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elica acutiloba K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1초

구기자(Lycium chinensis Miller), 당귀(Angelica acutiloba Kitag),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on), 오갈피(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an) 추출물의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및 타닌의 조성 (Composition of Free Sugars, Free Amino Acids,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s in the Extracts of L. chinensis M., A. acutiloba K., S. chinensis B. and A. sessiliflorum S.)

  • 오상룡;김성수;민병용;정동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6-81
    • /
    • 1990
  • 구기자, 당귀, 오갈피 및 오미자를 이용한 전통음료의 품질개선 및 산업화를 위한 기초실험으로서 물과 5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의 수율 및 맛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들을 조사하였다. 시료의 일반성분 중 지방은 오갈피를 제외한 시료는 다소 높은 $11.2{\sim}21.5%$, 단백질은 구기자 18.9%, 당귀 13.2%, 섬유질은 오갈 피가 13.9%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출시험에서는 시료 전반적으로 에탄올보다 물로 추출시 수율이 높았으며, 에탄을 농도가 $25{\sim}75%$에서는 수율이 떨어지고, 95% 이상에서는 당귀를 제외한 구기자, 오미자 및 오갈피는 현저하게 떨어졌다. 유리아미노산 총함량은 물보다 50% 에탄올 추출물이 높았으며, 구기자와 당귀가 각각 123.l3mg%, 132.94mg%로 비교적 함량이 높았다. 유리당의 총함량은 구기자 $6.0{sim}6.1%$ 당귀 $8.2{\sim}10.4%$, 오갈피 $3.4{\sim}3.8%$ 및 오미자는 $2.2{\sim}3.0%$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이 함량이 비교적 높으며 구성당류는 주로 fructose, glucose, sucrose 가 확인되었다. 추출물의 pH와 산도는 구기자, 당귀, 오갈피는 pH$4.6{\sim}5.0$, 산도는 $1.20{\sim}2.27%$이었으며, 특히 오미자는 pH2.9, 산도 9.9%로 강산성을 나타내었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구기자가 lactic acid $0.82{\sim}0.88%$ 당귀는 malic acid $0.33{\sim}0.54%$, 오갈피는 malic acid $0.41{\sim}0.64%$, ${\beta}-ketoglutaric$ acid $0.41{\sim}0.65%$, 오미자는 malic acid $1.51{\sim}3.90%$, citric acid $2.40{\sim}3.92%$로 주요 유기산이 있다. 타닌은 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다소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오갈피는 $3.35{\sim}3.85%$로 매우 높은 함량이었다.

  • PDF

당귀잎 착즙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빵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Pan Bread Made with Various Amounts of Squeezed Danggui Leaf (Angelica acutiloba Kitagawa) Juice)

  • 김원모;오석태;송미란;김기혁;이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971-97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 원료로 사용되는 당귀에서 뿌리를 수확한 후 부산물인 당귀잎을 활용하는 범위를 넓히고자 당귀잎을 착즙액 형태로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빵 하고, 식빵의 물성을 분석하여 제빵 가능한 당귀잎 착즙액 첨가량 범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결과에서 발효팽창력은 우리밀을 이용하여 제조한 빵(DOWF)과 1% 당귀잎 착즙액 고형분을 첨가하여 제조한 빵(1% SDLJ) 사이에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으나 당귀잎 착즙액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부피 팽창력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수분함량은 당귀잎 착즙액 첨가량이 많을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저장 기간에는 모든 처리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나타내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당귀잎 착즙액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L값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a값은 음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 기간에 따라서 L값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a값은 음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b값의 변화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탄력성은 당귀잎 착즙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저장 기간에는 감소하였다. 응집성은 수입밀로 제조한 빵(IMWF)이 DOWF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저장 기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검성, 깨짐성 및 경도는 당귀잎 착즙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IMWF, DOWF와 1% SDLJ 사이에서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제빵 직후 물성 분석 결과 IMWF, DOWF와 1% SDLJ 사이에 유의차가 없어 당귀잎 착즙액을 이용하여 제빵 할 때는 1% SDLJ로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빵의 저장 기간과 물리적 특성 사이의 상관성을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하였을 때 PC1에 대한 variance proportion은 0.87이었고 PC2에 대한 variance proportion은 0.10이었다. PCA 분석 결과 1% SDLJ는 제빵 후 및 저장 3일째에도 DOWF나 IMWF와 같은 대조구와 제빵 후 특성 및 저장성이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당귀잎 착즙액으로 제빵 할 경우에는 1% SDLJ로 제빵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당귀잎 착즙액을 이용하였을 때 제빵 가능성이 확인되었으므로 앞으로 기호성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해독사물탕(解毒四物湯)이 피부 접촉성 과민반응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Haedoksamul-tang on Trimellitic Anhydride-induced Contact Hypersensitivity in a Mouse Model)

  • 전영균;정명;복영옥;이은혜;임규상;윤용갑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65-81
    • /
    • 2016
  • Objectives : Haedoksamul-tang (HSTE), a water extract from a mixture of Phellodendri Cortex, Coptidis, Scutellariae Radix, Gardeniae Fructus, Angelica acutiloba Radix, Cnidii Rhizoma, Paeoniae Radix, Rehmanniae Radix,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allergic skin diseases such as atopic dermatitis and contact dermatitis in oriental countri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aqueous extract of HSTE on trimellitic anhydride (TMA)-induced contact hypersensitivity (CHS) in a mouse model. Method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HSTE on TMA-induced CHS in Balb/c mice. Contact hypersensitivity was induced in mice by topically sensitizing and challenging with TMA in flank skin and ears during oral administration (for 17 days) and topical treatment (30 min before challenge) with HSTE. We examined the effects of HSTE on IgE and IgG1 levels, inflammatory parameters in ear tissues, CD4+/CD8+ ratio, cytokine and chemokine production in sera, tissues, and immune cells from TMA-sensitized mice.Results : Oral and topical administration with HSTE reduc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ickness and leukocyte infiltration of ear tissues and IgE levels in serum from mice sensitized with TMA. In addition, auricula lymph node cells isolated from TMA-sensitized mice significantly elevated the expression ratio of CD4+/CD8+ as well as increased the production of IL-4, IL-5, IL-13 and IFN-γ by ex vivo stimulation with antibodies against CD3 and CD28, and these inflammatory indexes, except for IFN-γ, were significantly suppressed by orally and topically administration of HSTE. Furthermore, stimulation of auricula lymph node cells from TMA-sensitized mice with antibodies against CD3 and CD28 increased the production of MCP-1/CCL2 and MIP-1α/CCL3, and these effects were inhibi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cells from mice treated with HSTE.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HSTE can be used for treating contact hypersensitivity by inhibiting leukocyte infiltration as well as production of serum IgE and chemokine/Th2 cytokine in an animal model.

소음인(少陰人)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의 기원, 변천과정 및 구성 원리 (The Origin, Change, and Composition of Soeumin's Bojungikgi-tang)

  • 송은영;이의주;이준희;고병희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2
    • /
    • 2012
  • 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origin, changes and composition of Soeumin's Bojungikgi-tang. 2. Methods : 1) Analyzed the context of the progressive transformation of soeumin's Bojungikgi-tang in related passages from "Donguibogam (東醫寶鑑)", "Donguisusebowon Chobongwon (東醫壽世保元 草本卷)", "Donguisusebowon Gabobon (東醫壽世保元 甲午 本)", "Donguisusebowon Sinchukbon (東醫壽世保元 辛丑本)", "Dongmuyugo (東武遺稿)" 2)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utilization of Soeumin's Bojungikgi-tang in pre-existing manuscripts according to pathological pattern and more specifically at a pathological stage. 3) Analyzed the total primary effect of the herbs as a prescriptive category, as well as the herbal properties of each component. 3. Results and Conclusions : 1) Originally Dongwon's Bojungikgi-tang was prescribed as a stomach & spleen organ tonifying medicine so it was easily applied and established as a prescription appropriate for Soeumin constitutional types with a weaker spleen organ. 2) From Gabobon(甲午本), Soeumin's Bojungikgi-tang was modified, excluding Bupleurum falcatum(柴胡), Cimicifuga heracleifolia (升麻) and substituting Teucrium chamaedrys(藿香), Ophiopogon japonicus(蘇葉) which are herbs appropriate for the Soeumin constitutional type. 3) In the Gabobon(甲午本), the Gegi-tang which has yang raising properties is included in the Soeumin's Bojungikgi-tang. In Sinchukbon(辛丑本), the Gegi-tang of the Soeumin's Bojungikgi-tang in the Gabobon was excluded and the Gegi-tang mutated into Hwangigyeji-tang. 4) In the Gabobon(甲午本), as the Soeumin's Bojungikgi-tang was prescribed for Soeumin disease regardless of favorable-unfavorable patterns and mild-severe patterns, the stage of the disease when to prescribe Soeumin's Bojungikgi-tang was not clarified. 5) As of the Sinchukbon(辛丑本) edition, as Soeumin's prescriptions have been obvious, the soeumin's Bojungikgi-tang was applied to Mang-yang disease with Hwangigyeji-tang and Seungyangikki-tang 6) As of the Sinchukbon(辛丑本) edition, the Soeumin's Bojungikgi-tang has been applied to parients having both exterior-heat Mang-yang disease and Greater-yin disease, at the same time. 7) As of the Sinchukbon(辛丑本) edition, finally, the Soeumin's Bojungikgi-tang formula has been established as gathering Qi and middle tonification with Panax ginseng(人蔘), Astragalus membranaceus(黃芪), keeping the spleen healthy with Artractylodes japonica(白朮), keeping the spleen strong with Angelica acutiloba(當歸), rooting the spleen with Citrus reticulata(陳皮), raising Yang and middle jiao with Teucrium chamaedrys(藿香), Ophiopogon japonicus(蘇葉), middle tonification with Glycyrrhiza glabra(甘草灸), Zingiber officinale(生薑), Zizyphus jujuba(大棗).

한약재를 첨가한 고추장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Added Medicinal Herbs)

  • 박찬성;박추자;전귀향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65-571
    • /
    • 2005
  • 본 연구는 품질특성과 기능성이 우수한 고추장을 제조하기 위해서, 고춧가루, 찹쌀, 메주, 엿기름, 소금, 물과 3종류의 한약재(당귀,목통,골담초)의 물추출물을 첨가하여 재래식 방법으로 한방고추장을 제조한 후, $5^{\circ}C$$20^{\circ}C$에서 90일간 저장하면서 고추장의 품질특성을 수분함량, 색도, 관능검사로서 조사하였다. 고추장의 수분함량은 저장 초기에 $33\~38\%$였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여 저장 90일후에는 $48\~51\%$까지 증가하였다. 고추장의 색도는 명도(L), 적색도(a), 황색도(a) 모두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20^{\circ}C$에 저장한 경우가 $5^{\circ}C$에 저장한 경우보다 감소의 폭이 컸다. 고추장의 명도는 $5^{\circ}C$$20^{\circ}C$ 모두 대조군과 한약재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적색도는 $20^{\circ}C$에 저장했을때 목통과 골담초 첨가 고추장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황색도는 $5^{\circ}C$에 저장한 골담초 첨가 고추장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한방고추장의 관능검사 결과, $5^{\circ}C$$20^{\circ}C$ 모두 90일간 저장한 고추장이 60일간 저장한 경우보다 기호도가 높았으며 한약재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기호도가 높은 편이었고 특히 목통을 첨가한 고추장이 색상, 단맛, 종합평가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p<0.05).

조(속미(粟米)·출미(秫米))를 이용한 식치방(食治方)의 문헌(文獻) 조사 -1300년대에서 1600년대 한국 의서(醫書)를 중심으로- (Literary Investigation of Food-Therapy(食治方) Using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Beaur) - Korean Medicine Literature in 1300's-1600's -)

  • 박순애;최미애;김미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91-805
    • /
    • 2015
  • 1300년대부터 1600년대까지 발간된 10권의 의서 및 식이요법서 문헌에서 조를 이용한 식치방을 조사한 결과 기록 횟수는 총 63회이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의 식치 기록은 총 21회로 조사한 문헌 중 횟수가 가장 많았고, 식료찬요(食療纂要)는 두 번째로 식치방 기록은 총 16회이다. 식치의 조리방법별 분류에는 죽(粥) 조리방법이 가장 많았고 탕(湯) 조리방법, 밥(飯) 조리방법, 즙(汁) 조리방법, 환(丸) 조리방법 순으로 기록되었다. 죽과 탕의 조리법이 많은 것은 소화기에 주는 부담이 적고 흡수가 용이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조와 같이 사용된 식재료는 총백(蔥白), 생강, 계란, 해백, 술, 참새, 수탉간, 시, 붕어, 붉은 팥, 흰 수탉 등이고, 조와 같이 사용된 약재는 인삼(人蔘), 복령(茯笭), 당귀(當歸), 대추(大棗), 맥문동(麥門冬), 백출(白朮), 육계(肉桂), 토사자(免絲子) 등이다. 특히 한국 전통음료로 조를 발효시킨 장수(漿水)를 약 전처리나 법제에 사용하고 약재와 같이 복용하였다. 조를 이용한 식치방의 증상별 분류를 보면 비위(脾胃) 반위(反胃)에 12회, 대소변난(大小便難)에 11회, 곽란에 6회, 허증(虛症) 보익(補益)에 6회 기록되었다. 비위(脾胃) 반위(反胃), 대소변난(大小便難), 곽란, 허증(虛症) 보익(補益) 등의 식치방에 여러 번 기록된 것은 약재가 귀했던 시기에 식치(食治)로 비위(脾胃)를 보(補)하고 대소변(大小便)을 좋게 하여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중점을 두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소갈(消渴), 중풍(中風), 산후제질(産後諸疾), 소아제병(小兒諸炳), 기침 해수(咳嗽) 등 증상 치료에도 기록되어 조 식치방은 남녀노소에게 두루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민족의 경험의학이 바탕이 되는 조 식치방을 활용한다면 현대인들에게 좋은 약선 메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