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le fracture

검색결과 631건 처리시간 0.034초

콘크리트 CLWL-DCB 시험편의 저항곡선 (Resistance Curves of Concrete CLWL-DCB Specimens)

  • 연정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357-364
    • /
    • 2002
  • CLWL-DCB 시험편에 대한 변위제어 파괴실험으로 381mm의 균열성장에 대한 저항곡선이 유도되었다. 변형률 게이지를 사용하여 측정된 평균 균열성장속도는 0.70 mm/sec와 55mm/sec이었다. 초기균열에서 측정된 회전각도는 0.70 mm/sec와 55mm/sec의 균열속도에 대해 각각 최소한 171mm와 93mm의 균열성장 이전에 특이성이 존재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저항곡선의 최대 기울기는 0.70mm/sec 균열속도에 대해 25.4mm와 88.9mm 그리고 55mm/sec 균열속도에 대해 50.8 mm와 127mm의 균열성장길이 사이에서 발생되며, 미소균열 국부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빠른 균열속도에서 미소균열성장 구역은 보다 길게 형성되며, 미소균열의 국부화 동안에도 큰 균열성장을 보였다. 0.70mm/sec 균열속도의 파괴저항은 152.4mm의 균열성장 이후에 평균 파괴에너지율의 약 70%인 143N/m의 비교적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55mm/sec 균열속도는 254mm 균열성장에서 최대 파괴저항 245N/m까지 증가한 후 파괴저항의 감소되어 불안정 균열성장이 발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55mm/sec 균열속도의 저항곡선은 TPB 실험과 유사하여, 시험편의 크기가 작거나 균열의 속도가 빠른 경우에 취성거동을 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VTI 매질의 탄성파 이방성 축소모형실험 (Seismic Anisotropy Physical Modeling with Vertical Transversely Isotropic Media)

  • 하영수;신성렬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3권4호
    • /
    • pp.307-314
    • /
    • 2010
  • 석유와 가스 등 지하자원 탐사를 위한 탄성파 탐사자료의 처리 및 해석에 있어서 이방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중합 및 구조보정 등 자료처리과정에 필요한 탄성파 속도를 등방성이라고 가정하였으나 실제 지하지질의 속도구조는 이방성을 가지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는데, 특히 셰일층 또는 파쇄 및 절리 등 균열이 발달된 탄산염 저류층에서 이방성 특성을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합성수지인 베이클라이트로 만든 VTI매질을 대상으로 탄성파 축소모형실험을 이용하여 탄성파 이방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탄성파 모형실험에서 등방성 재료는 입사각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속도가 항상 일정하지만, 이방성 매질의 경우 측정 방향 및 입사각에 따라 탄성파 P파 및 S파의 속도가 변화하였다. 측정된 탄성파 속도는 군속도로 추정되며 군속도로부터 구한 탄성계수를 이용하여 이방성계수인 ${\varepsilon}$, ${\delta}$, ${\gamma}$를 성공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방성매질에서는 이론적으로 계산된 위상속도와 측정된 탄성파속도는 비교적 잘 일치하였으며, 또한 qP, qS, SH파의 위상속도를 slowness surface에서 나타내면 측정 매질에 대한 이방성 특성이 잘 표현되었다. S파의 경우 매질과 송수신기의 측정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두 개의 횡파가 분극특성을 나타내며 전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께와 노치생성방법에 따른 플라스틱 수지의 충격강도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riations of Impact Strength of Plastics for Various Thicknesses and Notch Formation)

  • 김현;이대섭;임재수;류민영
    • 폴리머
    • /
    • 제36권1호
    • /
    • pp.59-64
    • /
    • 2012
  • 제품의 소형화와 경량화 추세에 따라 부품의 두께가 얇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소형 및 경량 제품의 중요한 설계요소는 소재의 충격강도이다. 충격강도는 재료 고유의 물성값으로 기하학적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한 값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충격강도 시험 시 시편의 두께에 따라 강도의 차이를 보이고 노치(notch)의 생성방법과 노치형상에 따라서도 민감도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시편의 두께와 노치형상 및 노치의 생성방법에 따른 충격강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노치의 각도와 노치에 대한 충격 방향에 따른 충격강도도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PC, ABS, 그리고 POM에 대하여 Izod 충격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실험한 모든 수지에서 두께가 얇아질수록 충격강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PC수지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PC수지는 두께가 두꺼울 때는 취성파괴를 보였는데 두께가 얇을 때는 연성파괴 양상을 보였다. 몰드노치 시편이 밀링노치 시편에 비해 충격강도가 높았고, 역방향 노치가 정방향 노치보다 충격강도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 실험한 수지 중에서 노치의 민감성은 PC가 가장 컸으며 다음이 POM, ABS순으로 나타났다.

FOWLP 적용을 위한 Cu 재배선과 WPR 절연층 계면의 정량적 계면접착에너지 측정방법 비교 평가 (Comparison of Quantitative Interfacial Adhesion Energy Measurement Method between Copper RDL and WPR Dielectric Interface for FOWLP Applications)

  • 김가희;이진아;박세훈;강수민;김택수;박영배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1-48
    • /
    • 2018
  • Fan-out wafer level packaging (FOWLP) 적용을 위한 최적의 Cu 재배선 계면접착에너지 측정방법을 도출하기 위해, 전기도금 Cu 박막과 WPR 절연층 계면의 정량적 계면접착에너지를 $90^{\circ}$ 필 테스트, 4점 굽힘 시험법, double cantilever beam (DCB) 측정법을 통해 비교 평가 하였다. 측정 결과, 세 가지 측정법 모두 배선 및 패키징 공정 후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 산업체 통용 기준인 $5J/m^2$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DCB, 4점 굽힘 시험법, $90^{\circ}$ 필 테스트 순으로 계면접착에너지가 증가하는 거동을 보였는데, 이는 계면파괴역학 이론에 의해 위상각 증가에 따라 이종재료 계면균열 선단의 전단응력성분 증가에 따른 소성변형에너지 및 계면 거칠기 증가 효과에 의한 것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FOWLP 재배선에 대한 최적의 계면접착에너지 도출을 위해서는 시편제작 공정, 위상각 차이, 정량적 측정 정확도 및 결합력 크기 등을 고려하여 4점 굽힘 시험법 또는 DCB 측정법을 적절히 혼용 사용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구내 접근법에 의한 하악골 골절 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Review on the Transoral Approach to the Fractures of The Mandible)

  • 박형식;권준호;정성훈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1호
    • /
    • pp.79-86
    • /
    • 1989
  • The is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transoral approach to open reduction of the Mandibular fractures. Our study was based on a series of 64 patients with mandibular fractures among 99 patients of facial bone fractures who had been treated by transoral approach with or without extraoral approach at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Yonsei Medical Center, Yonsei University from January 1981 to October 1988. We studied favorite sites of open reduction, fixation methods, results and prognosis related to transoral approaches of Mandibular fractures, and which compared with extraoral approache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The transoral open reduction was used more frequently in Mandibular fractures(64.6%) than Midfacial bone fractures(35.4%). Among 64 patients of mandibular fractures, 47 patients(73.4%) were treated only by transoral approach and others(26.6%) were treated by both trans- and extra-oral approach. Among 92 sites of mandibular fractures, 75 sites(81.5%) were treated by transoral approach and 17(18.5%) were treated by extraoral approach. 2. The most favorite site for transoral approach compared with extraoral approach was Symphysis(100%), and Angle(62.5%) was next in order of frequency on Mandibular fractures. 3. Direct Interosseous Wiring(DIW) was most commonly used for fixation(64.6%) and Miniplate osteosynthesis was used next in 28.1%. 4. Simple(39.1%) and Compound(52.2%) fractures were frequently indicated for transoral approach, however comminuted fractures were rarely indicated. 5. The direction of fracture lines on Angle of the mandible did not influence to determine whether transoral approach should be selected or not. However this area seemed to be more difficult to reduce exactly by transoral procedure than other areas because simultaneous superior and inferior fixation was applied predominantly on this area. 6. The success rate of reduction and fixation analyzed from us was more excellent in Direct Interosseous Wiring(29/53=54.7%) than in Rigid Internal Fixation(9/29=31.0%). But it might be depended upon various factors as like as sugeon's skill. 7.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 due to transoral open reduction of mandible was not high(12.0%) and this rate was similar with other published reports.

  • PDF

국내 16개 단층대 단층비지의 광물학적 및 기초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neralogical and Basic Mechanical Properties of Fault Gouges in 16 Faults, Korea)

  • 문성우;윤현석;추창오;김우석;서용석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9-126
    • /
    • 2015
  • 단층비지는 단층의 중심부에 분포하면서 연약대를 형성하므로 단층비지의 광물학적 특성과 물성은 암반의 안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단열구조도를 참고하여 중, 대규모의 주요 단층을 선정하였으며, 총 16지역의 단층 코어부분에서 51종류의 시료를 채취하였다. XRD, SEM을 이용한 광물학적 분석과 단위중량, 마찰각,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점토광물은 대표적으로 카올리나이트, 일라이트, 스멕타이트로 나눠질 수 있으며, 화산암에는 일라이트 > 스멕타이트 > 카올리나이트와 녹니석의 순으로 함유된다. 퇴적암에는 카올리나이트와 녹니석 > 일라이트 > 스멕타이트의 순으로 풍부하다. 화강암에는 일라이트 > 스멕타이트 > 카올리나이트와 녹니석 순으로 함유된다. 마찰각은 점토함량이 높을수록 감소하며, 점착력은 분산이 심하게 나타났다. 점토광물의 함량이 45% 이하에서는 점토광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착력이 높아지나 45% 이상에서는 점착력이 낮아지는 추세를 보인다. 이는 단층비지가 불균질하며, 점토광물의 종류와 함량에서도 넓은 범위를 가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Posterior Cervical Fixation with Nitinol Shape Memory Loop in the Anterior-Posterior Combined Approach for the Patients with Three Column Injury of the Cervical Spine: Preliminary Report

  • Yu, Dong-Kun;Heo, Dong-Hwa;Cho, Sung-Min;Choi, Jong-Hun;Sheen, Seung-Hun;Cho, Yong-J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4권5호
    • /
    • pp.303-307
    • /
    • 2008
  • Objective: The authors reviewed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three column injury of the cervical spine who had undergone posterior cervical fixation using Nitinol shape memory alloy loop in the anterior-posterior combined approach. Materials: Nine patients were surgically treated with anterior cervical fusion using an iliac bone graft and dynamic plate-screw system, and the posterior cervical fixation using Nitinol shape memory loop ($Davydov^{TM}$) at the same time.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using the Frankel grading method. We reviewed the radiological parameters such as bony fusion rate, height of iliac bone graft strut, graft subsidence, cervical lordotic angle, and instrument related complication. Results: Single-level fusion was performed in five patients, and two-level fusion in four. Solid bone fusion was presented in all cases after surgery. The mean height of graft stru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20.46{\pm}9.97mm$ at immediate postoperative state to $18.87{\pm}8.60mm$ at the final follow-up period (p<0.05). The mean cervical lordotic angle decreased from $13.83{\pm}11.84^{\circ}$ to $11.37{\pm}6.03^{\circ}$ at the immediate postoperative state but then, increased to $24.39{\pm}9.83^{\circ}$ at the final follow-up period (p<0.05). There were no instrument related complications.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posterior cervical fixation using Nitinol shape memory alloy loop may be a simple and useful method, and be one of treatment options in anterior-posterior combined approach for the patients with the three column injury of the cervical spine.

설상형 Sanders 제 II형 종골 골절에 대한 관절경하의 정복 및 경피적 고정술의 결과 (Outcomes of Arthroscopic Assisted Reduction and Percutaneous Fixation for Tongue-Type Sanders Type II Calcaneal Fractures)

  • 박재우;박철현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44-150
    • /
    • 2017
  • Purpose: To assess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and complications of arthroscopy-assisted reduction and percutaneous fixation for patients with tongue-type Sanders type II calcane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August 2014 and December 2015, 10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using subtalar arthroscopic assisted reduction and percutaneous fixation for tongue-type Sanders type II calcaneal fractures were reviewed. The mean age was 50.8 years (36~62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4 months (12~40 months).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ankle-hindfoot score at the regular follow-ups, and the foot function index (FFI) at the last follow-up. The subtalar range of motion (ROM) was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e uninjured limb at the last follow-up. The radiographic results were assessed using the Bohler's angle from the plain radiographs and the reduction of the posterior calcaneal facet using computed tomography (CT).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ssessed by a chart review. Results: The VAS and AOFAS ankle-hindfoot score improved until 12 months after surgery. The FFI was 15 (1.8~25.9) and subtalar ROM was 75.5% (60%~100%) compared to the uninjured limb at the last follow-up. The $B{\ddot{o}}hler^{\prime}s$ angl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2^{\circ}$ ($-14^{\circ}{\sim}18^{\circ}$) preoperatively to $21.8^{\circ}$ ($20^{\circ}{\sim}28^{\circ}$) at the last follow-up. The reduction of the posterior facet was graded as excellent in five feet (50.0%) and good in five (50.0%) on CT obtained at 12 months after surgery. One foot (10.0%) had subfibular pain due to a prominent screw head. One foot (10.0%) had pain due to a longitudinal tear of the peroneal tendon that occurred during screw insertion. Conclusion: Subtalar arthroscopic-assisted reduction of the posterior calcaneal facet of the subtalar joint and percutaneous fixation is a useful surgical method for tongue-type Sanders type II calcaneal fractures.

골밀도를 이용한 대퇴근위부 형태 변화의 상관관계 평가 (Assessment of the Correlation for Geometry Transition using Bone Mineral Density in Proximal Femur)

  • 김다혜;고성진;강세식;김정훈;김동현;예수영;김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335-344
    • /
    • 2012
  •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골다공증 발병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서구화된 식생활로 암질환이 증가하였고 항암치료과 방사선 치료 등으로 인해 골다공증이 발생하게 된다. 골다공증은 골밀도의 감소로 인한 것으로 대퇴근위부의 형태학적 구조 변화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대퇴 근위부의 형태학적 구조 변화는 고관절 골절의 위험을 나타내는 요인이다. 본 연구는 T-score변화에 따라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으로 분류하여 각 군별로 대퇴 근위부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부산지역의 D종합병원의 남녀 350명을 대상으로 연령, 성별, T-score변화로 질환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연령, 성별에 따라 골다공증의 발병빈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T-score변화에 따른 질환 분류와 대퇴근위부 형태학적 특성의 7가지 파라미터로서 Cortical ratio calcar, Cortical ratio shaft, Hip/shaft Angle, Strength index, Section modulus, CSMI, CSA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골다공증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연구 결과는 T-score변화에 따른 대퇴근위부의 형태학적 변화를 상관관계 분석함으로써 골다공증을 진단하는데 대퇴 근위부의 형태학적 변화가 지표로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되며, 향후에 대퇴근위부의 형태학적 파라미터가 골다공증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고 예측인자로서 임상활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Surgical Outcomes and Complications Following All Posterior Approach for Spinal Deformity Associated with Neurofibromatosis Type-1

  • Park, Byoung-Joo;Hyun, Seung-Jae;Wui, Seong-Hyun;Jung, Jong-Myung;Kim, Ki-Jeong;Jahng, Tae-Ah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3권6호
    • /
    • pp.738-746
    • /
    • 202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urgical outcomes and complications of spinal deformity associated with neurofibromatosis type-1 (NF-1). Methods : From 2012 to 2018, patients suffering from spinal deformity associated with NF-1 who underwent surgical correction were identified. Demographic data and radiographic measure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re- and postoperative whole spine radiograph images were used to determine both coronal and sagittal Cobb angles. All of patients underwent 3-dimentional computed tomographic scan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scan to confirm dystrophic features. For evaluation of clinical outcomes, we surveyed the pre- and postoperative scoliosis research society-22r (SRS-22r) score. Results : Seven patients with spinal deformity associated with NF-1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29.5±1.2 years ol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8±1.4 years. The apex of the deformity was located in cervicothoracic (n=1), thoracic (n=4), and lumbar region (n=2). Most patients have poor bone quality and decreased bone mineral density with average T-score of -3.5±1.0. All patients underwent surgical correction via posterior approach. The pre- and postoperative mean coronal and sagittal Cobb angle was 61.6±22.6° and 34.6±38.1°, 56.8±18.5° and 40.2±9.1°, respectively. Mean correction rate of coronal and sagittal angle was 44.7% and 23.1%. Ultimate follow-up SRS-22r score (average score, 3.9±0.4) improved comparing to preoperative score (average score, 3.3±0.9). Only one patient received revision surgery due to rod fracture. No serious complication occurred, such as neurological deficit, and viscerovascular injury. Conclusion : The surgical correction of patients having spinal deformity associated with NF-1 is challenging, however the radiographic and clinical outcomes are satisfactory. The all posterior approach can be a safe and effective surgical option for patients having dystrophic curves associated with NF-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