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imal protein sources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28초

A Study on the Seasonal Comparison of Dry Matter Intake, Digestibility, Nitrogen Balance and Feeding Behavior in Spotted Deer (Cervus nippon) Fed Forest By-products Silage and Corn Silage

  • Moon, S.H.;Jeon, B.T.;Kang, S.K.;Sung, S.H.;Hudson, R.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1호
    • /
    • pp.80-8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assess seasonal variation of feed utilization by feed sources and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use of feed resources by comparing seasonal changes of dry matter intake, digestibility, nitrogen balance and feeding behavior in spotted deer (Cervus nippon) fed forest by-product silage (FBS) and corn silage (CS). Dry matter intake (DMI) of FBS was higher than that of CS in both winter and summer. While DMI of both diets was higher in summer, this was not significant at the 5% level. In contrast to DMI, digestible dry matter intake (DDMI) was higher for CS than for FBS in both season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was significantly higher (p<0.01) for CS than for FBS, whereas digestibility of crude fiber was significantly higher (p<0.01) for FBS than for CS in both seasons. Seasonal digestibility of dry matter and crude fiber for FBS was significantly greater (p<0.01) in summer than in winter: In summer, seasonal digestibility was 57.2% for dry matter and 55.5% for crude fiber, and in winter, 50.8% for dry matter and 30.7% for crude fiber. On the other hand, seasonal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was higher (p<0.01) in winter (42.1%) than in summer (32.3%).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was found between the two seasons and diets for nitrogen intake (NI), 18.7 g/d in summer and 19.4 g/d in winter for FBS, 17.7 g/d in summer and 17.7 g/d in winter for CS. Fecal nitrogen was higher (p<0.01) for FBS than for CS and varied little seasonal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01) between two seasons in urinary nitrogen, which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wo diets. Retained nitrogen (RN) was different significantly (p<0.01) between two diets in both seasons,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seasons. Deer usually spent longer time on eating FBS than eating CS. Eating FBS took 221 min in summer and 187 min in winter, whereas eating CS took 113 min in summer and 109 min in winter. Deer spent less time on eating food in winter than in summer. Time spent on rumination was longer for FBS than for CS: for FBS, 504 min in summer and 456 min in winter, for CS, 423 min in summer and 279 min in winter. Time varied seasonally with both diets.

반추위 미생물생태계에서의 글루탐산을 생성하는 미생물의 역할 (The Role of Glutamic Acid-producing Microorganisms in Rumen Microbial Ecosystems)

  • 로벨리아;이상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20-526
    • /
    • 2021
  • 반추가축의 반추위내 미생물단백질은 단백질의 공급원중 일부이며 글루타메이트 생산을 위한 공급원이기도 하다. 글루탐산은 신체의 대사반응, 근육 및 기타 세포구성에 필요한 단백질 합성물질로 이용되며 면역기능항진에도 매우 필수적으로 이용된다. 또한 계면활성제, 완충제, 킬레이트제제, 향미 증강제, 배양배지 및 농업 분야에서 성장촉진제로 이용된다. 글루탐산은 감마-아미노부티르산(GABA)생산을 위한 기질로서 본 연구는 글루탐산의 기능과 글루탐산 탈 탄산효소 유전자를 포함하는 미생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GABA는 체온 조절, 건물섭취량, 유생산량 및 유성분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글루탐산과 GABA 생성 미생물은 대부분 Lactococcus, Lactobacillus, Enterococcus 및 Streptococcus 종과 같은 젖산생성 미생물로 이루어져 있다. 반추위내 대사기전을 보면 GABA 합성을 통해 succinate 생산과정을 거치고, succinate는 탈수소효소반응을 통해 프로피온산과 기타 대사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Clostridium tetanomorphum과 혐기성 Micrococci는 글루타메이트 발효과정에서 아세트산과 낙산을 생성한다. 프로피온산과 기타 대사산물은 간에서의 혈당으로 전변되어 반추가축의 유선세포에서 유당 및 체중증가를 위한 에너지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반추가축의 건강상태 개선 및 성장촉진을 위한 중요한 미생물로 이용가능하다.

옻 급여 돈육과 추출물로 제조한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 비교 (Quality Comparison of Emulsion- Type Sausages Made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Fed Pork and Extract)

  • 이성기;강선문;김용선;강창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10-217
    • /
    • 2005
  • 아질산염을 배제한 상태에서 옻 급여 돈육과 옻 추출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소시지들의 품질을 비교함으로서 옻나무의 기능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원료육으로 일반 개량종 암돈과 도축 전 5주 동안 옻나무 사료를 $4\%$ 급여한 암돈의 뒷다리 부위를 각각 이용하였다. 처리구로 일반 돈육에 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소시지를 T1(대조구)으로 하였으며, 옻 급여 돈육에 물로 제조한 소시지를 T2, 일반 돈육에 옻 추출액으로 제조한 소시지를 T3, 옻 급여 돈육에 옻 추출액으로 제조한 소시지를 T4로 구분하였다. 옻 급여 원료육이 대조구육에 비해 조지방 함량이 낮았으며(p<0.01),육색이 검붉고 pH가 높았다(p<0.001). 옻 추출액으로 제조한 소시지(T3, T4)는 어둡고 갈색을 나타냈지만, 옻 급여 돈육과 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소시지(T2)의 육색은 저장기간 동안 자고 붉은 색을 나타내었다. 옻 급여 돈육으로 제조된 소시지(T2)의 저장 중 TBARS와 VBN은 대조구보다 억제되었으며, 옻 추출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소시지(T3, T4)에서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조직감은 처리구마다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는 없었지만 옻 급여 돈육(T2)으로 제조한 소시지에서 높은 경도, 점착성, 뭉침성, 씹힘성을 나타내었다(p<0.05). 결론적으로 옻 급여 돈육에 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소시지(T2)가 저장 중 색깔이 가장 붉고 지방산화 및 단백질의 부패가 억제되었으며 조직감이 단단하여 품질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료 자원의 단백질 분획 및 Buffer 추출이 In Vitro 발효 성상, 분해율 및 Gas 생성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rotein Fractionation and Buffer Solubility of Forage Sources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Degradability and Gas Production)

  • 김광림;;;김종규;주종관;서성원;송만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9-74
    • /
    • 2012
  • 본 시험에서 건초(티머시, 알팔파 및 클라인)와 짚류(톨페스큐 및 볏짚)의 buffer 용해도와 단백질 분획이 실시되었으며, 조사료 자원의 buffer 추출이 $In$ $vitro$ 발효 성상, 분해율 및 가스($CO_2$$CH_4$) 생성량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다른 조사료에 비해 총 단백질 중 buffer 가용성 조단백질과 A fraction은 알팔파 건초에서 각각 61% 및 41.77%로 가장 높았으며 볏짚에서 가장 낮았다(각각 42.8% 및 19.78%). 총단백질 중 B1 fraction은 조사된 조사료간 비교적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B2 fraction에서는 다른 조사료(6.34~8.85%)에 비하여 톨페스큐짚(10.05%) 및 클라인 건초(12.34)%에서 다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총 단백질 중 B3 fraction이 차지하는 비율은 톨페스큐짚에서 38.49%로 가장 높았으나 다른 조사료 자원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C fraction의 경우 볏짚에서 가장 높은 비율(15.05%)을 보였다. 모든 사료에서 배양 개시 후 3시간(P<0.01) 및 6시간(P<0.05)에서 buffer 추출 전에 비해 추출 후 배양액의 pH가 증가되었으며, 배양 6시간(P<0.05) 및 12시간(P<0.001)에서 다른 사료에 비해 티모시 건초 및 알팔파 건초로부터의 pH가 낮았다. 배양액의 암모니아 농도는 모든 배양시간에서 가용성 물질의 추출 전 후에 다른조사료에 비해 알팔파 건초에서 가장 높았으나 모든 사료의 추출효과는 배양 3시간(P<0.01)에서만 나타났다. 배양액의 총 VFA 농도는 배양 24시간까지 알팔파 건초에서 가장 높았던 반면 톨페스큐짚과 볏짚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모든 조사료에서 buffer 추출 전에 비하여 추출후에 총 VFA 농도가 감소되었다(P<0.01~P<0.001). Acetic acid ($C_2$)의 조성 비율에서는 배양 6시간까지 추출 전에 더 높았으나(P<0.001) 사료 간 차이는 없었다. Propionic acid ($C_3$) 조성 비율 역시 배양 개시 후 3, 24 및 48시간(P<0.001)에서 추출 전에 더 높았으며, 6 및 12 시간의 배양액에서 대부분 건초(티모시, 알팔파 및 클라인)와 짚류(톨페스큐짚 및 볏짚)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그러나 butyric acid ($C_4$) 조성비율의 경우 대부분의 배양시간에서 사료 간 차이는 없었다. 건물에서의 분해율 관련 parameter 중 a 값은 조사된 전체 조사료에서 buffer 추출 전이 추출 후에 비해서 높았으며(P<0.001), 다른 조사료에 비해 톨페스큐짚과 볏짚에서 크게 낮았다(P<0.05). 또한 b 값의 경우 역시 추출 전에 비해 추출 후에서 현저히 낮았으나(P<0.001) 사료 간 차이는 없었다. 볏짚을 제외한 조사료에서 추출 후에 비해 추출 전의 건물 유효분해율(EDDM)이 더 높았다(P<0.001). 조단백질에서의 a, b 및 c 값은 추출 전에 비해 추출 후에서 현저히 낮았으나(P<0.05) 사료 간 차이는 없었다. 조단백질 유효분해율(EDCP)에서는 다른 조사료 종류에 비해 톨페스큐짚과 볏짚에서 낮았다(P<0.05). 한편, NDF의 경우 a 값과 b 값(P<0.01) 및 NDF 유효분해율(EDNDF, P<0.001)은 추출 후에 비해 추출 전에 더 높았으나(P<0.01) 사료 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반추위미생물에 의해 사료분해과정 중 생성되는 $CO_2$ 량도 24시간 배양까지는 추출 전에 더 많았으며(P<0.05~P<0.001), 톨페스큐짚과 볏짚에 비해 건초 형태의 조사료로부터의 $CO_2$ 생성량이 더 많았다(P<0.05~P<0.01). 메탄가스($CH_4$) 생성량 역시 모든 배양시간에서 추출 전에 비해 추출 후에 크게 감소되었으며(P<0.01~P<0.001), 12~24시간을 제외하고는 짚류에 비해 건초에서 현저히 높은(P<0.05)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조사료 자원에 대한 buffer 용해도와 단백질의 분획이 $In$ $vitro$ VFA 농도와 분해율 및 gas ($CO_2$$CH_4$) 발생량 간 상호 밀접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 조사료 이용 효율 개선을 위해 조사료자원에 대한 buffer 용해도와 단백질 분획을 반추동물 TMR 조제에 활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육계 사료 내 매실 및 오미자 첨가가 성장, 혈액 생화학 성분 및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Plum or Omija on Growth Performance, Blood Biochemical Profiles and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 Broiler Chickens)

  • 고영현;문양수;손시환;정장용;장인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1-131
    • /
    • 2012
  • 본 연구는 매실과 오미자 분말을 첨가한 사료를 급여하여 육계의 성장과 사료 효율, 소화 장기 무게, 혈액 성상 및 체내 항산화 방어 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실험 설계로서 3일령 육계 96수를 각 처리구당 32수씩(n=8) 대조구(CON), 매실 0.2%(PMS) 및 오미자 0.2%(SCB) 등 3 처리구에 완전임의 배치하여 35일령까지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전 시험기간(3~35일령)의 체중, 증체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은 천연물 첨가에 따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 소장, 췌장 등과 같은 소화기관 무게 역시 매실과 오미자 첨가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혈액 생화학 성상을 살펴보면 오미자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triglyceride 수준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지만(P<0.05), glucose, total protein, cholesterol, HDLC, LDLC등과 같은 성분은 유의적 변화가 없었다. 또한 오미자 첨가구가 매실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혈중 glucose 함량이 증가하였다(P<0.05). 항산화 방어 작용에 대한 지표를 분석한 결과, in vitro에서 매실 및 오미자는 높은 항산화 소거능(RSA)을 보였으며, 특히 오미자 추출물에서 더욱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간 또는 근육 조직의 GSH 함량은 오미자 및 매실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P<0.05). 그러나 소장점막세포, 간 및 근육에서 SOD, GPX 및 GST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활성도 및 지질과산화도(MDA)는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0.2% 수준의 매실 및 오미자분말의 급여는 육계의 사양성적 및 장기무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이들 물질은 체 조직에서 항산화력을 증가시키므로 육계 사료 내 천연 항산화소재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의 공급형태와 Ca 및 Mg의 첨가가 In Vitro 발효 및 비육후기 한우의 성장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Fat Sources, Ca and Mg on In Vitro Fermentation and the Performance of Finishing Hanwoo Bulls)

  • 이홍구;이도형;최낙진;이상락;최윤재;맹원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613-624
    • /
    • 2004
  • 본 실험은 지방의 공급형태에 따른 반추위발효성상, 영양소 이용효율 및 증체율을 관찰하기 위하여 in vitro 실험과 in vivo 사양 실험을 수행하였다. In vitro에서는 지방원료로서 tallow(T), 그리고 tallow에 2가 양이온은 MgO(T-MgCa), $CaCl_2$(T-Ca), MgO와 $CaCl_2$의 혼합(T-MgCa) 및 Ca-salt 처리 tallow(T-CaS)의 총 5개의 처리구를 두었다. In vitro 배양 시간은 0, 6, 12, 및 24 hr별로 두었다. In vivo 사양 실험은 in vitro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를 토대로 성적이 좋은 T-MgCa 구와 T-CaS구를 선택하여 지방 무첨가구를 대조구로 하여 비육후기 한우의 성장률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처리구당 10두씩 3 처리구로 완전임의 배치하여 80일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배양시간 6 hr 이후부터 처리구들간 변화를 보였는데 6 hr에서는 T-MgCa 구와 T-CaS 구에서의 pH 값이 다른 처리구들의 값보다 높게 조사되었고(P<0.05), 12 hr에서는 T와 T-Mg 구에서의 pH 값이 MgO와 $CaCl_2$ 첨가구 보다 높게 조사되었다(P<0.05). Ammonia_N의 농도는 6hr를 제외하고는 처리구들간 통계적 유의차이는 없었다. 6 hrdptjsm ammonia-N 농도는 tallow 단독 처리구에서의 농도가 다른 처리구들보다 낮았다(P<0.05). 총 VFA 생성량은 6 hr에서는 처리구들간 통계적 유의차이가 없었지만 12 hr와 24 hr에서는 T 처리구에 비하여 tallow에 2가 양이온 첨가 또는 Ca-salt를 혼합 첨가한 처리구들에서 높게 조사되었다(P<0.05). 영양소(DM, OM, CP 및 NDF)분해율은 12 hr 이후부터 tallow 단독 처리구보다 양이온이나 Ca-salt 처리 tallow 구에서 보다 높은 경향으 보였다. 용해성 지방산은 전 배양 시간대에 걸쳐 T-CaS 구에서 가장 낮았으나, 불용성 지방산 염 형성은 가장 높았다(P<0.05). 사료급여 30일까지(feeding period I)는 사료섭취량, 일당증체량 및 사료 이용효율이 처리구들간 통계적 유의차이가 없었다. 반면, feeding period II(31${\sim}$50일)와 III(51${\sim}$80일) 그리고, 전 급여기간 동안 일당 증체량과 사료이용효율은 T-MgCa>T-CaS>Control순으로 높았다(P<0.05). 결론적으로 사료 섭취량의 증가가 제한되는 비거세 한우의 비육 마무리기에 있어서 고 에너지 사료제조를 위한 우지의 첨가시 Ca 및 Mg 보충은 반추위 발효성상 및 성장성적의 개선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NIRS ANALYSIS OF MOLASSES AND EATS USED AT THE ANIMAL FEEDS INDUSTRY

  • Garrido-Varo, Ana;Perez-Marin, Maria Dolores;Gomez-Cabrera, Augusto;Guerrero-Ginel, Jose Emilio;Paz, Felix De;Delgado, Natividad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 2001년도 NIR-2001
    • /
    • pp.1613-1613
    • /
    • 2001
  • Fats and molasses are used, at the present time, in a considerable proportion as ingredients for the animal feed industry. They are mainly used as energy sources, but also they provide other characteristics of technological and nutritional interest (dust reduction, increase in palatability, etc). Both semi-liquid ingredients have numerous aspects in commo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ir use in livestock feeds, as well as of their analytical control. Feed manufacturers use several criteria to evaluate the quality of fat and molasses. Furthermore, the traditional methods currently used, for their evaluation (eg. fatty acids, sugars, etc) are expensive and more sophisticated that the traditionally used for solid ingredient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work is to carry out a viability study to evaluate the ability of NIRS technology for the quality control of fat and molasses. Samples of liquid molasses (n = 42) and liquid fat ( n = 61), provided by a feed manufacturer, were scanned in a FOSS-NIR Systems 6500 monochromator equipped with a spinning module. The samples were analysed by folded transmission, using a sample cup of 0.1mm pathlength and gold surface reflector. For molasses, calibration equations were developed for the prediction of moisture (SECV=1.69%; $r^2$=0, 42), gross protein (SECV=0, 14%; $r^2$=0, 99), ashy (SECV=0, 60%; $r^2$=0, 84), NaCl (SECV=0, 05%; $r^2$=0, 99) and sugars (SECV=1, 04%; $r^2$=0, 86). For animal fats calibrations were obtained for the prediction of moisture (SECV=0, 14%, $r^2$=0, 88), acidity index (SECV=0, 83%, $r^2$=0, 82), MIU (SECV=0, 38%, $r^2$=0, 94) and unsaponifiables (SECV=0, 45%, $r^2$=0, 87). High accuracy calibration equations were also obtained for the prediction of the fatty acid profile. The equations have $r^2$values around 0.9 or highest. The results showed that NIRS technology could provide rapid and accurate results and reduce analytical costs associated to the quality control of two Important feed ingredients of a well known chemical variability.

  • PDF

Subacute Oral Toxicity Evaluation of Freeze-Dried Powder of Locusta migratoria

  • Kwak, Kyu-Won;Kim, Sun Young;An, Kyu Sup;Kim, Yong-Soon;Park, Kwanho;Kim, Eunsun;Hwang, Jae Sam;Kim, Mi-Ae;Ryu, Hyeon Yeol;Yoon, Hyung J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795-812
    • /
    • 2020
  • Novel food sources have enormous potential as nutritional supplements. For instance, edible insects ar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food source due to their higher protein content; moreover, they are economically efficient reproducers and have high in nutritional valu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oxicity of the freeze-dried powder of Locusta migratoria (fdLM), known to contain rich proteins as well as fatty acid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subacute toxicity of fdLM in male and female Sprague-Dawley (SD) rats. The SD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dosage of fdLM administered: dosage of 0 (vehicle control), 750, 1,500, and 3,000 mg/kg/day were administered for 28 days. Toxicological assessments including observations on food consumption, body and organ weights, clinical signs, mortality, ophthalmologic tests, urinalyses, hematologic tests, clinical chemistry tests, gross findings, and histopathology tests were performed. Clinical signs, urinalyses, hematology, serum biochemistry tests, and organ weight examinations revealed no fdLM-related toxicity. The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 for fdLM was higher than 3,000 mg/kg/day in rats of both sexes; therefore, fdLM, in conclusion, can be considered safe as an edible alternative human and animal food source material.

Effect of phytol in forage on phytanic acid content in cow's milk

  • Lv, Renlong;Elsabagh, Mabrouk;Obitsu, Taketo;Sugino, Toshihisa;Kurokawa, Yuzo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0호
    • /
    • pp.1616-1622
    • /
    • 2021
  • Objective: Bioactive compounds in ruminant products are related to functional compounds in their die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 of forage sources, Italian ryegrass (IR) silage vs corn silage (CS) in the total mixed ration (TMR), on milk production, milk composition, and phytanic acid content in milk, as well as on the extent of conversion of dietary phytol to milk phytanic acid. Methods: Phytanic acid content in milk was investigated for cows fed a TMR containing either IR silage or CS using 17 cows over three periods of 21 days each. In periods 1 and 3, cows were fed CS-based TMR (30% CS), while in period 2, cows were fed IR silage-based TMR (20% IR silage and10% C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at, protein, lactose, solids-not-fat, somatic cell cou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ilk among the three experimental period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lasma concentration of glucose,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and nonesterified fatty acids among the three experimental periods, while the blood urea nitrogen was higher (p<0.05) in period 2. The milk phytanic acid content was higher (p<0.05) in period 2 (13.9 mg/kg) compared with periods 1 (9.30 mg/kg) and 3 (8.80 mg/kg). Also, the phytanic acid content in the feces was higher (p<0.05) in period 2 (1.65 mg/kg dry matter [DM]) compared with period 1 (1.15 mg/kg DM), and 3 (1.17 mg/kg DM). Although the phytol contents in feces did not differ among the three feeding periods, the conversion ratio from dietary phytol to milk phytanic acid was estimated to be only 2.6%. Conclusion: Phytanic acid content in cow's milk increases with increasing phytol content in diets. However, phytol might not be completely metabolized in the rumen and phytanic acid, in turn, might not be completely recovered into cow's milk. The change of phytanic acid content in milk may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hange of phytol in the diet within a short time.

개오동나무에서 추출(抽出)한 Catalposide의 항염(抗炎) 및 세포고사(細胞枯死) 억제효과(抑制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apoptotic Effect of Catalposide Isolated from Catalpa ovata)

  • 오천식;황상욱;김영우;송달수;채영석;정종길;송호준;신민교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9-41
    • /
    • 2005
  • Objectives : The use of natural products with therapeutic properties is as ancient as human civilisation and, for a long time, mineral, plant and animal products were the main sources of drugs. Catalposide, the major iridoid glycoside isolated from the stem bark of Catalpa ovata G. Don (Bignoniceae) has been shown to possess anti-microbial and anti-tumoral properties. Heme oxygenase-1 (HO-1) is a stress response protein and is known to play a protective role against the oxidative injury.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catalposide could protect Neuro 2A cells, a kind of neuronal cell lines, from oxidative damage through the induction of HO-1 protein expression and HO activity. We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catalposide on the productions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and nitric oxide (NO) on RAW 264.7 macrophages activated with the endotoxin lipopolysaccharide. Methods : HO-1 expression in Neuro 2A cells was measured by Western blotting analysis. NO and $TNF--{\alpha}$ produced by RAW 264.7 macrophage were measured by Griess reagent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pectively. Results : The treatment of the cells with catalposide resulted in dose- and time-dependent up-regulations of both HO-1 protein expression and HO activity. Catalposide protected the cells from hydrogen peroxide-induced cell death. The protective effect of catalposide on hydrogen peroxide-induced cell death was abrogated by zinc protoporphyrin IX, a HO inhibitor. Additional experiments revealed the involvement of CO in the cytoprotective effect of catalposide-induced HO-1. In addition, catalposide inhibited the productions of $TNF--{\alpha}$ and NO with significant decreases in mRNA levels of $TNF--{\alpha}$ and inducible NO synthase. Conclusions : Our results indicate that catalposide is a potent inducer of HO-1 and HO-1 induction is responsible for the catalposide-mediated cytoprotection against oxidative damage and that catalposide may have therapeutic potential in the control of inflammatory disord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