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zing the classroom activity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4초

중학교 가정 교과 수업 분석 연구 II- 수업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An Analytical Study of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Instruction II - Centering on the Analysis of Cases of Instruction -)

  • 이수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87-100
    • /
    • 2005
  • 본 연구는 중학교 가정 교과 수업의 실제 상황을 관찰하고 객관적으로 기술함으로써 가정 교과 수업이 어떠한 조직과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떠한 내용으로 전개되는지에 대한 보편적인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실제 수업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사실적이고도 자연스러운' 장면을 수집해야 하므로 관찰자의 존재 자체가 관찰 대상으로 하여금 부자연스러운 행위를 유발할 수 있는 관찰자 효과(observer effect)를 최대한 배제하고자 실제 수업 장면을 담은 비디오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와 같이 실제 가정 교과 수업을 참관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줄 수 있는 사실적인 자료를 제공한다면 교사들은 자기 수업을 성찰하여 교수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정 교과 수업이 이루어지는 현장과 가정 교과교육 연구자들 사이의 간극을 좁혀주는 매개 역할을 하여 실제와 이론의 접목을 촉진시키는 등 효과적일 가정 교과 수업전략 마련을 위한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교사의 교실공간 활용의식의 현황분석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An Analysis abou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Classroom Space Utilization)

  • 석민철;류호섭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43-5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eachers' perception of classroom space utilization through analyz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56 classrooms in 10 schools). Most of the teachers arranged desks in the two person parallel type (sectional layout : standard type) for their classes. Although the number was small, some classrooms used the T type, H type, U type, group type, and the teachers of such cases used these layouts for children's play activities or group learning. Some teachers changed the desk layout depending on the contents of learning or for different atmosphere of class, but about 40% of the teachers used the same classroom layout without any change during a semester. When the teachers' perception of classroom space utilization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type and change of desk layout, the quantity and characteristics of posts, the position of posting spaces, and the size of activity spaces in the classroom, most of the teachers tended to be conventional without any characteristic, and only 16% of them were relatively active in utilizing classroom spaces. In addition, teachers of a relatively small class were more active in utilizing classroom spaces. In particular, perception was very low to utilize the classroom as a space for children's life or play activities or various types of learn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achers' perception of classroom space utilization in the future.

중학교 가정 교과 수업 분석 연구 I - 수업 관찰 체크리스트와 분석 틀 개발을 중심으로 - (An analytical Study of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Instructions I - Centering on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Observing and Analytical framwork-)

  • 윤인경;이수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1-182
    • /
    • 2005
  • 최근 수업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수업에서 '실제로 하는 일'에 초점을 두는 교실 수업 중심의 연구(Classroom Centered Research)로 전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향에 따라 본 연구는 중학교 가정 교과 수업이 어떠한 조직과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떠한 내용으로 전개되는지 살펴봄으로써 가정 교과 수업의 관찰과 분석의 관점을 명료화하였다. 즉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가정 교과 수업을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는 체계적인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가정 교과 고사들이 자신의 수업을 스스로 분석${\cdot}$평가하고 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준거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 관찰 대상을 명료화하기 위해서는 가정 교과 수업 조직의 전체적인 윤곽을 이해하고 수업 요소를 규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수업의 계획과 조직 단계, 수업의 실행 단계. 수업의 평가 단계로 범주화하였다. 그리고 각 범주의 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수업 요소를 규정하기 위해 수업 목표의 제시, 수업 활동의 구조, 교과 내용의 전달, 질문의 활용, 피드백의 제공, 학습 기회와 환경의 제공, 학습 동기 유발, 수업 평가의 실행, 평가 결과의 활용 등 9개 요소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이 자신의 수업이나 동료의 수업을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업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가 필요하므로 본 연구는 이상에서 살펴본 수업 관찰의 범주와 실제 가정 수업에서 나타날 수 있는 행동 요소를 상세화하여 가정 교과 수업 분석 틀을 개발하였다.

  • PDF

초등수학교실문화의 개선 : 사회수학적 규범과 수학적 관행 (Changing the Culture of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 Sociomathematical Norms and Mathematical Practices)

  • 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283-304
    • /
    • 2004
  • 본 논문은 1년 동안 학생중심 수학교실문화를 구현하려고 노력하는 3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6개의 수학교실문화를 분석함으로써 교사중심에서 학생중심의 문화로 바꿔나가는 과정을 상세하게 탐색한다. 연구대상 교실 모두에서 일반적인 사회적 규범과 관련하여 학생중심 교수법의 전형적인 양상이 구현된 반면에, 사회수학적 규범과 수학적 관행 측면에서는 학생들의 아이디어가 수학적 담화와 활동의 중심이 되는 정도에 따라서 유사성보다는 차이점이 부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교실문화 개선의 난제, 사회수학적 규범과 수학적 관행의 중요성, 교사의 역할 등에 관해 논의한다.

  • PDF

수학교실에서 기하판의 활용 의의와 활용 사례 분석 (Significance and Analyzing Episode on Using Geoboards in Mathematics Classroom)

  • 정동권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3권2호
    • /
    • pp.447-473
    • /
    • 2001
  • Since the greater part of mathematical concepts have been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from the concrete and realistic aspects to the abstract level”, children should be secured to learn mathematics genetically with various manipulative material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stigate the active use of geoboards in mathematics classroom. To achieve this arm, we first embodied the several significances on the use of geoboards in mathematics instruction. And we then performed an instruction that children discover and justify the formula related to the area of trapezoid by exploring with geoboards, and analyzed the instructional episode to support our assertion about some secure merit accompanied by using geoboards. From this study, we obtained the conclusion that geoboard activity contains many significances such as children can explore congruence, symmetry, similarity, fundamental properties of figures, and pattern. Futhermore, geoboard activity enable children to transform a figure into other equivalently, develop spatial sense, have basic experiences for coordinate geometry, build a concrete model to explain abstract ideas, and foster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and mathematical thinking.

  • PDF

Analyzing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s about Scientific Argumentation in terms of Scientific Inquiry

  • Park, Young-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11-22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s about scientific argumentation in the classroom. Seven structured interview protocols were developed, asking the definition of scientific inquiry, the differentiation between scientific inquiry and hands-on activity, the opportunity of student argumentation, explicit teaching strategies for scientific argumentation, the critical example of argumentation, the criteria of successful argumentation, and the barrier of developing argument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understandings about scientific argumentation between two groups of middle school teachers and upper elementary. Basically, teachers at middle school define scientific inquiry as the opportunity of practicing reasoning skills through argumentation, while teachers at upper elementary define it as the more opportunities of practicing procedural skills through experiments rather than of developing argumentation. Teachers in both groups have implemented a teaching strategy called "Claim-Evidence Approach,"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students with more opportunities to develop arguments. Students' misconception, limited scientific knowledge and perception about inquiry as a cycle without the opportunity of using reasoning skills were considered as barriers for implementing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in the classroom.

개정 교육과정의 실험 적용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 분석 - 초등 1.2학년 탐구 활동과 이야기 마당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Preliminary Application of the Revised Curriculum - Focused on 'Exploratory Activity' and 'Story Corner' in Elementary Textbooks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s -)

  • 박미혜;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163-183
    • /
    • 2009
  •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초등학교 수학 실험용 교과서에 신설된 활동인 탐구 활동과 이야기 마당을 다루는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수학적 의사소통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1, 2학년 각각 두 교실의 수업을 관찰하고 수학적 의사소통을 질문하기, 설명하기, 수학적 아이디어의 근원의 세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의 사고과정에 초점을 두고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탐색한 교실이 있는 반면에, 정답을 도출하는데 초점을 두거나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깊이 탐구하지 않고 교사가 직접 아이디어를 평가하는 교실이 있었다. 특히, 탐구 활동보다는 이야기 마당을 다루는 수업에서 이러한 경향이 더 많이 나타났으며 이는 교사들이 이야기를 통하여 수학 수업을 진행하는데 익숙하지 않고 교사용 지도서에도 구체적인 발문이나 학생들의 예상 답안을제시하지 않은데 원인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실험 적용에서 드러나는 수학적 의사 소통을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추후 탐구 활동과 이야기 마당 관련 수업에서의 지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거꾸로 교실을 적용한 일반화학실험 강좌의 효과 및 가능성 탐색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Possibility of General Chemistry Experiment Lecture with Flipped Classroom)

  • 윤지현;손에녹;강성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24-136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거꾸로 교실을 교사 주도성이 강한 국내 대학의 일반화학실험 강좌에 적용하고, 이를 통해 거꾸로 교실을 적용한 대학 실험 강좌에 대한 효과와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의 사범대학 과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30명의 학생들을 15명씩 거꾸로 교실 수업 집단과 전통적 수업 집단의 두 그룹으로 각각 무선배치 하였다. 그런 다음, 동영상 자료와 함께 대학에서 적용 가능한 일반화학실험 수업 안을 개발 및 적용하였고, 모든 수업을 마친 후에는 일반화학실험 강좌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반화학실험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분석 결과, 수업 활동의 유용성, 성공적 학습을 위한 각 활동 요소 별 중요도, 학습 수준, 추후 수강 의향 등의 측면에서 거꾸로 교실 수업 집단의 학생들이 전통적 수업 집단의 학생들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 수행이나 보고서 작성 등과 같은 일반화학 실험 활동과 실험 내용의 이해 측면에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해 본 결과, 거꾸로 교실 수업 집단의 평균 점수가 전통적인 수업집단의 평균 점수 보다 높았고, 이와 같은 결과의 주된 원인은 담당 강사가 사전 학습 활동으로 제공한 동영상 자료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 중 상호작용과 자기 주도적 학습 측면에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거꾸로 교실 수업 집단의 평균 점수가 전통적 수업 집단의 평균 점수 보다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과 자기 주도적 학습의 수월성은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영상 자료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매우 긍정적이었고, 이 때 학생들이 가장 선호한 동영상은 담당 강사가 직접 실험 이론과 방법을 설명해 주는 동영상이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초등학생의 수학적 모델링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5학년 수와 연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in process of applying mathematical modeling to children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 이지영;김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1호
    • /
    • pp.41-7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tudents' communication in process of applying mathematical modeling. For this study, 22 fif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were observed by applying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presentation of problem ${\rightarrow}$ model inducement activity ${\rightarrow}$ model exploration activity ${\rightarrow}$ model application activity). And the level of their communication with their activity sheets and outputs, observation records and interviews were also analyzed. Additionally, by analyzing the activity cases of and , this study researched that what is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Whereas showed significant advance in the level of communication, who communicated actively on speaking area but not on every areas showed insensible changes.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ies, cognitive tension and debate situation are needed. This means, mathematical education should continuously provide students with mathematical communication learning, and a class which contains mathematical communication experiences (such as mathematical modeling) will be needed.

교육시설의 공간구성과 이용방법에 관한 연구 -일본과 미국의 1970년대 이후의 초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and Usage of Educational Facilities -Focused on Japan and U.S. Elementary School after 1970's-)

  • 김진모;임수영
    • 교육시설
    • /
    • 제14권1호
    • /
    • pp.44-5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arts analyzing the case with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considering the plan form of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advanced country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facilities in our counties. Japan was managing the educational system which carried out homogeneous till the first stage of the 1970s like advanced nations, such as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industrialization age before World War II, i.e.,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The form of an American open school was adopted after the second half of the 1960s, trying the educational system which also globalized the educational system of Japan while the world went into the information society. In the process of the introduction, Japan did not simply imitate a huge open space in the United States. Japan selected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carefully. And, to do an original educational activity by guidance. The current classroom and multipurpose space were planned as one body. As a result, the environment of the classroom was able to do various studying patterns of individual study and the group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