양산을 가져와 결과적으로 연료전지 성능을 악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열변형 해석을 위한 허니컴 샌드위치 평판의 열 및 탄성 물성치 예측에 관한 연구 (Prediction of Thermal and Elastic Properties of Honeycomb Sandwich Plate for Analysis of Thermal Deformation)

  • 홍석민;이장일;변재기;최영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8권4호
    • /
    • pp.347-355
    • /
    • 2014
  • 전자장치들의 소형화 및 박형화가 됨에 따라 전자장치의 수명과 직결되는 열적문제가 중요해지고 있다. 열적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열확산과 단열을 통한 열적 안정성 연구가 필요하다. 허니컴 샌드위치 평판은 이방성의 열전도계수를 갖는다. 허니컴 샌드위치 평판이 적용된 시스템에 대해 온도분포와 열변형을 해석하기 위하여 열 및 탄성 물성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허니컴 코어의 크기, 두께 그리고 구성된 재료에 따라 허니컴 샌드위치 평판의 물성치가 변하기 때문에 허니컴 샌드위치 평판의 열전도계수, 열팽창계수, 탄성계수, 전단탄성계수, 푸아송비와 같은 열 및 탄성 물성치를 예측하였다.

컬러 카테고리 맵을 이용한 수정된 지역적인 색변환 (Modified Local Color Transfer with Color Category Map)

  • 하호건;경왕준;김대철;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9권3호
    • /
    • pp.67-73
    • /
    • 2012
  • 지역적인 영상의 색변환이란 영상에서 특정 색을 포함하는 영역을 추정하고 이를 원하는 색으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기존방법에서는 색차만을 이용해서 바꾸고자 하는 색을 포함하는 영역을 추정하고 이를 변환하였다. 따라서 변환되는 색 주변에서 원하지 않는 색결점(color artifact)이 나타나게 되었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이러한 색결점을 줄이기 위해 컬러 카테고리 맵과 수정된 color influence map을 결합한 지역적인 색변환 방법을 제안하였다. 컬러 카테고리 맵은 모든 색을 사람의 인지를 기반으로 11가지의 컬러 카테고리로 나눈 것으로서, 컬러 정보만을 이용해서 먼저 바꾸고자하는 색을 포함한 입력 영상의 지역 영역을 대략적으로 추정한다. 다음으로, 수정된 color influence map을 이용하여 인접한 영역의 색을 고려한 색변환 정도를 계산한다. 기존의 방법처럼 단순히 동일한 가중치를 주는 색차보다는 밝기와 색도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주어 수정된 color influence map을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컬러 카테고리 맵과 수정된 color influence map에 가중치를 결합하여 지역적인 영상의 색변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과 기존의 색변환 방법의 결과 영상을 비교해 보았으며, 제안한 방법에서 색결점이 적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저에너지 양전자 소멸 분광법을 이용한 MgB2 박막 구조 특성 (The Characterization of MgB2 Thin Film by Slow Positron Annihilation Spectroscopy)

  • 이종용;강원남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0-164
    • /
    • 2008
  • 저속 에너지 도플러 넓어짐 양전자 소멸 분광법으로 $MgB_2$ 박막내의 원자 크기 정도 고체 구조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양전자와 전자의 쌍소멸로 발생하는 511keV 감마선 스펙트럼의 수리적 해석 방법인 S-변수를 사용하여, 상전이 근처 온도에서 박막의 구조 변화를 측정하였다. 비등방성 구조로 된 $MgB_2$ 박막에서 초전도 특성을 갖는 상전이 온도 근처에서 S-변수를 측정하였다. 양전자의 입사 에너지 10keV에서 측정된 S-변수의 최고치는 박막의 온도가 30K에서 0.567이고, 50 K에서는 0.570로 큰 변화는 없었다. 이 결과로부터 양전자가 Boron 층의 초 전자와 소멸하기 보다는 Mg층 근처의 상 전자와 소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MgB_2$의 박막의 외층은 Mg층으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