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elica gigas nakai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2초

배지교환식 고농도 배양에 의한 참당귀 현탁세포 유래 ECP 생산 (Production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by Perfusion Culture of Angelica gigas Nakai Suspension Cells)

  • 김영화;김익환;김동일
    • KSBB Journal
    • /
    • 제21권5호
    • /
    • pp.336-34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참당귀 현탁세포배양에 의한 면역 증강성 ECP의 생산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배지교환식 배양을 수행하였으며, ECP의 분비를 촉진하는 초음파 처리와 Pluronic F-68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참당귀의 현탁세포배양시, 최대 세포생장은 6일째에 16.8 g DCW/L였고, ECP의 생산은 세포생장과 함께 증가하다가 8일째에 최고 0.9 g/L가 생산되었다. 식물세포 고농도배양법인 배지교환식 배양을 적용해, 초기 당 농토를 높이고 접종 후 5일부터 연속적으로 배지교환을 해주어 23.8 gDCW/L의 고농도의 현탁세포를 얻을 수 있었다. 초음파 처리 및 Pluronic F-68의 첨가는 참당귀 세포의 세포막의 투과성을 증진시켜 ECP의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세포 내의 다당의 배지로의 배출을 유도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성이상계에서 Pluronic F-68과 산소전달물질이 참당귀 현탁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uronic F-68 and Oxygen Vectors on the Cell Growth of Angelica gigas Nakai in Aqueous Two-Phase System)

  • 전수환;이경훈;권준영;류현남;김동일
    • KSBB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207-21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수성이상계에서 Pluronic F-68과 산소전달물질을 적용하여, 물질전달과 산소전달을 증가시켜 당귀세포의 증식을 향상시켰다. 특히 산소전달물질인 n-hexadecane이 Pluronic F-68보다 수성이상계에서의 당귀 세포증식에 더 긍정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Pluronic F-68과 적절한 산소 전달물질의 첨가는 수성이상계 뿐만 아니라 대량배양을 위한 고농도배양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

중.산간지대에서 참당귀의 화성억제 연구 (Inhibiting Floral Induction of Angelica gigas NAKAI in the Hilly Altitude Area)

  • 이승필;조지형;민기군;권태용;최장수;박노권;최부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8
    • /
    • 1995
  • 중ㆍ산간지대에 재배되는 참당귀의 화성억제에 의한 추대율 감소를 위하여 1992년 2월부터 1994년 11월까지 경북농림진흥원 북부시험장에서 육묘지대, 육묘지간 및 유기물 시용에 따른 화성 및 품질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육묘지대에 따른 추대율은 표고가 높을수록 현저히 낮았고, 아울러 지하부 생육 및 수량이 200, 400m인 지대보다 양호하여 참당귀의 육묘적지는 적어도 표고 600m 이상이 적당하다고 적당된다. 2. 중ㆍ산간 지대에서는 육묘기간이 짧아질수록 추대율이 현저하게 낮아서 수량은 증수되었지만, extract 및 decursin 함량은 육묘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여 육묘기간과 품질면에서는 반대되는 경향이었다. 3. 유기물 자원별에 따른 추대반응은 단비 시용구보다 유기물 시용구에서 추대율이 낮았으며, 특히 볏짚퇴비에서 가장 낮았고 수량 및 품질반응은 관행재배보다 유기물 시용구에서 양호하였지만 유기물 자원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Ovalbumin으로 유발된 아토피피부염 모델 마우스에 대한 복합한약추출물 경구투여의 효과 (Oral Administration Effects of Herbal Extracts on Atopic Dermatitis in Balb/c Mice Sensitized by Ovalbumin)

  • 김경진;김경준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72-83
    • /
    • 2014
  • Objective: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herbal mixture (HM-A : Houttuynia cordata Thunberg, Rubus coreanus, Rehmannia glutinosa, Prunus yedoensis, HM-B : Houttuynia cordata Thunberg, Rubus coreanus, Rehmannia glutinosa, Angelica gigas nakai) supresses the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 in Balb/c mice sensitized by ovalbumin. Methods: Mice were sensitiz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ovalbumin plus aluminum hydroxide hydrate, followed by epicutaneous sensitization for 6 weeks. After induced atopic dermatitis, HM-A and HM-B were orally administrated for two weeks(once a two days) as a 50 mg/kg concentration. After all mice were sacrific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skin and blood were harvested. Results: Oral administration group was reduced the infiltration of eosinophils, mast cells and total T cells on the skin areas as well as blood analysis. Also, cutaneous expression of IL-4,13,17 decreased. Blood IgE level was decreased. Conclusion: These drugs could be potential candidates for the atopic dermatitis.

당귀가 rat의 손상된 좌골신경 재생에 미치는 영향 (Improved Axonal Regeneration Responses in the Injured Sciatic Nerve of Rats by Danggui Treatment)

  • 홍순성;오민석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3-150
    • /
    • 2008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Danggui (DG, Angelica gigas Nakai)'s potential activity for promoting axonal regeneration in the injured peripheral nerve. Methods: Using the sciatic nerve in the rats, DG extract 5 ${\mu}l$(10 mg/ml in 0.5% saline) was dripped into the injury site of the nerve. Results: DG treatment facilitated axonal elongation responses in the distal portion to the injury site. GAP-43 protein levels were upregulated by DG treatment in the injured nerve and also in the DRG, suggesting the induction of GAP-43 expression at gene expression level after nerve injury. Phospho-Erk1/2 protein levels were upregulated in the injured nerve area and also in the DRG, suggesting retrograde transport of phospho-Erk1/2 protein from the injury area to the cell body. Cdc2 protein levels were slightly upregulated by DG treatment. DG treatment increased the number of non-neuronal cells in the distal portion to the injury site. Conclusions: The present data suggest that DG is effective for enhanced axonal regrowth after sciatic nerve injury.

  • PDF

Absorption, Distribution, Metabolism, and Excretion of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from Angelica gigas Nakai

  • Kim, Kang-Min;Kim, Myo-Jeong;Kang, Jae-S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2호
    • /
    • pp.1569-1572
    • /
    • 2009
  • The pharmacokinetics of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D/DA) were investigated in male SD rats following oral and intravenous administration. D/DA and metabolites obtained from in vitro samples were evaluated by LC/MS. The levels of D/DA and metabolized decursinol in the blood following oral and intravenous administrations declined according to first-order kinetics, with $T_{1/2}$ values of 56.67, 58.01, and 57.22 h, respectively, being observed after administration of a dose of 2 mg/kg body weight. The large intestine was the major site of disposition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These data indicate that D/DA is rapidly absorbed from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in vitro experiment utilizing liver microsomal protein, the major metabolic reaction of D/DA occurred to change decursinol. The cumulative biliary, urinary, and fecal excretions of D/DA in bile duct-cannulated rats was $36.10{\pm}2.9%$, $25.35{\pm}3.8%$, and $34.20{\pm}3.2%$, respectively, at 72 h after administr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bsorption of D/DA is almost complete, and that its metabolites are primarily excreted into feces through the bil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DA is subject to enterohepatic circulation.

Effect of Pluronic F-68 and Oxygen Vectors on Cell Growth of Angelica gigas Nakai in Fed-batch Culture

  • 전수환;이상윤;조지숙;민병혁;김동일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159-162
    • /
    • 2000
  • 유가식배양을 통한 고농도배양에서 계면활성제와 산소전달물질의 첨가는 세포의 고밀도와 배지의 고점도로 인해 발생하는 nutrient의 물질전달제한과 산소부족현상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였다. Pluronic 10R-5는 Pluronic F-68과 같은 triblock copolymer 구조이며 세포생장의 저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diblock copolymer구조이며 소수성 부분이 hydrocarbon block인 Plurafac A-38은 세포의 생장을 저해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장기간의 유가식배양이나 perfusion 배양을 수행할 경우 세포의 생존도를 증대시켜 유용물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여러 형태의 bioreactor에서 고농도 배양을 가능케 하여 유용물질 생산성을 높일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 PDF

참당귀(當歸) 추태율(抽苔率)과 수양(收量)과의 관계(關係) (Relation between Bolting Rate and Yield in Angelica gigas NAKAI)

  • 유홍섭;장영희;이승택;김충국;김영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7-51
    • /
    • 1996
  • 참당귀(當歸) 재배(栽培)에 있어서 추태율(抽苔率)과 수양(收量)과의 관계(關係)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2년(年)부터 1994년(年)까지 3년(年)동안 121개(個) 시험구(試驗區)에서 조사(調査)된 자료(資料)를 분석(分析)하였다. 1. 참당귀(當歸)의 추태율(抽苔率)은 초기생육(初期生育)이 좋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2. 수양(收量)은 전혀 추태(抽苔)되지 않은 포장(圃場)보다 11%정도 추태(抽苔)된 포장(圃場)에서 가장 많았다. 11%이상(以上)으로 추태율(抽苔率)이 높아지면 수양(收量)이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30%이상(以上)으로 추태율(抽苔率)이 높을 때에 수양(收量)이 급격하게 낮아졌다. 3. 묘(苗)크기 에 따라 중묘(中苗), 소묘(小苗)에서는 추태율(抽苔率) $10{\sim}15%$범위(範圍)에서 수양(收量)이 높고 대묘(大苗)에서는 추태율(抽苔率) $5{\sim}10%$범위(範圍)에서 수양(收量)이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