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er Expression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3초

가상 캐릭터의 몸짓과 얼굴표정의 일치가 감성지각에 미치는 영향: 어떤 얼굴표정이 중요한가? (The Congruent Effects of Gesture and Facial Expression of Virtual Character on Emotional Perception: What Facial Expression is Significant?)

  • 류지헌;유승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21-34
    • /
    • 2016
  • 디지털 콘텐츠에서 구현되는 가상 캐릭터를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감성 상태(기쁨, 슬픔, 공포, 화남)가 제대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가상 캐릭터의 얼굴표정과 몸짓이 표현하는 감성 상태의 일치여부에 따라서 사용자가 가상 캐릭터의 감성 상태를 어떻게 지각하며, 가상 캐릭터의 몸짓을 어떻게 평가하는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몸짓과 얼굴표정의 감성표현을 동일하게 구성한 일치조건, 정반대의 감성표현으로 구성된 불일치조건, 그리고 무표정한 얼굴표정으로 구현된 통제집단을 구성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슬픔 조건에서 의도된 감성 상태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화난 것으로 지각되었다. 그러나 나머지 감성 상태에서는 몸짓과 얼굴표정의 일치여부는 의도된 감성 전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감성 상태의 표현에 대한 가상 캐릭터의 전체적인 몸짓에 대한 평가에서는 기쁨을 표현한 몸짓이 불일치 조건의 얼굴표정을 갖게 될 때, 평가 점수가 낮았다. 가상 캐릭터의 감성을 표현할 때는 얼굴 표정도 중요하지만 몸짓 자체의 감성표현이 전반적으로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상 캐릭터의 성별이나 연령과 같은 사회적 단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패스트푸드 섭취가 청소년의 식행동 및 인성에 미치는 영향 (Interrelations Among Fast Food Intake, Food Behavior, and Personality in Adolescents)

  • 허은실;이경혜;배은영;류은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714-723
    • /
    • 2007
  • Especially, the teenage period, an important lifetime to develop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needs to be helpful to promote the growth of the body and to keep a well-balanced mind through a balanced and nourishing diet. It is well known that the western style fast food is the most liked meal by teenagers. Wrong recognition about fast food and its frequent intake by adolescents can lead to unbalanced diet and food behaviors which may also connect with a poor impact on their personalities as well as their physical health. In this study, therefore, relationships between fast food intake frequency and food behavior, sociability, and personality, such as anger expression, were surveyed from 1,295 adolescents (666 in Seoul, 316 in Changwon, and 313 in rural communities), and then analyzed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are shown as follows. The fast food preference score and the fast food intake frequency score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male students (22.9/30, 14.4/30 respectively) and female students (23.0/30, 14.0/30 respectively). But, the fast food preference sco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intake frequency score (r=0.304) significantly (p<0.001). The more frequently eating of fast foo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r=-0.233, p<0.001) in food behaviors. The frequency of fast food intake had no relationships with sociability, but it had a significantly effect on anger expression (r=0.213, p<0.001) and control (r=-0.l47, p<0.001). From these results, we could see the necessity of various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to build proper eating-out habits and also more studies are needed to find the relationships between fast food intake and growth and personality.

임상간호사의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성과 증진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연구 -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Clinical Nurses - A Preliminary Study for an Education Program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

  • 김주형;송주은;이순규;허수경;성영희;이정은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0-89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clinical nurses regarding anger expression,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162 clinical nurses in three university hospitals in 2008, and analyzed by the SPSS 14.0 Window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each of anger expression-in, anger expression-control,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so showed that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respectively. 38.0% of the variation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explained by these variables. Conclusion: Emotional intelligence significantly affect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ogether with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From this result, it could be concluded that nursing interventions for emotional intellige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st its effec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분노유발에 따른 특성불안자의 자율신경계 반응 특성 (Characteristics of Autonomic Nervous System Responses Induced by Anger in Individuals with High Trait Anxiety)

  • 음영지;장은혜;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20권3호
    • /
    • pp.169-180
    • /
    • 2017
  • 특성불안이 높은 자들은 분노 표현을 억제하려하기 때문에 주관적인 행동평가로는 특성불안자의 분노 경험을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보다 객관적으로 특성불안자의 분노 경험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분노에 의해 유발된 자율신경계 반응이 특성불안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실험참가자들을 불안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분노자극을 제시하기 전과 후에 심전도(ECG), 호흡(RESP), 피부전기활동(EDA), 그리고 피부온도(SKT)를 측정하였다. ECG에서 심박률(HR), NN 간격의 표준편차(SDNN), 심박주기 제곱의 평균제곱근(RMSSD), 심박변이도의 저주파성분(LF), 심박변이도의 고주파성분(HF), 저주파성분과 고주파성분의 비율(LF/HF ratio), RESP에서 호흡주기(RR)를, EDA에서 피부전도수준(SCL)을, SKT에서 최대피부온도(maxSKT)를 산출하였다. 두 집단 간 분노자극에서 유발된 분노정서 강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였다. 자율신경계 반응 차이를 확인한 결과, 불안집단에서 유의미한 SDNN와 LF의 증가, HF, LF/HF ratio, 그리고 RR의 감소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특성불안이 높은 이들의 분노 경험을 측정하는데 자율신경계 반응이 객관적인 지표로 활용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한국인 표준 얼굴 표정 이미지의 감성 인식 정확률 (The Accuracy of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Standard Facial Expression)

  • 이우리;황민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76-483
    • /
    • 2014
  • 본 논문은 국내 표정 연구에 적합한 얼굴 표정 이미지를 제작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1980년대 태생의 한국인의 표준 형상에 FACS-Action Unit을 결합하여, KSFI(Korean Standard Facial Image) AU set를 제작하였다. KSFI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6가지 기본 감성(슬픔, 행복, 혐오, 공포, 화남, 놀람) 이미지를 제작하여, 감성 별 인식 정확률과 얼굴 요소의 감성인식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정확률이 높은 행복, 놀람, 슬픔, 분노의 이미지의 경우 주로 눈과 입의 얼굴 요소를 통해 감성을 판단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표정 이미지의 AU 변경할 수 있는 KSFI 콘텐츠를 제안하였다. 향후 KSFI가 감성 인식률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학습 콘텐츠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재범위험 성폭력사범 집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충동성, 분노표현, 강간통념, 자기존중감을 중심으로 (Effects of Intensive Course Program on the Sexual Violence for the Re-crime Risky Group in the Sex Offender: Focused on Impulsivity, Anger Expression, Rape Myth, and Self Esteem)

  • 강춘희;권재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707-719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정기관에서 성폭력사범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3단계 교육(기본·집중·심화교육) 중 2단계인 '성폭력사범 집중교육 프로그램'이 충동성, 분노표현, 강간통념, 자기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J도 M교도소에 복역 중인 성폭력사범 중 2단계 집중교육 대기자 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검증을 위해 사전-사후-추후 실험설계를 하고, 연구대상자들에게 총 200시간으로 구성된 '성폭력사범 집중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폭력사범 집중교육 프로그램은 성범죄의 위험요인인 충동성과 분노표현을 감소시키고, 성폭력사범들의 왜곡된 성 인식인 강간통념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며, 자기존중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성폭력사범 대상 재범예방 프로그램의 개선 필요성과 출소 후 교육효과가 유지될 수 있는 체계적인 관리감독 및 연계시스템 구축을 제언하였다.

분노반응척도의 개발과 임상적 적용 (Development of the Anger Response Scale and its Application in Clinical Practice)

  • 고경봉;박중규;김찬형;김도훈
    • 정신신체의학
    • /
    • 제12권2호
    • /
    • pp.122-134
    • /
    • 2004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분노반응 척도를 개발하고 임상에 적용하고자 하는 데 있다. 방법: 성인 정상인 123명을 대상으로 분노반응 척도 예비설문을 시행하여 16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그 다음에 이 문항들이 포함된 설문을 정상인 25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척도의 임상적 적용은 환자군 189명(불안장애 59명, 우울장애 72명, 신체형장애 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이 자료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4개의 하위요인 즉 공격성반응, 짜증반응, 도피반응, 분노억압반응이 추출되었다. 상기 척도의 신뢰도는 정상인 53명에게 2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를 시행, 분석한 결과 4개 하위척도 점수와 척도 전체 점수간의 상관계수가 .53-.71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한편 내적 일치도는 4개 하위척도의 Cronbach's ${\alpha}$가 .62-.72, 척도 전체의 Cronbach's ${\alpha}$가 .76로 유의한 수준을 보였다. 공존 타당도의 평가는 공격성질문지 (Aggression Questionnaire) 총점, 상태-특성분노표출척도(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스트레스반응척도(Stress Response Inventory)의 분노 및 공격성 하위척도,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의 적대감 하위척도를 사용하였다. 환자군과 정상군 간에 척도의 전체 점수와 하위척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도피반응과 분노억압반응 하위척도에서만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공격성 및 짜증반응, 척도 전체 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도피반응 하위척도 점수에서 우울장애군과 신체형장애군은 각각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들은 분노반응 척도가 신뢰도 및 타당도가 모두 유의한 수준의 도구이고, 특히 도피반응은 우울장애군 및 신체형장애군의 특징적인 분노반응일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 PDF

Classification and Intensity Assessment of Korean Emotion Expressing Idioms for Human Emotion Recognition

  • Park, Ji-Eun;Sohn, Sun-Ju;Sohn, Jin-Hu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17-627
    • /
    • 2012
  • Objectiv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most widely used Korean dictionary of emotion expressing idioms. This is anticipated to assist the development of software technology that recognizes and responds to verbally expressed human emotions. Method: Through rigorous and strategic classification processes, idiomatic expressions included in this dictionary have been rated in terms of nine different emotions (i.e., happiness, sadness, fear, anger, surprise, disgust, interest, boredom, and pain) for meaning and intensity associated with each expression. Result: The Korean dictionary of emotion expression idioms included 427 expressions, with approximately two thirds classified as 'happiness'(n=96), 'sadness'(n=96), and 'anger'(n=90) emotions.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primarily rests in the development of a practical language tool that contains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of emotions, provision of information on meaning and strength, and identification of idioms connoting two or more emotions. Application: Study findings can be utilized in emotion recognition research, particularly in identifying primary and secondary emotions as well as understanding intensity associated with various idioms used in emotion expressions. In clinical setting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is research may also enhance helping professionals' competence in verbally communicating patients' emotional needs.

일 도시 지역 중년 여성의 정신건강상태 예측모형 (Prediction Model on Mental Health Status in Middle-aged Women of an Urban Area)

  • 이평숙;손정남;이용미;강현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39-251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struct a structural model for explaining mental health status in middle - aged women.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by self - reported questionnaires from 206 middle - aged women in Seoul. Data analysis was done with the SAS pc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PC - LISREL Program for finding the best fit model which assumes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Results: The overall 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to the data was good, but paths and variables of the model were modified by considering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s of parameter estimates. Thus it was modified by excluding 3 paths, The modified model showed was good fit to the data($x^2=177.55$, p=.00), GFI=0.908, AGFI=0.860, RMR=0.013, NFI=0.972, NNFI=0.982). Perceived stress, anger expression method, and self -esteem were found to have direct effects on mental health status in middle - aged women. These predictive variables of mental health status explained $66.6\%$ of the model. Conclusion: Programs to enhance mental health status in middle - aged women should include stress management skill, anger expression skill, and self -esteem enhancement skills to be eff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