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tomical structures

검색결과 313건 처리시간 0.025초

국내산 대나무 3종의 해부학적 특성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Korean Bamboo Species)

  • 전우석;김윤기;이주아;김아란;;정우양;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29-3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주요 바이오매스 자원의 하나인 대나무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국내산 대나무 3종(맹종죽, 솜대 및 왕대)의 해부학적 특성을 광학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X선 회절법에 의해 셀룰로오스의 결정특성을 분석하였다. 횡단면 관찰 결과, 3종 모두 유관속 I형으로 종간 동일한 형태를 보였다. 또한 횡단면의 내측부에서 외측부로 갈수록 유관속의 출현빈도가 더 높았고, 유관속을 둘러싸고 있는 유관속초의 비율도 커졌다. 구성세포 치수 측정 결과, 섬유길이는 모든 종에서 외측부의 값이 내측부의 값보다 컸으며, 내측부와 외측부 모두 왕대의 섬유길이가 가장 길었다. 섬유길이의 유의성 검정 결과 3종 모두 내측부와 외측부간에 유의성이 나타났다. 횡단면에서 측정한 도관 직경 및 유세포 직경은 맹종죽의 값이 가장 컸으며, 방사 및 접선단면에서 측정한 유세포 길이 및 폭은 맹종죽과 왕대가 유사한 값을 나타냈고, 솜대가 가장 작았다. 셀룰로오스의 결정특성 분석 결과 상대결정화도 및 결정 폭은 외측부가 내측부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왕대의 상대결정화도 및 결정 폭이 다른 2종에 비해 다소 높았다.

인공산성우가 상수리나무와 은행나무 유묘의 기공저항성, 엽의 Wettability 및 해부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Stomatal Resistance, Wettability and Anatomical Changes in Quercus acutissima and Ginkgo biloba Seedlings)

  • 이계한;정갑채;이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337-346
    • /
    • 1993
  • 본(本) 연구(硏究)는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와 은행나무(Ginkgo biloba) 유묘(幼苗)를 대상으로, 12주간 pH 4.0 또는 pH 2.5의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Simulated acid rain ; SAR)에 노출(露出)시켜 기공저항성(氣孔抵抗性)과 엽(葉)의 Wettability 및 해부학적(解剖學的) 변화(變化)를 파악(把握)하고자 실행(實行)하였다. 대조구로는 pH 6.5의 증류수를 살포(撒布)하였다. 상수리나무와 은행나무의 기공저항성(氣孔抵抗性)은 두 수종(樹種) 모두 SAR처리에 의하여 높아졌으며, 색소(色素)(Water blue solution)의 부착정도 측정(測定)에 의한 상수리나무 엽(葉)의 Wettability는 SAR처리에 의하여 증가(增加)하였고, Contact angle측정(測定)에 의한 은행나무 엽(葉)의 Wettability 역시 SAR처리에 의하여 증가(增加)하였다. SAR을 처리(處理)한 상수리나무 엽조직(葉組織)에서 표피세포, 책상조직 및 해면상조직의 부분적(部分的)인 피해(被害)가 관찰되었고, 모용(毛茸)(Trichome)의 현저한 감소(減少)와 Wax층(層)의 침식이 SEM을 통해 관찰(觀察)되었다. 은행나무의 엽조직(葉組織)은 pH 4.0처리에서는 피해(被害)를 관찰(觀察)할 수 없었으나, pH 2.5처리에서는 표피세포 및 통도조직의 붕괴가 관찰(觀察)되었고, SEM에 의한 엽(葉) 표면조직(表面組織)의 관찰(觀察)에서는 현저한 변화(變化)를 찾아볼 수 없었다.

  • PDF

Three-dimensional Bio-printing Technique: Trend and Potential for High Volume Implantable Tissue Generation

  • Duong, Van-Thuy;Kim, Jong Pal;Kim, Kwangsoo;Ko, Hyoungho;Hwang, Chang Ho;Koo, Kyo-in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188-207
    • /
    • 2018
  • Recently, three-dimensional (3D) printing of biological tissues and organ has become an attractive interdisciplinary research topic that combines a broad range of fields including engineering, biomaterials science, cell biology, physics, and medicine. The 3D bioprinting can be used to produce complex tissue engineering scaffolds based on computer designs obtained from patient-specific anatomical data. It is a powerful tool for building structures by printing cells together with matrix materials and biochemical factors in spatially predefined positions within confined 3D structures. In the field of the 3D bioprinting, three major categories of the 3D bioprinting include the stereolithography-based, inkjet-based, and dispensing-based bioprinting. Some of them have made significant process. Each technique has its own advantages and limitations. Compared with non-biological printing, the 3D bioprinting should consider additional complexities: biocompatibility, degradability of printing materials, cell types, cell growth, cell viability, and cell proliferation factors. Numerous 3D bioprinting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and some of them have been making great progress in printing several tissues including multilayered skin, cartilaginous structures, bone, vasculature even heart and liver. This review summarizes basic principles and key aspects of some frequently utilized printing technologies, and introduces current challenges, and prospects in the 3D bioprinting.

Cytohistological study of the leaf structures of Panax ginseng Meyer and Panax quinquefolius L.

  • Lee, Ok Ran;Nguyen, Ngoc Quy;Lee, Kwang Ho;Kim, Young Chang;Seo, Jih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4호
    • /
    • pp.463-468
    • /
    • 2017
  • Background: Both Panax ginseng Meyer and Panax quinquefolius are obligate shade-loving plants whose natural habitats are broadleaved forests of Eastern Asia and North America. Panax species are easily damaged by photoinhibition when they are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or insufficient shade. In this study, a cytohistological study of the leaf structures of two of the most well-known Panax species was performed to better understand the physiological processes that limit photosynthesis. Methods: Leaves of ginseng plants grown in soil and hydroponic culture were sectioned for analysis. Leaf structures of both Panax species were observed using a light microscop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Results: The mesostructure of both P. ginseng and P. quinquefolius frequently had one layer of non-cylindrical palisade cells and three or four layers of spongy parenchymal cells. P. quinquefolius contained a similar number of stomata in the abaxial leaf surface but more tightly appressed enlarged grana stacks than P. ginseng contained. The adaxial surface of the epidermis in P. quinquefolius showed cuticle ridges with a pattern similar to that of P. ginseng. Conclusion: The anatomical leaf structure of both P. ginseng and P. quinquefolius shows that they are typical shade-loving sciophytes. Slight differences in chloroplast structure suggests that the two different species can be authenticated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images, and light-resistant cultivar breeding can be performed via controlling photosynthesis efficiency.

Diagnostic perform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maging of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A scoping review and meta-analysis

  • Farida Abesi ;Mahla Maleki ;Mohammad Zamani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3권2호
    • /
    • pp.101-108
    • /
    • 202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coping review and meta-analysis to provide overall estimates of the recall and precis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detection and segmentation using oral and maxillofacial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cans. Materials and Methods: A literature search was done in Embase, PubMed, and Scopus through October 31, 2022 to identify studies that reported the recall and precision valu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using oral and maxillofacial CBCT images for the automatic detection or segmentation of anatomical landmarks or pathological lesions. Recall (sensitivity) indicates the percentage of certain structures that are correctly detected. Precision (positive predictive value) indicates the percentage of accurately identified structures out of all detected structures. The performance values were extracted and pooled, and the estimates were presented with 95% confidence intervals(CIs). Results: In total, 12 eligible studies were finally included. The overall pooled recall for artificial intelligence was 0.91 (95% CI: 0.87-0.94). In a subgroup analysis, the pooled recall was 0.88 (95% CI: 0.77-0.94) for detection and 0.92 (95% CI: 0.87-0.96) for segmentation. The overall pooled precis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was 0.93 (95% CI: 0.88-0.95). A sub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 pooled precision value was 0.90 (95% CI: 0.77-0.96) for detection and 0.94 (95% CI: 0.89-0.97) for segmentation. Conclusion: Excellent performance was foun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oral and maxillofacial CBCT images.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Ultrasonographic Evaluation of Canine Tarsus

  • Soomin Park;Sang-hwa Ryu;Jae-gwan Heo;Eun-jee Kim;Jihye Choi;Junghee Yoo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79-87
    • /
    • 2024
  • The tarsus in dogs has a complex structure that makes its evaluation relatively challenging. Because an accurate diagnosis of the tarsus is difficult through basic examinations alone, imaging tests are essential. Previous studies have explored the anatomical and radiological features of the canine tarsus using several imaging modalities. However, the imaging utility of the tarsus across different modalities has not been thoroughly evaluated. This study aimed to visualize the tarsal structures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ultrasonography, compare their utility, and propose suitable imaging modalities and conditions for evaluating specific tarsal structures.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ultrasound scans of the tarsus of four healthy dogs were performed, and two observers rated the utility of each image on a five-point scale. Although MRI is more beneficial for assessing the tarsal structures than ultrasound, ultrasound also appears clinically useful for evaluating the cranial tibialis muscle, deep digital flexor tendon, subcutaneous fat, joint space, and superficial digital flexor tendon. In addition, each structure of interest can be evaluated for optimal visibility using specific ultrasound sections, MRI sequences, and planes. In veterinary clinical practice, an initial assessment using ultrasound imaging with optimal visibility is required and if further evaluation is necessary, MRI examinations with optimal MRI sequences and planes can be performed.

위팔뼈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 표준 영상을 이용한 5축 가공기술의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5-axis Machining Technology using the DICOM Image of the Humerus Bone)

  • 윤재호;지태정;윤준;김형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15-121
    • /
    • 2017
  •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 표준과 5축 가공기술의 융합적 연구를 통하여 맞춤형 인공관절의 기초적 지식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의료영상의 위팔뼈에 대해 3차원 모델링을 생성하고 케미컬우드 소재로 형상을 가공하여 해부학적 특징과 모델링 가공 연산시간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스테레오리소그래피 모델링이 아이제스 모델링에 비해 중삭 2배, 정삭 10배 정도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5축 가공된 위팔뼈는 해부목, 큰돌기, 작은돌기, 결절사이 고랑의 해부학적 구조가 3차원 의료영상과 동일한 특징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위팔뼈의 외과목 언더컷 등 다양한 형태의 구조가 5축으로 가공되는 융합적 가공 기술들은 인체의 정밀한 모형을 추구하는 맞춤형 관절 제작 시 향후 적용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짧은 임플란트의 생존율과 변연골 흡수량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n the Survival Rate and Marginal Bone Resorption of Short Implants)

  • 명태수;정승현;김태영;김유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1호
    • /
    • pp.1-13
    • /
    • 2012
  • 짧은 임플란트는 상악동이나 하치조신경 등의 해부학적 구조물이 있거나 심한 치조골 흡수로 인해 제한적인 치조제 높이를 가지는 부위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길이 10 mm 이하의 임플란트에서 임플란트의 길이, 직경, 식립 부위, 골이식술 유무, 보철물의 연결고정 유무가 임플란트의 생존율과 변연골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원광대학교 치과병원 임플란트센터에서 길이 10 mm 이하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137명의 환자, 227개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진료 기록부를 통해 임플란트의 길이, 직경, 식립 위치, 골이식 유무, 보철물의 연결고정 유무를 조사하였다. 변연골 흡수량은 Emago advanced v5.6(Oral diagnostic systems, Amsterdam, The Netherland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227개의 임플란트 중 8개가 실패하여, 전체 짧은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96.5 %로 나타났다. 골이식 부위와 상악에 식립된 경우 더 높은 실패율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으며, 임플란트의 길이와 직경은 변연골 흡수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패 요인을 조사하였을 때, 상악의 불량한 골질과 골이식 유무가 임플란트의 더 높은 실패율에 영향을 미쳤다. 10 mm 이하 임플란트에서 길이, 직경, 식립 부위, 골이식술과 보철물의 연결 고정은 임플란트 생존율과 변연골 흡수량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척골신경에 발생한 말초성 신경아세포종 -세침흡인 세포검사로 진단된 1례 보고- (Peripheral Neuroblastoma of the Ulnar Nerve : Diagnosis by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 주영채;김준미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5-51
    • /
    • 1993
  • 말초성 신경아세포종은 예후가 나쁘고 희귀한 종양으로 이 종양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에 관한 보고는 세계 문헌상 1988년 Neuhold에 의해 처음 기술된 1례가 있을 따름이다. 최근 저자들은 30세 여자의 우측 상박의 연부조직 종괴로 부터 세침흡인 세포 검사를 시행하여 진단된 말초성 신경아세포종을 경험하여 그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을 기술하는 바이다. 환자는 1개월전 부터 우측 상박에 서서히 자라는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우측 상박 X-선 및 초음파 촬영술에서 주위와 잘 경계지어진 방추형의 연부조직 종괴가 관찰되었고 주변조직으로 침윤하는 소견은 관찰할 수 없었으며 상완골은 정상이었다. 종괴의 세침흡인 도말은 세포밀도가 매우 높았고 작고 둥근 세포들이 뭉쳐있거나 산재되어 있었다. 세포간의 크기나 모양의 차이는 아주 미약하였고 유사분열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종양세포들의 집단은 간혹 모세혈관을 중심으로 뭉치거나, 로제트 형태를 보이며 그 세포질은 가늘고 긴 돌기를 보였다. 핵은 뚜렷한 핵막과 미세하게 뭉친 염색질 및 작고 뚜렷한 핵 소체를 갖고 있었다. 이상의 소견은 작고 둥근 세포로 된 악성 종양 중 말초성 신경아세포종에 매우 합당하였으나 골외 Ewing 육종과의 감별은 불가능하였다. 단순 절제술이 시행되었고 종양은 조직학적으로 말초성 신경아세포종임이 확인되었다.

  • PDF

복와위에서 경추 회전 시 관찰되는 경추 협척혈의 심도 변화 비교: 초음파를 활용한 경추 협척혈 관찰 프로토콜 및 예비연구 결과 (Comparison of Cervical Hyeopcheok Acupoint's Depth Change with Cervical Rotation in a Prone Position: Protocol and Pilot Study Result for Accurate Observation of Cervical Hyeopcheok Acupoint by Ultrasonography)

  • 추홍민;박경태;장종원;신희라;양무학;김두리;류원형;류호선;염승룡;이상관;김철현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81-88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for safe and accurate cervical Hyeopcheok acupuncture by comparing the depth of cervical Hyeopcheok acupoint with cervical spine rotation. Methods Researchers took ultrasonographic images of cervical Hyeopcheok acupoint during full rotation of cervical spine, 45 degree rotation and neutral condition in a prone position. 4 healthy volunteers were recruited.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eedling depth of cervical Hyeopcheok acupoint was observed. However, there were a differences in anatomical structures' shape such as muscles. Conclusion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eedling depth, but anatomical structures' shape were changed. This result mean that if patient rotate cervical spine during acupuncture treatment, it can occur complications. Thus, when acupuncture treatment on cervical Hyeopcheok acupoint, practioner should make subject's cervical spine alignment corrected and be careful not to change posture during the proced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