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imations

검색결과 439건 처리시간 0.02초

일본 TV 심야 애니메이션의 스토리 경향:전일 애니메이션과의 비교 (Trends Found in Japanese Late Night Animations : -Comparative to Pre-Late Night Animations-)

  • 나고마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71-79
    • /
    • 2012
  • 일본에서 2000년대부터 증가하기 시작한 심야 애니메이션은 2010년대에 이르러서 작품 수에 있어서 전일 애니메이션을 능가하였다. 주된 시청자가 청소년층 이상인 심야 애니메이션은 다양한 소재를 다루고 있지만, 종래의 전일 작품들의 스케일과는 적지 않는 차이가 있다. 본고에서는 그 원인을 전일 애니메이션과 비교해 보았다. 분석을 위해 전일, 심야의 각 시청율이 높은 상위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여, 1)주인공의 목적과 목적을 이루는 방법, 2)주인공의 행동 무대와 경로, 3)주인공의 교류의 폭을 비교했다. 그 결과, 심야 애니메이션은 주인공의 목적관이 상당히 일상적이고 현실적인 방법으로 그 목적을 이루려고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주인공은 작고 친숙한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행동하며 그들의 교류 범위는 전일 작품보다 편협하고, 주로 커뮤니티 안의 공감을 통해서 이뤄지고 있었다. 즉, 심야 애니메이션과 종래 전일 애니메이션의 스케일 차이는 심야 작품의 '현실', '커뮤니티', '커뮤니티 속의 동지'를 주된 요소로 하는 것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디즈니 장편 애니메이션 캐릭터 의상 분석 (A Study on the Characters' Costumes in the Disney's Animations)

  • 이아람;전재훈
    • 복식
    • /
    • 제65권2호
    • /
    • pp.1-16
    • /
    • 2015
  •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Disney's animations, by examining how Disney systematized and transformed his own ways of cognitive systems of producing meaning through the costumes of his characters. For this purpose, 10 Disney animations of which the main characters were costume-wearing human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irst, the characters' costumes of the passive female heroines were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ctive female heroines while the costumes of male heroes did not have any common characteristics. Second, the characters' costumes according to the settings of the animations had different aspects: the Western-Europe-based animations exhibited the appropriate costumes of the set times, but the non-Western-Europe-based animations exhibited the imaginative costumes of Disney rather than the appropriate costumes of the actual countries. Third, the costumes played the role of expressing the situations of the animations, and had their own repetitive conventions in each animation. Changes in the situations or the upward mobility of the status could be found easily through the costumes, but such distinctiveness became less visible in the later animations. Disney displayed his own distinctive formula of visual aesthetics through the characters' costumes. But it is recommended that we should have the critical views on the cultural messages of Disney's to prevent fixed ideas or cultural prejudices.

멀티플 골격 애니메이션을 위한 블렌딩 방법의 연구 (A Study of Blending Methods for Generating Multiple Skeletal Animations)

  • 장동삼;허기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48-652
    • /
    • 2008
  • *.x 확장자는 3D 모델개발자와 3D프로그래머들이 프로그램을 보다 쉽게 개발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된다. 오늘날에는 3D프로그래밍을 위한 하드웨어들의 성능이 많이 개선되었지만, 아직도 효율적인 애니메이션 생성을 위한 방법들에 관한 연구는 계속 진행되고 있다. 특히 3D 모델개발자들은 *.x 파일을 이용하여 골격애니메이션을 만들 때 한 부분의 에러가 다른 부분으로 전이되어 찌그러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에러를 수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개의 골격애니메이션을 블랜딩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3D Max, Maya와 같은 애니메이션 블랜딩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x 파일을 코딩하여 사용하고 있고, 골격 애니메이션을 합성하는 특수효과를 3D Max8.0을 사용하여 *.x 파일로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for analysis of Inverse Kinematics system to Character Animations & Motion Graphics education

  • Cho, Hyung-ik;Shin, Seung-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3호
    • /
    • pp.149-156
    • /
    • 2021
  • Today, 3D softwares have become an essential tool in all areas of Video, including Movies, Animations, CFs, Motion Graphics and Game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fields is the 3D character video part. However, these 3D character animations and motion graphics softwares are difficult to learn and too much to learn, making it difficult to learn them all in a university education with a limited time of four years. In this paper, many Inverse kinematics tools, which are essential in the 3D character animations and motion graphics field, compare and analy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tool, focusing on Bone, Character Studio, and Character Animation Toolkit, which are most commonly used in work fields. And use Delphi techniques for 3D experts to secure objectivity. Therefore, for universities that require large amounts of teaching in a limited time, I propose an analysis of which of the above three Inverse Kinetics tools is advantageous for students to select and focus on for efficient education.

Case Study of Animation Production using 'MetaHuman'

  • Choi, Chul 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3호
    • /
    • pp.150-156
    • /
    • 2022
  • Recently, the use of Unreal Engine for animation production is increasing. In this situation, Unreal Engine's 'MetaHuman Creator' helps make it easier to apply realistic characters to animation. In this regard, we tried to produce animations using 'MetaHuman'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and differences from the animation production process using only Maya softwar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ion process, the animation process was made with Maya software. We tried to import animation data from Unreal Engine and go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animations, and try to find out if there are any problems. And we tried to compare animations made with realistic 'MetaHuman' characters and animation works using cartoon-type characters. The use of the same camera lens in realistic character animations and cartoon character animations produced based on the same scenario was judged to be the cause of the lack of realistic animation screen composit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existing animation camera lens selection is required for the selection of the camera lens in the production of realistic animation.

애니메이션의 하위 텍스트로서의 음향의 연상 작용과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olls for the Association of Sound as Subtext for Animation)

  • 김지홍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15-22
    • /
    • 2003
  • 애니메이션은 시각적 요소(visual element)와 청각적 요소(audio element)로 구성된다. 청각적 요소인 음향(sound)에는 대사(dialogue)와 음향효과(sound effects)와 음악이 있다. 애니메이션에서 청각적 요소는 시각적 요소의 부가적인 위치를 점한다고 하나 결코 그 역할과 의미는 적지 않다.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여 단순히 오락물로써만이 아니라 예술작품으로써 애니메이션을 영상 미학적으로 승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음향은 애니메이션의 하위텍스트로서의 연상 작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연기의 부속물로서, 라이트모티브(leitmotif)를 위해, 반어적 표현을 위하여, 성격화를 위해, 지역과 민족의 표현을 위하여 그리고 시간의 변화를 위해 음향이 연상 작용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들을 애니메이션인 드림웍스사의 슈렉(Shrek)과 디즈니사의 몬스터 주식회사(Monsters Inc.)를 통해 비교 분석하여 실제 애니메이션의 제작시에 음향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향의 연상의 활용방안을 찾아보고, 이를 통해 영상 표현의 방법을 다양화하여 미학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이론적인 바탕이 되도록 한다.

  • PDF

픽사 단편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나는 유머요인 분석: 앙리 베르그송의 희극론을 중심으로 (Humor Elements Analysis of Pixar Short Films Based on Henri Bergson's Theory of the Comic)

  • 김윤정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9호
    • /
    • pp.51-64
    • /
    • 2010
  • 2000년대에 들어 국내의 애니메이션 산업에 대한 높은 기대와 제작 활성화로 인해 기술 및 표현법에 있어서는 큰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재미가 없다는 이유로 국내 장 단편 애니메이션은 외국의 애니메이션에 비해 열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비교적 짧은 기간과 비용을 들여 단편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것은 학생들처럼 소규모로 애니메이션 제작에 임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그 접근이 훨씬 쉽다. 또한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예처럼, 단편 애니메이션 제작을 선행하여 아이디어와 기술적인 부분을 발전시켜 성공적인 장편 애니메이션으로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편 애니메이션을 재미있고 웃음을 유발할 수 있게 하는 요소를 앙리 베르그송의 형태, 움직임, 상황과 언어, 그리고 성격에 의한 희극성에 근거하여 픽사 단편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무엇보다 큰 특징으로 드러난 것은 상황을 통하여 희극성을 최대로 끌어올린 예가 모든 경우에 해당되었다는 점이다. 캐릭터의 내면적인 요소를 드러낼 수 있는 형태에 의한 희극성은 캐릭터를 디자인 할 때부터 유념해두어야 하는 사항으로 드러났다. 언어로 인한 희극성은 짧은 시간에 벌어지는 사건이므로 대사를 대신하여 행동이나 움직임을 통해서 유머러스하게 펼쳐지고 있다. 성격에 의한 유머는 캐릭터의 성격이 명확해야 사건을 진행시킬 수 있으므로 캐릭터의 성격을 제작에 들어가기에 앞서 결정해두어야 한다. 살펴본 단편 애니메이션을 총체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재미와 웃음을 많이 유발하는 애니메이션일수록 다양한 유머유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에서 단편 애니메이션을 기획 제작함에 있어서 상업적 예술적으로 성공을 거둔 픽사의 단편 애니메이션 작품들을 통해 유머와 재미라는 요소에 대한 충분한 선행분석과 적절한 적용이 이루어진다면 국내 뿐 아니라 해외 관객들에게 엔터테인먼트적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 PDF

한 장의 포토기반 실사 수준 얼굴 애니메이션 (A photo-based realistic facial animation)

  • 김재환;정일권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1-52
    • /
    • 2011
  • We introduce a novel complete framework for contructing realistic facial animations given just one facial photo as an input in this paper. Our approach is carried on in 2D photo spacem not 3D space. Moreover, we utilize computer vision-based technique (digital matting) as well as conventional image processing methods (image warping and texture synthesis) for expressing more realistic facial animations. Simulated results show that our scheme produces high quality facial animations very efficiently.

  • PDF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초등 영어 쓰기 지도 효과 연구 (The effects of the writing instruction using animations)

  • 고민규;장재학
    • 영어어문교육
    • /
    • 제18권2호
    • /
    • pp.149-170
    • /
    • 2012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the writing instruction using animations has effects on the writing performance of $4^{th}$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the animation-based writing instruction on the interest and confidence of those students. To this aim, the present study utilized a set of writing tests and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3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tudents who received the writing instruction using animation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on the writing test than those who received the textbook-based instruction.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those who received the animation-based instruction showed more positive interest and confidence on English and English learning. Finally,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at the end of the paper.

  • PDF

발명 애니메이션이 초등학생의 발명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vention Animation on Invention Attitud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은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3호
    • /
    • pp.634-64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invention animations on the invention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pre-and-post test experimental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73 students from J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Among them, 36 students were the experiment group and 37 students were the comparison group. Watching invention animations were conducted in a classroom everyday for 24 times. Assessments of Invention Attitudes were administered to all the participants during the pre-test and post-test. To analyze the data, the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adopt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who watched invention animation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in Invention Attitudes and sub-factors of Invention Attitudes(Attentional Attitude, Emotional Attitude, Cognitional Attitude) than the comparison group. In conclusion, watching invention animations had positive effect on the invention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