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nechoic room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초

인자분석과 다효원척를 이용한 스피이커의 음질평가 (The assessment of sound quality of loudspeaker system by using factor analysis and muliti-dimensional scaling)

  • 황영수;김영일;차일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6-24
    • /
    • 1984
  • The objective data and subjective data correlated in order to rate sound quality of loudspeaker system and these data were analyzed by the Factor Analysis and Multi-Dimensioinal Scaling. The dimensions yielded Factor Analysis were interpreted as "Contrast", "Metallic", "Rich", "Present" and their relation to physical variables were explored by studying the positions of loudspeaker systems in the respective dimension. When the subjective similarity degree of loudspeaker systems was compared with the objective similarity degree of loudspeaker systems by Multi-Dimensional Scaling, the similarity degree of sound pressure response in the listening room closely coincided with the subjective similarity degree regardless of sound source. This result implies the necessity of measurements taken not only in an anechoic room but also in a listening room in order to rate sound quality of loudspeaker systems.

  • PDF

두개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흡음재의 음향특성 조사 (A Study on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Absorbent Materials Using Two Microphones)

  • 정성수;황철호
    • 소음진동
    • /
    • 제6권2호
    • /
    • pp.225-231
    • /
    • 1996
  • A free field method using two microphones is used for measuring surface impedance and absorption coefficient of the absorbent materials. It is shown that this method can be performed in a large non-anechoic room. Precise values of the surface impedance can be obtained by changing the spaces between the two microphones. Comparison between experimental values of the surface impedance of the glass wool and the mineral wool and Miki's empirical model shows agreement.

  • PDF

소형 추적 레이다용 종합성능시험 시설 개발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Performance Test Facility for Small Millimeter-wave Tracking Radar)

  • 김홍락;김윤진;우선걸;안세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21-127
    • /
    • 2020
  • 소형 추적 레이다는 저속으로 기동 중인 큰 RCS를 갖는 바다위의 함정 표적 및 고속으로 기동하는 작은 RCS를 갖는 항공기(전투기, 무인기, 헬기 등)에 대하여 빠른 김발구동으로 표적을 향하고 실시간으로 표적을 탐색/ 탐지 하여 추적하는 펄스 방식의 레이더이다. 추적 레이다를 실제 환경에서 성능시험을 수행하는 것은 많은 비용이 발생을 한다. 또한 실제 환경에서는 성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소형 추적 레이다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실 환경의 종합성능시험 시설의 구성과 각 구성의 주요 요구사항 및 구현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 환경을 모사하기 위한 무반향 챔버, 실 표적의 신호를 모사하기 위한 모의표적발생부, 표적의 이동을 모의하기 위한 혼안테나 구동장치, 추적레이다의 비행환경을 모사하기 위한 FMS(Flight Motion Simulatior)로 구성되며 각각의 설계와 구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야외시험장과 전자파 완전 무반사실과의 상관계수를 이용한 완전 무반사실의 허용 기준 제안 (Limits of Fully Anechoic Room for Radiated Disturbance Using Correlation Factor)

  • 이순용;정연춘;최재훈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401-141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전자파 장해 측정용 야외시험장과 전자파 내성 시험장인 완전 무반사실과의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완전 무반사실에서 전자파 허용 기준을 제시하였다. FAR Project(SMT4-CT96-2133), CISPR/A/665/DTR, CISPR A/665/DTR 문서들을 분석하고, 이 문서들과 이론적인 수식들을 이용하여 야외시험장과 완전 무반사실의 이론적인 상관계수를 도출하였다. 실험적인 상관계수를 도출하기 위해서 피시험기기를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피시험기기의 전기장 세기를 10 m 야외시험장과 3 m 완전 무반사실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다중 소스원을 갖는 피시험기기를 위한 허용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서, 전기 다이폴과 자기 다이폴의 방사 이론을 프로그램화 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 소스원을 갖는 피시험기기를 위한 상관계수를 도출하였다. 이론적, 실험적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완전 무반사실에서 전자파 허용 기준을 새롭게 제시함으로써 완전 무반사실이 야외시험장의 전자파 방사(EMI) 대체 시험장으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시 패널의 투과손실 측정 및 예측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Transmission loss through Dash Panel)

  • 김정수;강연준;김윤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대회논문집(수송기계편)
    • /
    • pp.122-125
    • /
    • 2005
  • This study is an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transmission loss through dash panel with multi-path in a vehicle. Measurement results of transmission loss are derided by sound power measured using the sound intensity method under locating a sound source in the anechoic room and reverberant room, respectively. Prediction one is decided by multi-path analysis of dash panel composed by a various part of materials and complicated shape. Finally, two results show a great agreement between measured and predicted transmission loss.

  • PDF

배수관의 구조소음과 소음저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borne Noise and Noise Reduction of Drainage Pipes)

  • 류봉조;이규섭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4-202
    • /
    • 2009
  • The paper deals with the countermeasure against structure-borne noise source and noise reduction of drainage pipes. Recently, the problem the problem of the toilet drain noise of an apartment house has been become the center of public interest and a target of public grievance. Generally, the drain noise of a toilet in the apartment house has a pink noise characteristics below 2 kHz level, and therefore, the structure-borne noise has a great effect on the entire drain noise. In order to measure the transmission loss for various kinds of pipes such as PVC pipes, cast-iron pipes and newly developed AS pipes, experimental setup containing speakers as a sound source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The second-stories measurement room with a small size anechoic chamber was constructed and the noise level for different kinds of drainage pipes was measured by the sound level meter. Through the experimental research in the study, noise reduction capacity for various kinds of drainage pipes and countermeasures against structure-borne noise source are demonstrated.

  • PDF

고화질 TV Set의 음향 파워 레벨 측정 및 평가 어휘 선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CD·PDP TV Set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wer Level Measurement and Evaluating Vocabulary of H.D. TV Sets -Focused on LCD·PDP Tv Sets-)

  • 이태강;박현구;이주엽;이재천;신종근;김희진;김선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9호
    • /
    • pp.1092-1099
    • /
    • 2005
  • This experimental study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CD or PDP TV set noise, which are differ form those of CRT TV set. These characteristics are most important for establishing the effective method to reduce noise level, searching for the appropriate exposure level and evaluation method of LCD or PDP TV set noise. This study adopt two measurement method to specify the power level of LCD or PDP TV set noise in anechoic room(ISO 3741) and reverberation room(ISO 3745) . Comparing with each results of the two method, the reverberation room method is more simple in measuring and calculating the power level. And the subjective response test are carried out to select the pair of appropriate adjectives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LCD or PDP TV set noise. The pair of 17 adjectives are selected from the 168 adjectives which are used in presenting the sound and noise form literature.

청취자가 이동이 가능한 청각 디스플레이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the virtual auditory display system that allows listeners to move in a 3D space)

  • 강대기;이채봉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청취자가 3차원 공간에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음장 재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은 방음실($4.7m(W){\times}2.8m(D){\times}3.0m(H)$)에 설치하였으며 개인용 컴퓨터, 음의 제시장치 그리고 3차원 초음파 센서로 구성하였다. 본 시스템에서는 실내 전체를 감지하는 3차원 초음파 센서로부터 청취자의 위치 정보 및 자세각 정보를 얻어, 컴퓨터에서 나오는 음신호에 머리전달함수(HRTFs)를 삽입하여 음의 제시 장치로부터 출력하도록 설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머리전달함수는 청취자의 머리 정변에서 1.5m 떨어진 지점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그리고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가상 음원의 위치를 랜덤으로 변화시키고, 청취자에게는 자유로운 이동을 허락한 상태에서 음원의 위치를 찾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3차원 공간에 있어서 제시된 음원의 위치에서 청취자가 추정한 위치까지의 거리 오차는 약 30cm 이내로 나타났다.

레인지후드 덕트설치 조건에 따른 소음 및 풍량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Noise Level and Airflow Amount of a Kitchen Hood by the Different Conditions of Airflow Path.)

  • 김일호;김윤재;이용준;이규동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7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1-14
    • /
    • 2007
  • Noise level and Airflow amount of a kitchen hood are affected by the conditions of airflow path. Thu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reference in designing airflow path of apartment housing throughout analysing changes in noise level and airflow amount from the various conditions of airflow path. Noise level generated by the kitchen hood is estimated in a kitchen and a living room of two constructed apartment houses, and an experiment is conducted in an half anechoic chamber to analyze noise level and airflow amount by the different length, diameter and number of windings of a round shaped soft duct which is connected to the kitchen hood. The measured results in apartment houses show that the noise level in both apartments exceeds the NC standard greatly in living spaces. In apartment A, a regular apartment house, the noise level was $NC-65{\sim}75$, $NC-45{\sim}60$ and NC-70, NC-45 in the kitchen and living room with an operation of kitchen hood in 1 and 3 stages. In apartment B, an apartment complex, the noise level was NC-55 and NC-60 in the kitchen and living room with an operation of kitchen hood in 3 stages. In particular, there was an increase of noise level at 125Hz-band resulted from an amplification of sound, which requires adequate measures in noise reduction. The results measured in Half anechoic chamber show 99% of airflow amount increase with the modification of a duct' s diameter from ${\Phi}$ 100mm to ${\Phi}$ 125mm, 37% of airflow amount increase with the modification of a duct' s diameter from ${\Phi}$ 125mm to ${\Phi}$ 150mm, and 173% of airflow amount increase with the modification of a duct' s diameter from ${\Phi}$ l00mm to ${\Phi}$ 150mm. The noise level was lower than the level measured in apartment housing about 20 in NC-value and 11.4 in dB(A)-value, which was interpreted as the effect of the load by the pressure condition at the rear end of the duct. Also, an amplification of sound in 125Hz-band influenced NC-value considerably, therefore effective measure is needed.

  • PDF

음향적으로 결합된 공간의 주관적 잔향감에 관한 연구 (A Subjective Study on the Reverberation Characteristics of Coupled Spaces)

  • 정대업;최영지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65-7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음향적으로 결합된 공간에서 개구부의 크기변화에 따른 주관적 잔향감의 평가를 청취실험을 통해 실시하고 주관적 잔향감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물리적 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공간의 물리적 음향특성은 물론 주관적 음향평가를 위하여 1/10 스케일의 모형을 제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주관적 잔향감평가를 위해 바이노럴 임펄스 리스펀스(binaural impulse response)를 더미헤드(dummy head)를 이용해 녹음하여 가청화작업(auralization)을 거쳐 청취실험에 음원으로 제시하였다. 청취실험결과, 주실이 흡음력이 낮은 잔향부실과 음향적으로 결합할 경우 개구율이 12.5%(주실면적대비 1.97%)일 때 주관적 잔향감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구율이 25%(주실면적대비 3.94%)이상일 때 주관적 잔향감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실이 흡음력이 높은 흡음부실과 음향적으로 결합할 경우 개구율이 $0%{\sim}6.25%$까지(주실면적대비 $0%{\sim}0.99%$)는 주관적 잔향감이 변화하지 않다가 개구율이 12.5%에서부터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감쇠현상을 나타내는 물리적 지표 T30/T15는 개구율의 변화에 따른 주관적 잔향감과 상관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자들이 제시한 새로운 지표 T30/Tbp이 주관적 잔향감과 높은 상관도를 보였다. 또한 개구율 변화에 따른 이중감쇠현상은 초기나 중기감쇠부분에서보다 후기감쇠부분에서 에너지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T30/T15에 비해 LDT/EDT나 T3/T1가 주관적 잔향감과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