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sis of Cell Image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33초

Statistical Analysis of 3D Volume of Red Blood Cells with Different Shapes via Digital Holographic Microscopy

  • Yi, Faliu;Lee, Chung-Ghiu;Moon, In-Kyu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6권2호
    • /
    • pp.115-120
    • /
    • 2012
  •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to automatically quantify the three-dimensional (3D) volume of red blood cells (RBCs) using off-axis digital holographic microscopy. The RBCs digital holograms are recorded via a CCD camera using an off-axis interferometry setup. The RBCs' phase image is reconstructed from the recorded off-axis digital hologram by a computational reconstruction algorithm. The watershed segmentation algorithm is applied to the reconstructed phase image to remove background parts and obtain clear targets in the phase image with many single RBCs. After segmenting the reconstructed RBCs' phase image, all single RBCs are extracted, and the 3D volume of each single RBC is then measured with the surface area and the phase values of the corresponding RBC. In order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to automatically calculate the 3D volume of RBC, two typical shapes of RBCs, i.e., stomatocyte/discocyte, are tested via experiments. Statistical distributions of 3D volume for each class of RBC are generated by using our algorithm. Statistical hypothesis testing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tistical distributions for the two typical shapes of RBCs. Our experimental results illustrate that our study opens the possibility of automated quantitative analysis of 3D volume in various types of RBCs.

이미지 분석법을 이용한 소프트 콘택트렌즈용 다목적용액의 각막상피세포 독성 평가 (Cytotoxicity of Multipurpose Contact Lens Solutions on the Cultured Corneal Epithelial Cells Evaluated by Image Analysis)

  • 김남열;이군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1-60
    • /
    • 2015
  • 목적: 시판되고 있는 소프트콘택트렌즈용 다목적용액이 사람의 각막상피세포에 미치는 세포독성을 이미지 분석법을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각막상피세포를 6종류의 다목적용액(A~F)이 0.05~50% 포함된 배양액에서 각각 2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막상피세포를 고정한 다음 Draq 5로 염색하고 공초점현미경과 ImageXpress $Ultra^{TM}$를 이용하여 세포형태를 관찰하고 세포생존율과 세포자살(apoptosis)을 비교하였다. 결과: 각막상피세포 생존율과 세포자살은 다목적용액을 2시간 처리한 경우에는 모든 제품에서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12시간 이상 처리한 경우에는 B~F 제품에서 대조군의 52~75%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세포자살은 모든 제품에서 차이가 없었다. 24~48시간 처리한 경우에는 생존율이 29~73% 수준으로 감소하였고(p<0.05), 세포자살은 199~526% 증가하였다. 제품별로는 다목적용액 D, E, F가 A보다 각막상피세포 생존율을 감소시켰고 세포자살을 증가시켰다(p<0.05). 결론: 저농도의 다목적용액은 각막상피세포 독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고농도의 다목적용액은 각막상피세포의 자살을 유도하고 세포생존율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다목적용액의 성분은 소독기능이 우수하고 독성이 없는 성분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명시야 현미경 영상에서의 세포 분할을 위한 이중 사전 학습 기법 (Dual Dictionary Learning for Cell Segmentation in Bright-field Microscopy Images)

  • 이규현;트란민콴;정원기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1-29
    • /
    • 2016
  • 본 논문은 명시야 (bright-field) 현미경 영상를 위한 데이터 기반 세포 분할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제시된 알고리즘은 일반적인 사전 학습 기법과 다르게 동시에 두 개의 사전과 관련된 희소 코드 (sparse code)를 통해 정의된 에너지 함수의 최소화를 진행하게 된다. 두 개의 사전 중 하나는 명시야 영상에 대해 학습된 사전이고 다른 하나는 사람에 의해 수작업으로 세포 분할된 영상에 대해 학습된 것이다. 학습된 두 개의 사전을 세포 분할 될 새로운 입력 영상에 대해 적용하여 이와 관련된 희소 코드를 획득한 후 픽셀 단위의 분할을 진행하게 된다. 효과적인 에너지 최소화를 위해 합성곱 희소 코드 (Convolutional Sparse Coding)와 Alternating Direction of Multiplier Method(ADMM)이 사용되었고 GPU를 사용하여 빠른 분산 연산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이전에 사용된 가변형 모델 (deformable model)을 이용한 세포 분할 방식과는 다르게 제시된 알고리즘은 세포 분할을 위해 사전 지식이 필요없이 데이터 기반의 학습을 통해서 쉽고 효율적으로 세포 분할을 진행할 수 있다.

Discrimination of Cancer Cell by Fuzzy Logic in Medical Images

  • Na Cheol-Hu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4권1호
    • /
    • pp.36-40
    • /
    • 2006
  • A new method of digital image analysis technique for medical images of cancer cell is presented. This paper deals with the cancer cell discrimination. The object images were the Thyroid Gland cell images that were diagnosed as normal and abnormal. This paper proposes a new discrimination method based on fuzzy logic algorithm. The focus of this paper is an automatic discrimination of cells into normal and abnormal of medical images by dominant feature parameters method with fuzzy algorithm. As a consequence of using fuzzy logic algorithm, the nucleus were successfully diagnosed as normal and abnormal. As for the experimental result, average recognition rate of 64.66% was obtained by applying single parameter of 16 feature parameters at a time. The discrimination rate of 93.08% was obtained by proposed method.

Helicobacter pylori 감염 위염에서의 비만세포 증가와 Stem Cell Factor Receptor (c-kit)의 발현 (Mast Cell Increase and Stem Cell Factor Receptor (c-kit) Expression in Helicobacter pylori-infected Gastritis)

  • 제갈승주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1-46
    • /
    • 2005
  • It is known that mast cells (MCs) are increased in H. pylori-infected gastritis and its increase is mediated by stem cell factor (c-kit ligand).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mast cell recruitment and activation by stem cell factor, we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stem cell factor receptor (c-kit) in H. pylori-positive and -negative gastric mucosa. Biopsy specimens from 16 H. pylori-negative and 20 positive subjects were examined. H. pylori infection in gastric mucosa was examined by the Warthin-Starry method. MC and c-kit were identified by immunohistochemisty, using a monoclonal antihuman MC tryptase antibody and a polyclonal anti-human c-kit antibody. Densities of MC and c-kit positive cell were measured by a computerized image analysis system. MCs were detected in the lamina propria of both H. pylori-positive and -negative gastric mucosa. Densities of MC and c-kit positive cell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H. pylori-positive than -negative subjects. c-kit was located on the surface of MC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em cell factors may be one of the factors involved in mast cell increase and that they activate mast cells by binding with c-kit.

  • PDF

국산 솜대와 인도폐시아산 TALI를 이용한 대나무 Zephyr의 형태적 특성 비교 (A Morphological Comparison of Bamboo Zephyr Produced from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and Indonesian Gigantochloa apus)

  • 김유정;정기호;박상진;노정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84-90
    • /
    • 2001
  • 본 연구는 국산 솜대와 인도네시아산 TALI를 원료로 하여 제조한 Zephyr의 기본조직특성을 SEM관찰 및 화상분석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SEM관찰의 결과, 국산 솜대 Zephyr 의 형태는 유관속초를 구성하는 후벽섬유의 세포벽이 두껍고 세포내강이 거의 없으며 조직이 치밀하였다. 세포간층의 분리가 어렵기 때문에 유관속초간의 집단적인 할렬이 두드러졌고 할렬형태가 균일하지 않았다. 이에 비해 인도네시아산 TALI Zephyr의 형태는 유관속초를 구성하는 후벽섬유의 세포벽이 얇고 세포내강이 크며 세포간극이 많아 세포간층의 분리가 쉬웠으며 가늘고 균일하게 할렬되었다. 화상분석법으로 두 죽종의 횡단면상의 유관속초용과 이들을 구성하는 후벽섬유의 세포벽율을 조사한 결과, 국산 솜대의 유관속초율은 인도네시아산 TALI보다 낮았지만, 후벽섬유 세포벽률은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국산 솜대와 인도네시아산 TALI는 유관속초를 구성하는 후벽섬유의 양과 분포양식의 차이에 의해 제조된 Zephyr의 형상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 PDF

방향 정보 처리에 의한 영상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age Recognition by Orientation Information)

  • 조재현;김진환;이종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08-309
    • /
    • 2009
  • 인간의 시각정보처리는 망막에서 입력된 영상을 시각피질에 전달될 때 많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중에서 방향성에 대한 민감한 반응을 분석하여 영상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수직반응의 가중치와 수평 및 대각선반응의 가중치를 여러 가지로 변동하여 영상의 인식률을 비교함으로써 수직반응 정도에 매우 민감함을 보이며 차후 인간시각모델 구성에 적용하고자 한다.

  • PDF

Digital Holographic Microscopy with extended field of view using tool for generic image stitching

  • Stepien, Piotr;Korbuszewski, Damian;Kujawinska, Malgorzata
    • ETRI Journal
    • /
    • 제41권1호
    • /
    • pp.73-83
    • /
    • 2019
  • This paper describes in detail the processing path leading to successful phase images stitching in digital holographic microscope for the extension of the field of view. It applies FIJI Grid/Collection Stitching Plugin, which is a general tool for images stitching, non-specific for phase images. The FIJI plugin is extensively supported by aberration and phase offset correction.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t aberration correction methods and data processing strategies is presented, together with the critical analysis of their applicability. The proposed processing path provides good background for statistical phase analysis of cell cultures and digital phase pathology.

문서 영상 내 테이블 영역에서의 단어 추출 (Word Extraction from Table Regions in Document Images)

  • 정창부;김수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4호
    • /
    • pp.369-378
    • /
    • 2005
  • 문서 영상은 문서 구조 분석을 통하여 텍스트, 그림, 테이블 등의 세부 영역으로 분할 및 분류되는데, 테이블 영역에 있는 단어는 다른 영역의 단어보다 의미가 있기 때문에 주제어 검색과 같은 응용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서 영상의 테이블 영역에 존재하는 문자 성분을 단어단위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테이블 영역에서의 단어 추출은 실질적으로 테이블을 구성하는 셀 영역에서 단어를 추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셀 추출 과정이 필요하다. 셀 추출은 연결 요소를 분석하여 테이블 프레임을 찾아내고, 교차점 검출은 전체가 아닌 테이블 프레임에 대해서만 수행한다. 잘못 검출된 교차점은 이웃하는 교차점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수정하고, 최종 교차점 정보를 이용하여 셀을 추출한다. 추출된 셀 내부에 있는 텍스트 영역은 셀 추출 과정에서 분석한 문자성분의 연결 요소 정보를 재사용하여 결정하고, 결정된 텍스트 영역은 투영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문자연로 분리된다. 마지막으로 분리된 문자열에 대하여 갭 군집화와 특수 기호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단어 분리를 수행한다. 제안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한글 논문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총 In개의 테이블 영상에 대해 실험한 결과, $99.16\%$의 단어 추출 성공률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