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elica sinensis (Oliv.) Diel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5초

RAPD 분석과 뿌리의 내부구조 비교를 통한 당귀류의 감별 (Discrimation of the three Angelica species using the RADPs and Internal Root Structure)

  • 이미영;임성희;주영승;한경식;정계진;안덕균;강헌철;고병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43-249
    • /
    • 2000
  • RAPD 분석을 통한 marker선별과 건조약재의 비교, 그리고 내부형태 특징을 통해 당귀3종(種)을 구별할 수 있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50개의 primer중 5개의 primer에서 당귀류 3품종을 모두 구별할 수 있는 특이적인 band가 나타났다. 2. 유연관계 분석에서 중국당귀와 일당귀가 참당귀보다 더 근연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3. 신선한 잎과 건조된 약재에서 RAPD 재현성이 확인되어 RAPD 분석법을 통해 당귀감별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 뿌리 내부구조에서 중국당귀는 정상적인 2기사부와 2기목부에 덧붙여 일부 이상비대생장을 보였고, 일당귀나 참당귀의 도관절에 비하여 더 넓고 짧아 계통학적으로 훨씬 더 진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5. 일당귀는 현저하게 두꺼운 코르크층이 발달한 반면 참당귀의 코르크층 아래에 $5{\sim}7$층의 후각세포층이 환상으로 발달하여 뚜렷한 대조를 이루었다.

  • PDF

Macrophage Activation by an Acidic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Angelica Sinensis (Oliv.) Diels

  • Yang, Xingbin;Zhao, Yan;Wang, Haifang;Mei, Qibing
    • BMB Reports
    • /
    • 제40권5호
    • /
    • pp.636-643
    • /
    • 200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the mechanism of macrophage activation by AAP, an acidic polysaccharide fraction isolated from the roots of Angelica sinensis (Oliv.) Diels. As a result, AAP significantly enhanc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cellular lysosomal enzyme activity in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in vitro and in vivo. Furthermore, L-NAME, a specific inhibitor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effectively suppressed AAP-induced NO generation in macrophages, indicating that AAP stimulated macrophages to produce NO through the induction of iNOS gene expression and the result was further confirmed by the experiment of the increase of AAP-induced iNOS transcrip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o further investigate, AAP was shown to strongly augment toll-like receptor 4 (TLR4) mRNA expression and the pretreatment of macrophages with anti-TLR4 antibody significantly blocked AAP-induced NO release and the increase of iNOS activity,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secretion.

참당귀, 중국당귀, 일당귀의 차등적 항산화 효능 연구 (Investigation of the Antioxidant Effect of Angelicae Radix from Korea, China and Japan)

  • 조남준;이웅희;김기광;한효상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82-187
    • /
    • 2017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a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effects of Angelica gigas Korea (AG), Angelica sinensis of China (AS), and Angelica acutiloba of Japan (AA), and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AG, AS and AA on tight-junction related genes in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All species showed a strong antioxidant effect, and AA was higher than AG and AS in antioxidant effects. The cytotoxicity was confirmed to be higher in AS than AG and AA at a concentration of $1,600{\mu}g/ml$ using the MTS assay in HaCaT cells. We analyzed the effects of AG, AS, and AA on mRNA expression levels of various tight-junction related genes in HaCaT cells. We found that no obvious changes in expression of Claudin 1, 3, 4, 6, 7, 8, Occludin, JAM-A, ZO-1, ZO-2, and tricellulin by treatment of all species, suggesting that there is less possibility of side effects and skin moisturizing effects due to changes in tight-junction gene expres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AG, AS, and AA are thought to be effective in reducing the oxidative stress of the skin and preventing the aging of the skin.

한국 ${\cdot}$ 중국 ${\cdot}$ 일본 당귀(當歸)의 HepG2 세포 독성 비교 연구 (Cytotoxicity of Angelicae Radix from Korea, China, and Japan on HepG2 Cells)

  • 박완수;오명숙;장문석;양웅모;이병희;김원남;이학철;강순아;박성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155-115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ytotoxicity of species of Angelica (Angelicas Radix; the root of Angelica gigas Nakai, A. sinensis (Oliv.) Diels, and A. acutiloba Kitag.) on HepG2 cells. The water extracts of roots of Angelica gigas (WAG), A. sinensis (WAS), and A. acutiloba (WAA) were studied for HepG2 cell viability by a modified MTT assay in the concentrations of 5, 10, 50, 100, 250, 500 ug/ml for 24, 48, 72 h. WAG and WAS did not reduced the cell viability significantly. But WAA reduced the cell viability in the concentration of 500 ug/ml for 24 h (85.45%), 48 h (75.01%). In conclusion, WAG and WAS have not the significant cytotoxicity on HepG2 cells in the suitable dose.

엽록체기반 SSR marker를 이용한 당귀의 기원 판별 (Determination of the Origin of Angelica Roots using Angelica gigas Chloroplast Based SSR Markers)

  • 박상익;황보경;길진수;정희;김호방;김옥태;김성철;구성철;엄유리;이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361-366
    • /
    • 2017
  • Background: In the herbal medicinal industry, Angelica gigas Nakai, Angelica sinensis (Oliv.) Diels. and Angelica acutiloba (Siebold & Zucc.) Kitag. are often confused, because the roots of the three species can not be distinguished by their appearance. This confusion can cause serious side effect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origins of Angelica roots distributed in the Korean market using the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s developed based on the A. gigas chloroplast DNA sequence. Methods and Results: We collected twenty seven A. gigas and three A. acutiloba samples from the Seoul, Daegu, and Cheongju herbal medicinal markets. Fifty sections of one collection were mixed and ground to make a powder, which was used for DNA extraction using the cetyl 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 method. Chloroplast based SSR markers were applied to the DNA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species. In addition, polymorphism was found in eight samples. The phylogenetic analysis showed that the A. gigas roots collected from herbal medicinal markets were clearly discriminated from A. sinensis and A. acutiloba even though they were grouped into four cluster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chloroplast based SSR markers would help the discrimination of Angelica roots in the Korean herbal medicinal industry and the markers are useful to prevent confusion between Angelica roots.

당귀의 해부형태학적 특징에 따른 기원판별 (Discrimination of Angelicae Radix Based on Anatomical Characters)

  • 성정숙;방경환;박충헌;박춘근;유홍섭;박희운;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7-72
    • /
    • 2004
  • 당귀류 약재의 기원식물에 대해 해부형태적 특징을 관찰하고, 이를 통하여 당귀 기원 및 국내유통 당귀류 약재의 판별에 이용코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원식물 뿌리의 해부형태특징은 정상 2기생장, 주피발달, 유세포내 전분함유 등이 공통점이었고, 후각세포층은 참당귀와 왜당귀에서 관찰되었으며 피층의 유실분포는 참당귀와 중국당귀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참당귀에서만 속성후벽세포가 다량 관찰되었다. 잎의 표피세포는 중국당귀가 가장 컸으며 세포표면의 형태는 참당귀와 중국당귀는 거친 주름이져 있었고, 왜당귀는 완만한 굴곡이 관찰되었다. 3종의 기공은 모두 불규칙형 부세포를 가지고 있었고 참당귀가 $mm^2$당 600개 이상으로 가장 많은 기공이 분포하고 있었다. 모용은 참당귀에서만 원뿔형으로 관찰되었다. 엽병은 3종식물에서 모두 유조직이 잘 발달된 형태였고 환상으로 병립유관속이 발달하고 있었다. 국내 유통 당귀류 약재의 판별에 있어서 해부형태적 특징을 정리하여 간단한 동정 KEY를 적용하여 만든 검색표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었다. 검색표를 이용하여 전국 7개 지점에서 수집한 약재를 판별한 결과, 당귀 (국산) 또는 토당귀로 유통되는 약재는 참당귀 (A. gigas)로 동정되었고, 일당귀로 유통되는 약재는 왜당귀(A. acutiloba)로 동정되었다. 중국당귀는 현재 시중 유통되지 않고 있으며 본연구에서 사용된 약재 중국당귀는 중국 현지에서 직접 구입해 온 것으로 중국당귀 (A. sinensis)의 뿌리와 동일한 횡단면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현재 국내 유통되는 당귀류 약재는 (토)당귀의 경우는 KP에서 규정하는 것과 동일기원이었으며, 일당귀는 일본약국방(JP,2001)에서 규정하는 것과 동일한 기원으로 당귀류 유통약재의 기원상에 오류는 없었다.

당귀(Angelica spp.)의 기원분석에 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현황 및 향후과제 (Current status on the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s for differentiation of the origin of Angelica spp.)

  • 이신우;이수진;한은희;신의철;조계만;김윤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12-18
    • /
    • 2017
  • 당귀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국가에서 유용하게 이용되는 한약재이다. 그러나 국가마다 그 기원을 달리하기 때문에 혼 오용이 심하고 국제시장에서 혼란을 불러일으킬 소지가 다분하다. 따라서 오래전부터 형태학적, 세포유전학적 분석과 지표성분을 이용한 화학적 판별 마커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재배환경과 수확 후 가공 및 처리방법에도 비교적 안전한 유전자 단편의 염기서열 비교분석을 통한 분자생물학적 기술을 적용한 판별기술의 개발에 관한 연구결과 들이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들 기술의 실용화를 통한 현장 적용에는 한계가 있으며 보다 많은 후속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얻어진 문제점을 논하고 향후 필요한 추가 연구 과제들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당뇨병성 족부 궤양의 외용 연고 처치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the of External Ointment Treatment for Diabetic Foot Ulcer)

  • 정미래;허은나;김철윤;권강;서형식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66-94
    • /
    • 2022
  • Objectives : Diabetic Foot Ulcer(DFU) is one of the common complications of diabetes. DFU is difficult to treat compared to other chronic wounds and clinically effective treatments are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of external ointment treatment for DFU. Methods : 8 databases such as PubMed, EMBASE, CENTRAL, CNKI, NDSL, RISS, KISS, OASIS including English, Korean and Chinese were searched by structured search strategies that consist of terms as 'diabetic foot', 'diabetic foot ulcer(DFU)' and 'randomized' from January 2001 to January 2021. All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s) involving treatment group as external ointment or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treatment were included. Results: A total of 20 RCTs was identified and analyzed. In treatment group, ointment was applied based on conventional treatment. A total of 16 different ointments were used, and the frequency of use was highest in the order of Heat-clearing drug, Blood-activating and stasis-dispelling drug, Tonifying and Replenishing drug and Orifice-opening drug. The most used herbs were in the order of Coptis chinensis Franch., Phellodendron chinense Schneid., Borneolum syntheticum., Angelica sinensis(Oliv.) Diels. In treatment group, a clinically effective effect was obtained compared to the contrast group. Conclusions :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external ointment treatment based on conventional treatment can be applied to DFU.

참당귀, 중국당귀, 일당귀 열수 추출물의 RAW 264.7 대식세포에서 IL-1β, TNF-α, iNOS 유전자 차등 발현 연구 (Investigation of the IL-1β, TNF-α and iNOS gene differential expression in Raw 264.7 cells by the water extract of Angelicae Radix from Korea, China and Japan)

  • 한효상;홍성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513-522
    • /
    • 2017
  • Murine macrophage cell line인 RAW 264.7 대식세포에 참당귀(AG), 중국당귀(AS), 일당귀(AA)를 6시간과 24시간을 반응시킨 뒤 시간별로 나타나는 inflammation 반응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LPS-induced RAW 264.7 대식세포에 AG, AS, AA를 6시간 반응 시킨 경우 $IL-1{\beta}$, $TNF-{\alpha}$, iNOS의 mRNA 발현량을 증가시켰고, AA에서 더 높은 Anti-inflammatory effect를 확인하였다. AG, AS, AA가 RAW 264.7 대식세포의 cell viability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MTS Assay(24시간)를 수행한 결과 $1,600{\mu}g/ml$ 농도에서 모두 증가시켰다. AG, AS, AA가 LPS를 처리하지 않은 RAW 264.7 대식세포에 6시간동안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AG와 AA를 $200{\mu}g/ml$ 농도로 처리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IL-1{\beta}$, $TNF-{\alpha}$, iNOS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AG, AS, AA는 RAW 264.7 대식세포에 LPS를 처리하였을 때 inflammation 반응을 촉진하며, 24시간 뒤 inflammation의 억제를 유도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향후 참당귀, 중국당귀, 일당귀 열수 추출물이 대식세포의 다양한 염증 반응 메커니즘에 미치는 작용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항 백혈병작용에 관련된 천연물의 자료조사 (Review of Anti-Leukemia Effects from Medicinal Plants)

  • 배현옥;임창경;장선일;한동민;안원근;윤유식;전병훈;김원신;윤용갑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605-610
    • /
    • 2003
  • 인삼, 호장근, 상산 등에서 분리한 성분들이 HL60, HL-60, Jurkat, Molt-4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익모초의 Leonunrine, 대청엽의 Indirubin, 천문동의 Aspargus polysaccharideA.B.C.D, 백합의 Colchicnamile, 익모초의 Lenunrine, 산두근, 자초근 추출물이 여러유형의 백혈병 환자에 대한 백혈병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mouse의 P388, L1210, L615, L120, S-180 등에 항 백혈병 효과가 있는 것으로는 완화, 로회, 원지, 오수유, 파두, 뇌공등, 석산, 백출, 단삼, 산약, 목단피, 청대, 감초, 당귀에서 분리한 성분들이 있으며 백굴채, 마전자, 가시오가피, 천초 추출물들이 동물실험에서 항암작용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천연물에서 분리한 성분이 항백혈병 작용이 있는것으로는 ginsenoside Ro, ginseonoside Rh2, Emodin, Yuanhuacine, Aleemodin, phorbocdiester, Triptolide, Homolycorine, Atractylol, Colchicnamile, Paeonol, 당귀다당체, Aspargus polysaccharideABCD, Indirubin, Leonunrine, Acinosohic acid, Trichosanthin, G2 132, Schizandrin, allicin, Indirubin, cmdiumlactone chuanxiongol, 18A glycyrrhetic acid, Kansuiphorin A, 13 oxyingenol Kansuiphorin B 등이 조사되었고, 추출물이 항 백혈병 작용이 있는 것으로는 원지, 오수유, 백굴채, 대황, 산두근, 마전자, 가시오가피, 천초 등이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