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emarrhena asphodeloide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9초

Genotoxicity Study of Water Extract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and Phellodendron amurense in Bacterial and Mammalian Cell Systems

  • Chung, Young-Shin;Lee, Seok-Jong;Choi, Sun-A;Lee, Jang-Ha;Ryu, Jae-Chun;Hong, Eun-Kyu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43-47
    • /
    • 2004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afety of a water extract (ADP) of 1 : 1 mixture of Anemarrhena rhizoma and Phellodendron cortex for alleviating benign prostate hyperplasia, genotoxicity studies in bacterial and mammalian cell assay systems, namely, the Ames bacterial reverse mutation and chromosomal aberration assays were performed. As shown by the results of the Ames bacterial reversion assay, ADP in the range of 625-5000 $\mu\textrm{g}$/plate did not induce mutagenicity in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TA 100, TA 1535 and TA 1537 strains in the absence or in the presence of S9 (the microsomal fraction of rat liver homogenate) metabolic activation. The $IC_{50}$ (50% cell growth inhibition concentration) values of ADP for the chromosomal aberration assay were determined; these were 2425 $\mu\textrm{g}$/ml in the absence and 8126 $\mu\textrm{g}$/ml in the presence of S9 metabolic activation in Chinese hamster lung (CHL) fibroblast cell culture. No chromosomal aberration was observed in CHL cells treated with ADP at 2425, 1212.5 and 606.25 $\mu\textrm{g}$/ml in the absence, or at 8126, 4063 and 2031.5 $\mu\textrm{g}$/ml in the presence of S9 metabolic activ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under the conditions used, ADP does not harmfully affect the bacterial or mammalian cell system at the gene level.

피복비닐 종류에 따른 지모의 근경수량 및 조사포닌 함량 (Effects of Different Mulching Materials on Rhizome Yield and Crude Saponin Contents in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 한승호;최병준;신철우;정승근;박상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24-231
    • /
    • 2003
  • 1. 종자형성 계통군의 출현은 흑색 PE 피복, 녹색 PE 피복 및 투명 PE 피복이 무피복보다 각각 1일, 2일 및 3일 빨랐으며, 유식물체형성 계통군의 출현은 흑색 PE 피복, 녹색 PE피복 및 투명 PE피복이 무피복보다 각각 2일, 2일 및 3일 빨랐다. 2. 생근경중은 종자형성계통 군에서 투명 PE 피복이 무피복보다 16.7% 증수하였으며, 유식물체형성 계통 군에서는 녹색 PE 피복 및 투명 PE 피복이 무피복보다 각각29.4%, 26.5% 증수하였다. 3. 메탄올엑스함량은 종자형성 계통 군에서는 투명 PE피복이 42.60%로서 가장 많았으며, 흑색 PE 피복이37.50%로서 무피복보다 많았으나, 유식물체형성 계통군에서는 각처리 모두 무피복과 차이가 없었다. 4.조사포닌 함량은 종자형성 계통군에서는 투명 PE피복이 8.25%로서 무피복, 흑백 PE 피복 및 녹색 PE피복보다는 높았으나, 흑색 PE 피복과는 차이가 없었으며, 유식물체형성 계통군에서는 투명 PE피복이 7.75%로서 흑색 PE 피복이나, 녹색 PE 피복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나, 무피복 및 흑백 PE 피복과는 차이가 없었다.

지모의 핵형 분석 (Karyotype Analysi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 김수영;구달회;방재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4-146
    • /
    • 2002
  • 약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지모의 세포유전학적인 연구인 핵형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모의 체세포 염색체 수는 2n=22였으며. 외형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3쌍의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염색체와 길이가 짧은 8쌍의 염색체로 구별이 되었다. 염색체의 평균 길이는 염색체의 길이는 $1.27-3.80\;{\mu}m$로 관찰되었다. Armatio 비교를 통한 핵형 분석에서는 8쌍의 중부 염색체 (염색체 2, 3, 6, 7, 8, 9, 10 및 11), 2쌍의 차중부 염색체 (염색체 4와 5) 그리고 1쌍의 차단부 염색체 (염색체 1)로 구분되었다.

아나필락시스 반응과 비만세포 활성화에 대한 한국전통약제의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Several Korean Traditional Herbs on Anaphylactic Reaction and Mast Cell Activation)

  • 채옥희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4호
    • /
    • pp.201-209
    • /
    • 2010
  • 한방에서 사용되는 약재 중 가자와 지모, 단삼은 면역조절 및 항암효과, 항염증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비만세포와 관련된 아나필락스를 이해할 수 있는 세포학적 기전에 대한 가자와 지모, 단삼의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이 아나필락시스 반응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시험관내 실험과 생체 실험을 통하여,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이 compound 48/80에 의한 아나필락시스와 비만세포 활성화 및 IgE에 의한 피부반응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은 compound 48/80에 의한 전신성 아나필락시스와 귀부종 반응, IgE에 의한 피부반응을 억제하였다. 2) Compound 48/80에 의한 비만세포 탈과립과 흰쥐 복강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유리가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 전처리에 의해 억제되었다. 3) Compound 48/80에 의한 흰쥐 복강 비만세포내로의 칼슘 유입이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 전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은 비만세포 탈과립과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유리, 비만세포내로 칼슘유입을 억제함으로써 compound 48/80에 의한 아나필락시스와 IgE에 의한 피부반응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가자와 지모, 단삼은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모 주정 추출물이 염증으로 손상된 피부장벽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on Skin Barrier Function by Inflammation)

  • 정미림;이규영;홍철희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23
    • /
    • 2018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TNF-{\alpha}$$IFN-{\gamma}$로 자극한 인간피부각질형성세포 (HaCaT keratinocytes) 모델을 사용하여 지모가 피부장벽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MTT assay를 통하여 지모 주정(70% 에탄올) 추출물 (EAA)이 HaCaT keratinocytes의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wound healing assay를 통해 EAA가 HaCaT 세포의 이주 능력에 영향을 주는지 관찰하였다. 또한 western blot analysis와 qRT-PCR을 통하여 EAA가 $TNF-{\alpha}/IFN-{\gamma}$로 자극한 HaCaT 세포에서 iNOS의 단백질 발현 및 IL-4, IL-13, IL-6의 mRNA 발현, filaggrin의 단백질과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결과 : EAA는 처리 농도 $500{\mu}g/ml$까지 HaCaT keratinocytes의 세포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EAA는 wound healing assay에서 HaCaT 세포의 이주 능력을 증가시켰으며, $TNF-{\alpha}/IFN-{\gamma}$로 자극한 HaCaT 세포에서 iNOS의 단백질 수준을 감소시켰다. 또한 EAA가 IL-4, IL-13, IL-6의 mRNA 발현을 억제하는 것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EAA는 $TNF-{\alpha}/IFN-{\gamma}$ 자극에 의해 감소했던 filaggrin을 단백질과 mRNA 수준에서 회복시켰다. 결론 : EAA가 HaCaT 세포에서 Th2 type cytokines, pro-inflammatory cytokine의 억제와 filaggrin 회복을 통해 피부장벽 기능 손상에 대한 억제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EAA가 염증으로 인해 손상된 피부장벽 기능 개선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Minor Phenolic Constituents of the Anemarrhenae Rhizoma

  • Youn, Ui-Joung;Lee, Ye-Seul;Jeong, Ha-Na;Nam, Joo-Won;Lee, Yoo-Jin;Son, Young-Min;Hwang, Eun-Sook;Seo, Eun-Kyou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5권4호
    • /
    • pp.203-207
    • /
    • 2009
  • A homoisoflavanone, 7,4'-dihydroxyhomoisoflavanone (1) and a flavanone, (2S)-7,4'-dihydroxy-5-methoxyflavanone (2), were isolated from the rhizome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together with 4,4'-dihydroxychalcon (3), 2'-O-methylphlorethin (4), 1,3-bis-di-p-hydroxyphenyl-4-penten-1-one (5), and 2,4'-dihydroxy-4-methoxybenzophenone (6)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and physicochemical analyses including 1Dand 2D- NMR techniques as well as by comparison of their data with the published values. Compounds 1 - 4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source. Among isolates, compound 2 exhibited moderate inhibitory effect on the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 3T3-L1 cells.

知母의 生育特性과 部位別 Sarsasapogenin 含量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Sarsasapogenin in Different Plant Part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 허일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3-187
    • /
    • 1997
  • 본 실험은 지모의 생리, 생태적 특성과 성숙한 상태의 각 부위별 Sarsasapogenin의 함량을 비교 분석하고자, 5개의 수집종에 대해 1993년부터 '95년까지 충남농촌진흥원 특작포장에 재배하고 성숙된 지모의 각 부위별 Sarsasapogenin 함량을 T.L.C plate 방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5개 수집종 중 주로 종실(種實)형을 나타낸 것은 공주, 청양 수집종이고 영양번식(營養繁殖)형은 금산, 연기, 유성종에서 주로 분류되어 있으며, 종실(種實)형이 비종실형보다 생육(生育) 및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이 양호하였다. 2. BuOH에 엑스를 산(酸)으로 가수분해(加水分解)한 후 T.L.C 용매(溶媒) 전개조건(展開條件)인 $CHCl_3$ : MEK : EtOH의 비율을 11 : 2 : 0.5로 하여 sarsasapogenin 분리(分離)가 가능하였고 Dual wave length T.L.C scanner로 정량(定量)이 가능(可能)하였다. 3. 주근(主根)과 세근(細根)의 sarsasapogenin의 량(量)은 각각(各各) 1.67mg/10g, 1.31mg/10g으로 세근(細根)에 sarsasapogenin의 량(量)이 주근(主根)보다 1.1배(倍)로 높게 나타나 세근(細根)에 sarsasapogenin 계통(系統)의 물질(物質)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지상부(地上部)의 sarsasapogenin 함량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지모, 일황련 및 황백나무 추출액의 항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Coptis japonica and Phellodendron amurense Extracts against Phytophthora Blight)

  • 도은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51-359
    • /
    • 1997
  • 3가지의 식물체 추출액을 공시하여 P. capsici에 대한 항균 활성 검정, 고추 역병에 대한 방제효과 및 고추에 미치는 약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가지 식물체 물 추출액 중에서 일황련 추출애기 균새장 억제효과가 가장 뛰어났으며, 2배의 희석농도에서 70% 이상의 억제 효과가 있었고, methanol 추출액의 경우 1,000배 이상의 희석농도에서도 74.4%의 억제 효과가 있었다. 지모 및 일황련 추출액의 2개 희석농도와 황백나무의 추출원액 처리에 의해 P.capsici의 유주자낭의 발아는 완전히 억제되었다. 2. Methanol에 의한 추출액이 상온에서 물에 의해 추출하거나, 끓여서 추출한 액보다 항균력이 우수하였다. 3. 세 가지 식물체 추출액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고추 역병균에 대한 항균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 세 가지 추출액 모두 고추 역병에 대해서 방제효과가 있었고, 그 중 일황련 추출액이 가자 효과적이며 황백나무 및 지모의 순이었다. 5. 수경 재배형식의 유모검정에서는 고추묘에 약해가 있었으나, pot시험에서는 약해가 없었다. 또한 고추 종자에 추출액을 처리했을 때 발아가 저해되거나 유근의 신장이 억제되는 등 약해가 유발되어쓰나, 고추 잎과 고추 과실에 추출애글 엽면살포 하였을 때에는 아무런 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General Pharmacology of ADP

  • Ban, Ju-Yeon;Lee, Bo-Young;Hong, Eun-Kyung;Jung, Young-shin;Seong, Yeon-Hee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1권1호
    • /
    • pp.51-57
    • /
    • 2003
  • General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ADP, a new pharmaceutical composition, which contains a mixed water extract obtained from the mixture of Phellodendron cortex (Phellodendron amurense) and Anemarrhena rhizoma (Anemarrhena asphodeloides), as the active ingredients, were investigated in experimental animals administering orally and in vitro test system. ADP had no influences on general behavior, pentobarbital sleeping time, spontaneous motor activity, motor coordination of mice, normal body temperature, chemoshock produced by pentylenetetrazole and writhing syndromes induced by 0.8% acetic acid at the dose of 150 and 1500 mg/kg. Gastric secretion of rats and intestinal motility of mice were not also influenced by the administration of ADP at doses of 150 and 1500 mg/kg, with the exception of the significant decrease of free HCI concentration at a dose of 1500 mg/kg in rats. ADP (150 and 1500 mg/kg) did not alter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 conscious rats. ADP given to anesthetized rats showed no effect on respiratory rate at the same doses. In in vitro experiments, ADP at the concentration of 150 mg/L did not show direct effect and inhibitory or augmentative action on histamine- or acetylcholine-induced contractions in the isolated ileum of guinea-pig.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DP does not induce any adverse effects in experimental anim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