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us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9초

소 모색관련 MC1R 유전자의 SNP와 관련한 3'-tailed primer를 이용한 한우육의 판별 (Identification of Hanwoo Using 3'-tailed Primer Associated with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NP) in Melanocortin 1 Receptor(MC1R) gene)

  • 김태중;박성도;이재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6호
    • /
    • pp.897-902
    • /
    • 2004
  • 이전에 연구된 한우육과 Holstein 및 Black angus육 감별법의 신속성, 편리성, 경제성 등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소의 MC1R gene의 SNP를 이용한 새로운 감별법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의 MC1R gene 중 594번째 염기인 Guanine이 한우에서는 결실된 점을 이용하여 한우의 sequence를 바탕으로 3 쪽에 2mers의 tail을 달아 한우에게는 상보적이나 다른 종에서는 상보적이지 않은 3 -tailed primers를 제작하였다. 이 primer들을 이용해서 한우에서만 MC1R 중 571번째 염기서열부터 919번째 염기서열까지의 343bp의 단편이 증폭되도록 하였다. 그 결과, Holstein, Black angus에서는 모두 band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한우에서는 343bp의 band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3 -tailed primer를 이용하면 보다 정확하고 재현성 있으며 신속하고 편리하며 경제적인 한우육의 감별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모색발현 유전자의 DNA Marker를 이용한 쇠고기 품종 판별

  • 신성철;채지선;김혜정;최은주;김희선;김현석;정의룡;정구용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33차 춘계 학술대회
    • /
    • pp.172-176
    • /
    • 2004
  • 본 연구는 축우의 모색발현을 조절하는 MCIR, MGF 및 TYRP1 3종류의 모색 유전자를 이용하여 한우육 판별기술을 개발하고자 PCR-RFLP 기법으로 이들 모색유전자 좌위의 대립유전자를 검출하고 각 품종 간 RFLP 유전자형 출현빈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MCIR 유전자의 RFLP 유전자형 출현빈도에서 한우는 e/e과 E+/e형이 출현되었고 이외의 다른 유전자형의 출현은 전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Holstein종 젖소는 $E^D/E^D$$E^D/e$ 2종류의 유전자형 그리고 Angus종에서는 $E^D/E^D$, $E^D/E^++$$E^D/e$ 3종류의 유전자형이 각각 출현하여 한우와 이들 두 품종간의 MCIR유전자형 출현빈도에 뚜렷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MGF 유전자의 RFLP 유전자형 출현빈도에서 한우는 R/r과 r/r형이 각각 25%와 75%로 rr형의 출현율이 비교적 높았으며 Holstein종과 Angus 종은 R/r형이 100% 출현했으며, Charolais 종은 rr형이 100% 출현하였고 이외의 다른 유전자형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Hereford종은 RR형이 80% 그리고 R/r형이 20%의 출현율을 보여 RR형의 출현율이 매우 높아 한우와 Holstein 및 육우 품종간의 MGF 유전자형 출현빈도에 명백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따라서, 소 모색관련 MCIR과 MGF 유전자의 품종 특이적 PCR-RFLP 유전자형은 한우육과 국내산 Hostein 젖소육 및 도입육우 품종을 식별하는데 매우 유용한 DNA marker로 이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한우고기와 호주산 냉장수입육의 육질 및 영양성분 비교 (Meat Quality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Hanwoo and Imported Australian Beef)

  • 조수현;성필남;강근호;박범영;정석근;강선문;김영춘;김종인;김동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72-781
    • /
    • 2011
  • 본 연구는 거세한우(26-28개월) $1^+$, 1등급육과 호주산 수입 흑우 및 교잡육으로부터 채끝, 등심, 우둔, 꾸리부위를 공시시료로 이용하여 원산지별 부위간의 일반성분, 육색, 전단력, 콜라겐함량, 가열감량, 지방산조성, 아미노산조성 및 무기물 함량을 비교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채끝과 등심부위는 한우고기 $1^+$, 1 등급육이 호주산 앵거스 또는 교잡종육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p<0.05) 반면에 우둔과 꾸리부위에서는 비교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지방함량은 채끝부위에 있어서는 한우 $1^+$ 등급육이 15.48%로 8.83%인 호주산 교잡육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등심 부위에서는 한우육 $1^+$, 1 등급육이 각각 17%, 15.52%로 호주산 앵거스 흑우육(10.59%) 및 교잡육(9.21%)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육색 비교에서 채끝부위는 호주산 교잡종이 CIE $L^*$(백색도)이 한우고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적색도(CIE $a^*$)은 동일한 부위내에서 비교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CIE $b^*$(황색도)는 채끝, 등심, 우둔 및 꾸리 부위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부위별 전단력 비교 결과 채끝부위는 호주산 교잡종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던(3.02 kg) 반면에 호주산 앵거스 흑우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p<0.05). 한편 등심, 우둔 및 꾸리 부위는 전단력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 콜라겐 함량은 한우고기가 4개 부위 모두에서 호주산 쇠고기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호주산 교잡종육이 채끝, 등심, 우둔부위에서 한우고기보다 palmitic acid, stearic acid, linolenic acid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에 palmitoleic acid, vaccenic acid, eicosenoic acid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Oleic acid 함량은 한우고기 $1^+$, 1등급육이 호주산 교잡종육과 비교했을 때 채끝, 등심, 우둔 및 꾸리부위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우고기 $1^+$, 1등급육은 호주산 교잡육보다 포화지방산 함량이 낮고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MUFA) 함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한우고기 $1^+$ 등급육은 우둔과 꾸리부위에서 glycine 함량이 가장 높았고 한우 1 등급육은 채끝과 등심 부위에서 cystein, methionine, glycine 함량이 호주산 앵거스 흑우육 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았으며, 우둔과 꾸리부위에서는 valine과 leucine 함량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p<0.05). 무기물 조성에서 Ca, Fe, Zn 함량은 비교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High Temperature Drying of North American Ginseng for Management Decision Making

  • Bailey, W.G.;Dalfsen, K.B.van;Guo, Y.P.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141-145
    • /
    • 2003
  • The multi-year production cycle for ginseng can be rapidly depreciated by inferior post-harvest activities. This research examines the character of high temperature drying regimes for North American ginseng root to assist management decision making. The objective is a very rapid drying regime, that will not result in physical or chemical damage to the root and that would not alter the actual dry root weight. Research is presented using drying temperatures of 55, 70 and 105 C. Temperatures above these rapidly cause substantive physical damage to the root samples and seriously compromise the dry root values determined. Temperatures below these behaved quite similar to actual dryer regimes (approximately 38 C). Laboratory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temperature regimes tested. Careful usage of the 70 C regime, over a period of two to three days in a convection drying oven, has distinct merit.

소 체외수정란의 체외배양 및 이식후 생존성 (Viability of In Vitro Fertilized Bovine Embryos Following In Vitro Culture and Embryo Transfer)

  • 정희태;유재원;박연수;양부근;김정익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21-227
    • /
    • 199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ndition of in vitro culture system and the viability after embryo transfer of in vitro matured-in vitro fertilized (IVM-IVF) bovine embryos. The in vitro development to the blastocyst stage was enhanced by supplying bovine serum albumin(BSA) to co-culture medium with bovine oviduct epithelial tissue(BOET) compared with that in medium supplemented with fetal bovine serum(FBS) (41.2% vs. 26. 3%, P<0.05). After transfer of IVM-IVF blastocysts into the uterine horn of recipient females (Aberdeen Angus), one was pregnant to term and produced a head of male Korean native calf.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in vitro development of IVM-IVF bovine embryos is affected with different protein source in co-culture with BOET, and IVM-IVF embryos can develop to term after in vitro culture and embryo transfer.

  • PDF

전남지방에 수입된 Aberden Angus종 및 Hereford종 육용우의 질병발생상황 (Survey on Incidence Rate of Disease in Imported Aberden Angus and Hereford Beef Cattle in Jeonnam Prefacture)

  • 위성하;김승중;이성회;박래생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16권1112호
    • /
    • pp.363-367
    • /
    • 1980
  • An annual incidence of disease and mortality rate was surveyed to the 573 imported beef cattle in sunchun district, Jeonnam during 1979 inorder to evaluate to advanced animal health control and laboratory reutine examinations for piroplasmosis and interna

  • PDF

Effects of Environmental Changes on Stock of Krill and Salp in the Atlantic and Indian Sectors of the Antarctic

  • Lee, Chung-Il;Pakhomov, E.A.;Atkinson, Angus;Siegel, Volker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0권4호
    • /
    • pp.215-219
    • /
    • 2007
  • Long-tenn variation in krill (Euphausia superba) and salp (mainly Salpa thompsoni) stocks was compared to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Atlantic and Indian sectors of the Antarctic. Environmental conditions examined were air temperature,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sea-ice extent from 1926 to 1938 and from 1982 to 2000. The long-term pattern of krill was opposite to that of salp: krill stock decreased while salp stock increased concurrently. Krill stock was about three-fold higher from 1926 to 1938 than from 1982 to 2000, but salp was about four -fold lower in 1926-1938 than in 1982-2000. A wanning trend was observed in the environmental data, and the long-term variation in krill and salp stocks was affected by this trend.

Effect of Ranging Methods on Sarcomere Length and Palatability Varies between and within Muscles

  • Hwang, In-Ho;Thompson, John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년도 정기총회 및 제37차 춘계 국제학술발표대회
    • /
    • pp.192-195
    • /
    • 2006
  •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hanging techniques (achilles tendon, aitch bone and pelvic ligament) on variations in sarcomere length and palatability within and between muscles using thirty-four Angus steer sides. Results showed that tenderstretch(by either suspension method) resulted in longer sarcomeres for most positions within the major leg muscle than did conventional hanging method, but in some minor muscles(eg., mm. gluteus profundus, gastronemius, and gracilis) tenderstetch allowed the muscles fibres to shorten. Some tenderstretched muscles(e.g., m. gluteus profundus, 1.5 ${\mu}m$) appeared not to toughen even at very low sarcomere lengths, while others toughened at higher sarcomere lengths. The current data demonstrated that the effect of tenderstretch on the length of sarcomeres and its influence on palatability varied between muscles, Overall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nderstretch methods was for the aitch method to produce meat that was 3.2 units more palatable than the ligament hanging method.

  • PDF

Parents of Children with Asperger Syndrome: Relationships between Early Attachment Experiences and Parenting Behaviors

  • Angus, Jeanne
    •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 /
    • 제3권1호
    • /
    • pp.1-12
    • /
    • 2013
  • Research with parents of children with Asperger Syndrome was conducted to assess whether the level of positive parental attachment correlated positively with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and negatively with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internet. The Parental Bonding Inventory measured parents' perception of their bonding or attachment with three aspects of their own parents: warmth, control, and care. In the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parents reported recent interaction/reaction behaviors with their child, and results focused on two aspects of parenting, supportive/engaged and hostile/coercive behaviors: each identified as problematic to parenting and attributable to a variety of specific parenting behaviors. Analysis of demographic variables for correlations with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were carried out by Pearson correlations. Two separate standard multiple regressions, one for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and one for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were conducted. Finding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positive early attachment experience of parents has a significant impact upon their own positive parenting skills with their child with Asperger Syndrome. However, multiple regression of negative parenting behavior found no significant negative contribution by parental attachment. Demographic variables proved to be important.

소 c-KIT Receptor 유전자의 다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NA Polymorphism of the Bovine c-KIT Receptor Gene)

  • 장요순;김태헌;윤두학;박응우;이혜원;이학교;정일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653-660
    • /
    • 2002
  • 소의 흰 반점 관련 후보유전자로 c-KIT receptor 유전자를 선정하여, c-KIT receptor 유전자내의 변이를 탐색하고 변이가 흰반점 표현형과 연관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한우, Angus, Brown Swiss, Charolais, Hereford, Hols- tein, Limousin 및 Simmental 등 8개 품종의 DNA 시료를 사용하여 c-KIT receptor 유전자의 intron 6번 영역에서 다형성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c-KIT receptor 유전자의 intron 6번 영역에서는 4개의 염기치환이 발견되어, MspⅠ, BsrBⅠ 및 NdeⅠ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PCR- RFLP 분석을 실시하였다. Intron 6번을 포함하는 영역의 PCR 산물 크기는 2,440 bp 이었다. MspⅠ다형성은 PCR-RFLP 분석 결과 3개의 대립유전자가 존재하였으며, 한우품종에서는 3개의 대립유전자 모두가 발견되었고, CC 형태의 유전자형을 제외한 5개의 유전자형 (AA, AB, AC, BC 및 BB)을 확인하였다. Angus, Brown Swiss, Hereford, Holstein 및 Simmental 품종에서는 A 대립유전자만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한우는 44%만 AA 유전자형을 나타내었다. BsrBⅠ 다형성은 2개의 대립유전자로서 3개의 유전자형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Charo- lais 및 Hereford 품종이 다른 소 품종에 비하여 A 대립유전자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NdeⅠ다형성을 분석한 결과 Brown Swiss 품종에서는 NdeⅠ에 의해 절단되는 형태인 A 대립유전자만 관찰되었으며, Holstein 품종은 92%, Simmental 품종은 72%가 절단되는 형태를 나타내어, 모색이 흰색을 띠는 소 품종에서 절단되는 형태가 많았다. 소 c-KIT receptor 유전자의 intron 6번 영역에서 확인된 4개의 염기치환은 품종에 따라 다른 빈도를 보였으나, 이들 염기치환과 흰 반점과의 연관성에 대한 증거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소의 흰 반점과 c-KIT receptor 유전자 내의 변이와의 관련성은 다른 영역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과, 이미 보고된 다른 모색관련 유전자의 다형성과의 연관성 분석 등과 같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