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ong-Soju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8초

안동소주 누룩 제조를 위한 누룩 두께 및 누룩 띄움시간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Thickness and Maturation Period of Andong-Soju Nuruk for Fermentation of Andong-Soju)

  • 배경화;류희영;권인숙;권정숙;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1-237
    • /
    • 2007
  • 전통주의 다양성과 국내 누룩의 우수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민속주 안동소주의 자가 제조 누룩의 최적 제조조건을 검토하였다. 안동소주 제조의 전통적인 누룩 제조방법을 준수하면서 23 cm 지름의 $2.2{\sim}5.5\;cm$의 다양한 두께의 누룩을 성형하고, 3주간 띄움 과정을 거치면서 1주일 간격으로 수분함량, pH, brix, 무게변화, 전분 당화능, 환원당 함량, 생균수 및 우점종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두께 4.0 cm 이상으로 성형된 누룩이 전분 당화능력 및 생균수, 누룩 곰팡이 생육면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에탄올 발효면에서는 2주간의 띄움이, 안동소주의 누룩곰팡이를 이용한 관능적 측면에서는 3주간의 띄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실제 제조된 누룩으로 포도당 및 전분 발효배지에서 에탄을 발효시킨 결과, 누룩 성형시 $4.0{\sim}5.5\;cm$ 두께로 성형하여 $2{\sim}3$주간 누룩을 띄운 경우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누룩 제조시 별도의 건조효모 첨가는 불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전통적인 안동소주 제조법하에서 자가제조 누룩의 두께와 띄움시간을 조정하여 누룩의 균일 제조과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안동소주 발효액으로부터 분리한 젖산 세균의 동정 및 발효 특성 (Identifica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he Fermentation Broth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Andong-Soju)

  • 배경화;신기선;류희영;권정숙;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0-315
    • /
    • 2007
  • 민속주 안동소주 발효에 있어서, 젖산균의 영향 분석과 효율적 제어를 위해, 안동소주 자가 제조 누룩 및 알코올 발효액으로부터 젖산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젖산균들 중 ADS-L1 균주가 가장 젖산 생성이 우수하였으며, 균체 집락의 특성으로 안동소주 자가제조 누룩 및 안동소주 발효액에서 우점종으로 판단되었으며, 생리, 생화학적 특성과 16S rDNA 염기배열 분석결과 Pediococcus acidilactici로 동정되었다. ADS-L1 균주는 $40{\sim}50^{\circ}C$의 온도와 pH $5{\sim}7$의 범위에서 우수한 생육을 보여, 최고온도가 $50^{\circ}C$까지 상승하는 누룩 띄움 과정 및 pH 6의 안동소주 발효초기의 주요 젖산균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12%(w/v)의 알코올 농도 및 0.01N HCl 처리시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어 안동소주 발효진행에 따라 발효 후기에는 급격한 생육저해가 나타날 것으로 판단되었다. MRS 배지에서의 발효특성 실험 결과, ADS-L1 균주는 충분한 탄소원이 존재시 24시간 이내에 발효액의 pH를 산성화하며, 지속적인 젖산 생성을 통해 발효액의 집균염 방지 등의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며, 발효후기 $10^5\;CFU/ml$ 이하로 감소되어 안동소주 발효동안 별도의 문제를 유발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구마 소주 주박에 의한 RAW 264.7 세포주에서 lipopolysaccharide로 유도된 염증 반응의 억제 효과 (Suppressive Effects of Lees from Sweet Potato Soju on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RAW 264.7 Cells)

  • 이승훈;권민정;김순영;손호용;신우창;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7-12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구마 소주로부터 획득한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제조하고, 이들 시료가 LPS로 활성화된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 세포주에서 nitric oxide (NO) 생산과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처리한 시료 중 ethyl acetate 분획물(KSD-E8-3) 처리군에서 LPS로 염증 유도된 RAW 264.7 세포주의 생존율에는 영향 없이 NO 생성을 현저하게 감소 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획물 KSD-E8-3 처리에 의해서 염증매개 인자인 COX-2, iNOS 그리고 TNF-alpha의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되었으며, iNOS 단백질의 발현이 현저히 감소됨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분획물 KSD-E8-3 처리에 의해 세포내 대표적인 신호 전달 단백질인 3가지의 MAPK 단백질(p38, JNK, ERK1/2)의 인산화가 모두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는 고구마 소주 주박에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에 의한 항염증 활성 및 작용 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안동(安東)지역의 향토음식에 관한 고찰 (Study on Native Local Foods in Andong Region)

  • 윤숙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1-69
    • /
    • 1994
  • Northern Kyungbuk around Andong is a mountainous and more or less dry region geomorphogically. Since this area located in the valley was less invaded by foreign countries, the folk traditions have been maintained for a long time. Also as the center of Confucian culture, this region respects ceremonies and so, the simple and noble ceremonial-foods such as Ddok, Hankwas, and Buchiki have been firmly preserved in many distinguished families. And besides Andong-Soju, many traditional liquors produced in different methods can be found in this region. As Gogi-Sikhae(a fermented beverage utilizing rice and fish) is still preserved in eastern coastal area, Sosikhae(Sikhae without fish) is maintained in this region and furthermore the unique Andong Sikhae developed by modifying Sosikhae is being consumed currently. Since it is difficult to get fish here geographically, the soybean foods were developed for protein intake, for example, various fermented soybean pastes, Andong-Songuksu(a hand-made noodle using raw soybean flour), and Siragiguk(a vegetable soup).

  • PDF

전통주와 음식과의 조화도 연구 (Harmony of Food Pairing with Korean Traditional Liquor)

  • 이승은;조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8-167
    • /
    • 2021
  • This study evaluated the degree of harmony of food pairing with Korean traditional liquors according to the taste and flavor.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with eight experts from May 7 to 17, 2016, to screen Korean traditional liquor and food. For traditional liquor, Sanseong-makgeolli, Hansansogokju, Damsol, Gamhongro, and Andong Soju were chosen. For foods, pan-fried beef, squid with vinegar dressing, clam soup, honey-filled rice cake, prune, grilled mushroom, Swiss cheese, pistachio, honey, and chocolate cake were chosen. Harmonization of the analytical results Sanseong-makgeolli, between honey and Pan-fried Beef achieved the most harmonious results. Hansansogokju with honey and prune were harmonious. Damsol and Gamhongro, which are distilled liquor and containing added ingredients, were perfect matched with chocolate cake and squid with vinegar dressing. In the degree of harmony between Andong Soju and food, it was confirmed that squid vinegar and Swiss cheese were the most harmoniou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harmony with food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alcoholic beverages.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not only taste and flavor, but also the alcohol content of alcoholic beverage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harmony with food.

고구마 소주 주박의 항균 및 항혈전 활성 (Anti-microbial and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Lees of Sweet Potato Soju)

  • 김미선;이예슬;김종식;신우창;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58-266
    • /
    • 2014
  • 고구마 소주는 전분과 섬유질이 많은 고구마를 발효시킨 후 상압증류하여 제조되어 특유의 부드러운 맛과 향미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용도가 없어 폐기되고 있는 고구마 소주 주박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주박의 ethanol 및 열수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들을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하여 각각의 hexane, ethylacetate (EA), butanol 분획물과 물 잔류물을 조제하여 각 시료의 항균 및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주박의 ethanol 추출 효율이 열수 추출 효율보다 1.36배 높았으며, 분획물 중에서는 EA 분획물이 가장 높은 total polyphenol 함량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고구마 소주 주박의 추출물 및 분획물(0.5 mg/ml)은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열수 및 ethanol 추출물의 EA 분획물에서만 광범위 항세균 활성과 강력한 혈액응고 저해 활성이 나타났다. 또한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의 경우 열수 추출물의 EA 분획에서만 아스피린과 유사한 응집저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폐기되고 있는 고구마 소주 주박의 열수 추출물의 EA 분획이 신규의 항세균 및 항혈전제로 개발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전통주 이용 실태 및 활성화 방안 (The Use of Korean Traditional Liquors and Plan for Encouraging It)

  • 김영주;한영실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1-4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of different sorts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among male and female adul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ir awareness of them and their preference in an effort to discuss what problems Korean traditional liquors were faced with and how they could gain popularity among people in general. First, It is investigated of drinking frequency by gender, 51.3 percent of the male adults drunk once or twice a week, and 33.2 percent of the female adults drunk once or twice a month. Thus, the men drunk more often than the women. By age, the adults who were in their 20s and 30s were far different from those who were in their 50s above in drinking frequency. Second, regarding what kind of liquor they enjoyed, the men enjoyed Soju the most, followed by beer and traditional liquors. The women enjoyed beer the most, followed by Soju and wine. The favorite liquor of the men was Soju, followed by beer and traditional liquor, and the women most liked for beer, followed by wine and Soju. The female adults preferred low-proof liquor more than the male adults. Third, concerning their awareness of traditional liquor, Andong-soju was most widely viewed as traditional liquor, which were followed by Munbaeju, Gyeongju-gyodongbeopju, Gyeongju-beopju, Gukhwaju, Ssal- makgeolri, and Geumsan-insamju. Overall, they were rarely aware what traditional liquor was. Fourth, as to purchase experience, the men and the older people had more experience to buy traditional drinks than the women and the younger ones. Fifth, as for anju (dishes for traditional drinks), they believed that panfried food and Kimchi should be served with coarse liquor. Panfried and streamed dishes were considered to be good complements to Takju (rice wine) and Cheongju (clear strained rice wine), and pot stew and soup were looked upon as good complements to distilled liquor.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in order to step up th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liquor industry, perpetual research efforts should be put into adding new tastes to unique traditional liquor drinks. And it's required to commercialize those drinks, and multiple P.R. and marketing strategies should be prepared to promote their sa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