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elica gigas nakai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19초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직파 및 이식재배에 따른 생장해석 (Growth Analysis of Angelica gigas Nakai Affected by Cultivation Methods)

  • 남효운;최돈우;김길웅;권오흔;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18-228
    • /
    • 1999
  • 참당귀의 주산지인 경북북부지역에서 재배양식에 따른 참당귀의 생장해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주요형질의 변화는 재배양식에 관계없이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직파재배에서 파종시기가 빨라질수록 지상하부 형질은 크거나 많았으며, 이식재배에서는 지상부 형질은 관행 12개월묘보다 9개월이하 묘이식이 크거나 많은 반면 지하부 형질은 생장초기에는 묘령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나 생장이 진전될수록 이러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각 기관별 건물중은 파종 및 이식 후 120일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직파재배의 경우 지상부 생장이 지하부에 비해 왕성한 반면 이식재배는 지하부 생장이 상대적으로 왕성하였다. 생장기간이 단축될수록 광합성기관의 분배율이 증가하였고 RGR, NAR 등 일차생산성은 증가하였으나 생장일수의 제한 및 단위면적당 일차생산성을 나타내는 CGR이 9개월묘 이식과 3월31일 직파가 가장 빨라 군락상태에서의 일차생산성은 이들 재배양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당귀의 CGR과 LAI간에는 2차 다항식이 유의하게 존재하였으며 LAI시 1.97일 때 /$6.74\;g/m^/dat2$ 로 가장 빨랐다 RGR과 NAR은$23^{\circ}C$ 경에 가장 높았고 건엽중 및 건엽병중은 각각 $23,\;20^{\circ}$에서 순생산량인 가장 많았으며 건근중은 부의 관계를 보였다.

  • PDF

Orotic acid 유발 흰쥐 지방간 개선에 미치는 발효당귀의 효과 (The Improvement Effect of Fermented Angelica gigas Nakai Powder Against Orotic Acid-induced Fatty Liver in Rats)

  • 안희영;박규림;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1-418
    • /
    • 2014
  • Monascus purpureus 균주에 의해 발효된 당귀분말을 Orotic acid-유발 지방간의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식이에 5% 수준으로 첨가하여 10일간 급여한 후 혈중 및 조직 내 산화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체중 증가량과, 식이 섭취량은 각 OA실험군 모두 감소 하였으나, 음료섭취량은 증가하였다. 간 기능 지표로 활용되는 혈중 AST, ALT, LDH, ALP 및 Cholinesterase 활성 변화 역시 정상 수치와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각 조직과 혈청의 과산화지질(TBARS)을 측정한 결과 OA대조군에 비해 각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그 중 발효당귀분말을 투여한 FAG군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미네랄 측정 결과 비헴철과 아연을 정상수치로 되돌려주는 기능이 있었으며, Orotic acid 지방간 유발로 인해 저하된 글루타치온 함량을 높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발효당귀는 간 조직 내 항산화 물질 증가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를 경감시킴으로써 향후 간 독성 개선 효능을 가지는 건강식품 개발 가능성이 높은 소재로 판단되어진다.

참당귀 Methanol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 박경욱;최사라;홍혜란;김재용;손미예;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55-661
    • /
    • 2007
  •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를 기능성 식품소재 및 의약품의 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참당귀 methanol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항암 및 면역활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당귀의 항산화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0.1, 0.5 및 1 mg/mL의 농도로 당귀의 methanol 추출물을 처리한 후 수소 공여능, 환원력 및 hydroxyl radical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활성은 모두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수소공여능은 1 mg/mL에서 대조군과 비교했을때 50% 정도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참당귀 methanol 추출물을 SW480세포에 처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였으며, 암세포에 참당귀 methanol 추출물을 24시간 처리하여 hoechst 염색한 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핵의 응축 및 DNA 분절이 관찰되었다. 또한 참당귀 methanol 추출물이 처리된 암세포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농도에 의존적으로 caspase-3의 활성이 증가하였다. 참당귀의 methanol 추출물은 생쥐의 비장으로부터 분리한 면역세포에 대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이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또한 대식세포인 RAW 264.7에서도 $NO_2$(Nitrite)를 함량이 증가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 결과는 참당귀 methanol 추출물은 약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면역 활성에는 큰 관련이 없지만, SW480 암 세포에서 caspase dependent pathway에 의한 apoptosis를 유도함으로서 암세포의 사멸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알코올성 간독성 흰쥐의 혈청 지질 및 조직 과산화지질 농도에 미치는 발효당귀의 영향 (Effects of Monascus-fermented Angelica gigas Nakai on the Contents of Serum Lipid and Tissue Lipid Peroxidation in Alcohol Feeding Rats)

  • 안희영;박규림;김유라;윤경훈;김정욱;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1371-1380
    • /
    • 2013
  • Monascus purpureus 균주에 의해 발효된 당귀분말을 식이 중에 5% 수준으로 첨가하여 30% 알코올과 함께 4주간 흰쥐에 급여한 후 혈중 지질 농도 및 조직 내 산화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혈중 중성지질 농도 및 유리 지방산 농도는 알코올 대조군(Alc)에서의 증가가 알코올 실험군에서 모두 감소하였고, 특히 발효당귀군(AFAG)에서 낮은 감소수치를 보였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전반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HDL-cholesterol 농도에서 발효당귀군(AFAG)이 증가수치를 나타내었다. 간장, 심장, 비장,신장, 고환 및 혈청에서 생체막 과산화지질 생성 정도는 정상군(N)에 비해 알코올 대조군(Alc)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는 발효당귀군(AFAG)과 양성 대조군(ASM)에서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간 조직 내 내인성 항산화 물질인 glutathione 농도는 알코올 대조군(Alc)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발효당귀군(AFAG)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과산화 지질 생성정도와 glutathione 농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발효당귀는 알코올 투여 동물실험에서 혈중 지질 개선효과는 물론 조직 내 항산화 활성증가로 산화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간 독성 개선에 효능을 가지는 건강식품 개발 가능성이 높은 소재로 판단되어진다.

참당귀 지상부 추출물의 지표성분 decursin의 분석법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 for Decursin in Aerial Parts of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 김희연;이기연;김태희;박아름;노희선;김시창;안문섭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2-5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참당귀 지상부 추출물의 표준화를 위하여 decursin을 지표성분으로 선정하고 HPLC분석을 통하여 decursin의 분석법을 확립하고 유효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유효성 검정 결과, decorsin 표준용액과 참당귀 지상부 추출물의 retention time 및 spectrum이 일치하는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표준 검량선의 상관계수($R^2$)는 0.9994로 매우 우수한 직선성을 나타내었으며 정량한계(LOQ)는 $0.034{\mu}g/mL$이었고 검출한계(LOD)는 $0.011{\mu}g/mL$이었다. Decursin의 intra-day 분석에서 정확성 및 상대표준편차는 각각 96.49 ~ 104.35%, 0.53 ~ 1.10%, inter-day 분석에서 정확성 및 상대표준편차는 각각 97.23 ~ 100.14%, 0.26 ~ 1.15%인 것으로 나타나 본 시험법의 정확성 및 정밀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표준품 농도별 지표성분의 회수율은 92.38 ~ 104.11%의 범위였으며 분석오차 10% 이내로 측정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수행된 HPLC 분석법이 참당귀 지상부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decursin을 분석하고 표준화하는데 적합한 시험법임을 의미한다.

실험 설계와 디자인 스페이스 융합 분석을 통한 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을 함유한 로션 제조의 최적 공정 연구 (A Study of Optimal Lotion Manufacturing Process Containing Angelica gigas Nakai Extracts by Utilizing Experimental Design and Design Space Convergence Analysis)

  • 표재성;김현진;윤선혜;박재규;김강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32-14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이용한 최적의 로션 제조 공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초기 로션 제형은 3개월 동안 점도(5,208±112 cPs), 함량(99.71±1.01%) 및 pH(5.62)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조 공정D 혼합 4의 최적 제조 공정 확인은 22+3 완전 배치 요인법을 이용하였으며, 독립변수로 혼합 온도(40-80℃)와 혼합 시간(10-30 min)으로 종속변수로써 중요품질특성인 함량, pH, 질량편차를 확인하였다. 함량 및 질량편차는 도출된 회귀방적식의 결정계수는 약 0.9였고 p-value값은 0.05보다 작아 모델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로션 제조를 위한 최적의 온도조건과 혼합 시간은 61.93℃와 15.85분으로 확인되었다. 혼합4 공정에 있어 혼합 온도(60℃)와 혼합 시간(15 min)에서의 함량은 100.69%, pH는 5.57, 질량편차는 98.07%으로 예측되었고, 실제 검증에서는 각각 100.29±0.98%, 5.57±0.02, 98.27±0.89%으로 예측된 값에 대하여 유사한 결과까지 확인 할 수 있었다.

Development of Cell Line Preservation Method for Research and Industry Producing Useful Metabolites by Plant Cell Culture

  • Cho, Ji-Suk;Chun, Su-Hwan;Lee, Song-Jae;Kim, Ik-Hwan;Kim, Dong-Il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5권5호
    • /
    • pp.372-378
    • /
    • 2000
  • The cell culture of Angelica gigas Nakai producing decursin derivatives and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s was preserved in liquid nitrogen after pre-freezing in a deep freezer at -70$^{\circ}C$ for 480 min. The effects of the cryoprotectant and pretreatment before cooling were investigated to obtain the optimal procedure for cyropreservation. When compared to mannitol, sorbitol, or NaCl with a similar osmotic pressure, 0.7 M sucrose was found to be the best osmoticum for the cryopreservation of A. gigas cells. In the pre-culture medium, the cells in the exponential growth phase showed phase showed the best post-freezing survival after cryopreservation. A mixture of sucrose, glycerol, and DMSO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cryoprotectant and a higher concentration of the cryoprotectant provided better cell viability. When compared with the vitrification, the optimum cryopreservation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would seem to be more effective for the long-term storage of suspension cells. The highest relative cell viability established with the procedure was 89%.

  • PDF

지대별 적산온도와 묘 크기가 당귀의 수량 및 Decursin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Yield and Decursin Content According to the Accumulative Temperature and Seedling Size in Cultivation Areas of Angelica gigas Nakai)

  • 김영국;안영섭;안태진;여준환;박충범;박호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58-463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some conditions for optimum cultivation of Angelica gigas Nakai by the investigation of root yield and decursin content from different seeding sizes and accumulative temperature. Accumulative temperature from April to October was $4,309^{\circ}C$ on altitude 100 m, $4,242^{\circ}C$ on 250 m, $3,662^{\circ}C$ on 530 m, $3,435^{\circ}C$ on 730 m, and altitude 530~730 m was less $650{\sim}870^{\circ}C$ than altitude 100 m cultivation areas of A. gigas. Seedling stand rate was increased from 86.4% to more than 90% as accumulative temperature decreases, and was increased in above 7 mm of seedling size, and 10% in non-mulching more than PE film mulching. Yield was increased as accumulative temperature decreases and in PE film mulching as 310.2 kg/10a. Also, Yield was increased in 7~9 mm than seedling diameter 5~7 mm as 313.0 kg/10a. Decursin content of primary roots was increased as altitude rises, ie, as 2.55% on altitude 100 m, 3.33% on 250 m, 5.51% on 530 m, and 6.24% on 730 m. Decursinol angelate content appeared little than decursin content as 1.08% on altitude 100 m, 1.37% on 250 m, 1.99% on 530 m, 2.38% on 730 m, and as altitude was heightened, content was increased.

Micro-CT 촬영기법에 의한 재배지 참당귀의 뿌리 특성 (Study of Root Characteristics of Angelica gigas Nakai in Plantations using a Micro-CT Camera)

  • 정대희;김기윤;심수진;정충렬;김현준;전권석;박홍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07-314
    • /
    • 2019
  • Background: We measured the weight characteristics, intercellular space volume as a proportion of root volume, and quantities of the functional component in Angelica gigas Nakai, collected from four cultivation areas in Pyeongchang, including Tapdong-ri and SangjinBu-ri, and tested the results for correlations. Methods and Results: Dry weight was the highest in the Tapdong-ri group ($13.37{\pm}0.13g$) and the lowest in the SangjinBu-ri group ($11.90{\pm}0.57g$). The percentage of intercellular spaces within the roots, determined by micro-CT camera, was the highest in the Tapdong-ri group ($6.44{\pm}0.76%$) and the lowest in the SangjinBu-ri group ($9.01{\pm}2.15%$). The quantity of functional components were the highest in the Tapdong-ri group ($116.13{\pm}9.53mg/g$) and the lowest in the SangjinBu-ri group ($99.77{\pm}23.23mg/g$). Conclusions: The dry weight of A. gig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volume and percentage of intercellular space. An increase in the dry weight resulted in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and ratio of the intercellular spaces. The volume of intercellular space correlated negatively with levels of the functional components, this was significant in the case of the nodakenin,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content (p < 0.016).

발효당귀가 Orotic acid 유발 흰쥐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Angelica gigas Nakai on Lipid Metabolism in Orotic Acid Model Rats)

  • 안희영;박규림;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743-749
    • /
    • 2014
  • Orotic acid 1% 수준으로 지방간을 유발시킨 흰쥐에 Monascus purpureus 균주 발효 당귀 5%를 식이 첨가하여 간 조직 및 혈중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발효 참당귀 분말을 10일간 식이 급여한 결과, orotic acid 유발 지방간 흰쥐의 간 조직 내 중성지질 농도를 낮추고, 혈청 지질 농도가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간 조직 내 MTP mRNA 및 PDI mRNA 발현 정도는 정상군에 비해 발효 당귀군에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거나, 유의적으로 증가된 수치를 나타내었다. 간 조직의 형태학적 관찰에서는 세포 간극이 좁고 잘 구성된 소엽구조를 하고 있는 정상군에 반해 OA 대조군은 orotic acid 투여로 소포성 지방 변성이 소엽 중심대에 나타나 있고, 지방세포의 크기와 수가 증가하여 전형적인 지방간 형태의 양상을 보였다. 한편, 발효 당귀군의 간장은 간세포의 소포성 지방세포들이 현저히 감소함으로써, 정상 수준의 형태학적 간 성상을 나타내어 지방간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간 조직의 지질 축적 억제로 인한 지질대사 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