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roid security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4초

안드로이드 환경에서의 광고 인젝션 앱 분석 (Analyzing Ad Injection Apps in Android)

  • 구성민;김덕한;오세라;김영갑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57-259
    • /
    • 2018
  • 모바일 환경이 발전함에 따라 기존 PC 환경에서의 보안 위협이 모바일 환경으로 옮겨 짐으로써, 기존 PC 환경에서 발생하던 악성 광고 인젝션 또한 모바일 환경으로 옮겨져 가고 있다. 악성 광고 인젝션은 컨텐츠 제공자에게 정당한 광고의 노출을 방해함으로써 수익 창출을 방해하고, 사용자에게는 원치 않는 광고로 인해 불편함을 야기한다. 이러한 모바일 환경에서의 악성 광고 인젝션을 막기 위해 몇 가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아직 악성 광고 인젝션 앱의 특징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GPC(Google Play Crawler)를 통해 선별한 앱들 중 실제로 악성 광고 인젝션을 수행하는 앱들을 분석하여 악성 광고 앱들의 특징을 도출해 내고, 도출된 특징의 활용 방안에 대해 서술한다.

기계 학습 기반의 자동화된 스머지 공격과 패턴 락 시스템 안전성 분석 (Automated Smudge Attacks Based on Machine Learning and Security Analysis of Pattern Lock Systems)

  • 정성미;권태경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903-910
    • /
    • 2016
  • 터치스크린 기반 스마트 기기가 널리 보급 되면서 모바일 환경을 위한 주요 인증 메커니즘으로 그래픽 패스워드 기법 중 하나인 패턴 락 시스템이 등장했다. 사용자가 잠금 해제를 위하여 패턴 락을 사용한 후의 남아있는 패턴 모양의 흔적은 스머지 공격에 취약하다. 이러한 스머지 공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TinyLock을 포함한 다양한 패턴 락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스머지 공격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서 획득한 스머지 패턴 이미지를 이용하여 기계 학습을 통한 자동화된 스머지 공격의 유효성에 대하여 실험하고 안드로이드 패턴 락과 TinyLock의 안전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자동화된 스머지 공격에서 높은 공격 성공률을 보였으며 기존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안드로이드 패턴 락이 TinyLock보다 더 안전하지 않음을 검증하였다.

재난안전망 앱 보안 체계 구축 (Establishment of a public safety network app security system)

  • 백남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375-1380
    • /
    • 2021
  • 우리나라는 재난안전통신망 개통 초기로 응용서비스 앱에 대한 보안 대응은 아직은 미흡한 실정이기에, 이에 대한 선제적 보안 대응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안전통신망에서 앱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와 전용 단말에서 앱이 동작되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대한 잠재적 취약점을 사전 예방하고자 '재난안전망 앱 보안 체계 구축'을 제안하였다. 응용서비스 앱이 재난안전통신망 모바일 앱스토어에 등재하고자 하기 위해서는, 우선 악성 및 정상 앱에 대한 데이터 셋을 구축하여 피쳐를 추출하고 가장 효과적인 AI 모델을 선정하여 정적 및 동적 분석을 수행한다. 분석 결과에 따라 악성 앱이 아닌 경우에 대해서 '안전 앱 인증서'를 인증하여 공인 앱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한다. 궁극적으로 재난안전통신망 앱의 보안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인증된 앱의 재난안전 응용 서비스 지원으로 재난상황에 대한 통신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선형 SVM을 사용한 안드로이드 기반의 악성코드 탐지 및 성능 향상을 위한 Feature 선정 (Linear SVM-Based Android Malware Detection and Feature Selection for Performance Improvement)

  • 김기현;최미정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8호
    • /
    • pp.738-745
    • /
    • 2014
  • 최근 모바일 사용자들이 증가하면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또한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증가하면서 사용자들은 모바일 장치에 은행정보, 위치정보, 아이디, 패스워드 등의 민감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PC를 타겟으로 하는 악의적인 어플리케이션보다 모바일 장치를 타겟으로 하는 악의적인 어플리케이션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경우 오픈 플랫폼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악성 코드를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유리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악성코드를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을 탐지하기 위해 선형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계학습 분류기를 적용한 악성코드 탐지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한다. 또한 모바일 악성코드의 탐지 성능 향상을 위한 feature를 제시하고, 의미있는 feature를 선정한다.

안드로이드 모바일 단말에서의 실시간 이벤트 유사도 기반 트로이 목마 형태의 악성 앱 판별 메커니즘 (Malicious Trojan Horse Application Discrimination Mechanism using Realtime Event Similarity on Android Mobile Devices)

  • 함유정;이형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1-43
    • /
    • 2014
  •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단말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안드로이드 마켓에 배포되고 있다. 하지만 오픈 마켓 또는 3rd party 마켓을 통해 악성 어플리케이션이 제작 및 배포되면서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단말에 대한 보안 취약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대부분의 악성 어플리케이션 내에는 트로이 목마(Trojan Horse) 형태의 악성코드가 삽입되어 있어 모바일 단말 사용자 모르게 단말내 개인정보와 금융정보 등이 외부 서버로 유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악성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능동적인 대응 메커니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악성 앱 탐지 기법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안드로이드 모바일 단말내에서 실시간 이용시 발생하는 이벤트를 수집한 후 Jaccard 유사도를 중심으로 악성 어플리케이션을 판별하는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임의의 모바일 악성 앱에 대한 판별 결과를 제시하였다.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위변조 방지를 위한 방안 연구 (Study on Mechanism of Preventing Application Piracy on the Android Platform)

  • 이광형;김재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849-6855
    • /
    • 2014
  • 최근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폰의 활용도가 증가함에 따라 안드로이드 앱의 활용에 대한 안전성과 신뢰성 등 보안 문제가 이슈화되고 있다. 안드로이드 앱은 apk 파일 형태로 활용되며, 몇몇의 중요 파일에 의해 실행이 된다. 하지만 이러한 apk파일에 악의적인 소스코드가 삽입되어 통제권 상실이나 권한탈취 등 부정사용에 대한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앱의 소스코드 부정사용에 관한 위협을 정의하고,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안드로이드 앱 소스코드 부정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불법으로 위변조된 안드로이드 앱을 탐지하고 일반 사용자의 안드로이드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3기관을 이용하여 안드로이드 앱의 무결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일반 사용자와 안드로이드 앱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만 구성되어 있는 기존의 안드로이드 앱 제공 서비스 시스템과 다르게 안드로이드 앱의 무결성 검증과 사용자 등록을 위한 신뢰할 수 있는 제 3기관을 추가하여 안전한 안드로이드 앱을 제공한다.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 of Permission Smell in Android Applications

  • Wu, Zhiqiang;Lee, Hakjin;Lee, Scott Uk-J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89-9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와 써드파티 라이브러리로 인해 발생하는 Permission Smell을 탐지하여 그 영향에 대해 다각적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서 실제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존재하는 Android 앱로 구성된 대규모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존재하는 Permission Smell의 영향을 조사 및 분석하는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다수의 안드로이드 앱에 Permission Smell이 존재하며 특히 써드파티 라이브러리는 개발자가 사용하지 않는 기능에 대해서도 권한을 요구하므로 이러한 Smell 들을 더 많이 발생시킨다. 또한, 대다수의 개발자는 써드파티 라이브러리로 인해 선언된 불필요한 권한을 올바르게 비활성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Permission Smell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한다. 결과적으로 불필요한 권한을 요구하는 앱이더라도 다운로드 횟수에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그러나 불필요한 권한을 요구하는 앱들은 사용자들로부터 더 낮은 평가를 받았다.

안드로이드 광고 인젝션 앱 분석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Malicious Advertisement Injection on Android Application)

  • 나윤종;오세라;김영갑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42-245
    • /
    • 2018
  • 모바일 앱 환경에서의 광고는 앱 내부에 배너형, 팝업 형 등 다양한 형태의 광고를 띄우고, 사용자의 터치를 유도하는 등의 방법으로 광고 수익이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악의적 광고주 또는 공격자는 이러한 특징을 악용해 앱 내에서의 정당한 광고를 다른 광고로 바꾸거나, 사용자에게 의도되지 않는 광고를 노출하는 등의 광고 인젝션을 발생시킨다. 광고 인젝션은 광고주에겐 수익 저하, 서비스 제공자에겐 서비스의 품질 저하, 서비스 이용자에겐 불편함을 야기하는 등 문제가 된다. 모바일 앱 환경에서의 광고 인젝션에 대한 연구 및 탐지 방법에 대한 연구는 몇몇 진행되었으나, 미진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광고 인젝션 탐지를 위한 광고 인젝션 앱만의 특징 수집을 위해 광고 인젝션 앱, 특히 사용자가 많은 안드로이드 환경에서의 앱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Filtering and Intrusion Detection Approach for Secured Reconfigurable Mobile Systems

  • Idriss, Rim;Loukil, Adlen;Khalgui, Mohamed;Li, Zhiwu;Al-Ahmari, Abdulrahma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2권5호
    • /
    • pp.2051-2066
    • /
    • 2017
  • This paper deals with reconfigurable secured mobile systems where the reconfigurability has the potential of providing a required adaptability to change the system requirements. The reconfiguration scenario is presented as a run-time automatic operation which allows security mechanisms and the addition-removal-update of software tasks. In particular, there is a definite requirement for filtering and intrusion detection mechanisms that will use fewer resources and also that will improve the security on the secured mobile devices. Filtering methods are used to control incoming traffic and messages, whereas, detection methods are used to detect malware events. Nevertheless, when different reconfiguration scenarios are applied at run-time, new security threats will be emerged against those systems which need to support multiple security objectives: Confidentiality, integrity and availability. We propose in this paper a new approach that efficiently detects threats after reconfigurable scenarios and which is based on filtering and intrusion detection methods. The paper's contribution is applied to Android where the evaluation results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iddleware in order to detect the malicious events on reconfigurable secured mobile systems and the feasibility of running and executing such a system with the proposed solutions.

변조 업데이트를 통해 전파되는 모바일 악성어플리케이션 모델 연구 (A Research on Mobile Malware Model propagated Update Attacks)

  • 주승환;서희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47-54
    • /
    • 2015
  • The popularity and adoption of smart-phones has greatly stimulated the spread of mobile malware, especially on the popular platforms such as Android. The fluidity of application markets complicate smart-phone security. There is a pressing need to develop effective solutions. Although recent efforts have shed light on particular security issues, there remains little insight into broader security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application. Now, the analytical methods used mainly are the reverse engineering-based analysis and the sandbox-based analysis. Such methods are can be analyzed in detail. but, they take a lot of time and have a one-time payout. In this study, we develop a system to monitor that mobile application permissions at application update. We had to overcome a one-time analysis. This study is a service-based malware analysis, It will be based will be based on the mobile security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