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og Emotional Desig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9초

디지털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에서의 아날로그감성 커뮤니케이션 (Research on the Analog Emotional Communication Appeared in Digital Media Design)

  • 손현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46-153
    • /
    • 2010
  •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으로 디지털 시대 테크놀로지의 풍요로움 속에 우리의 삶의 변화를 가져왔다. 기술은 발전하면 할수록 우리의 생활은 더욱 새롭고 편리하고 미래지향적인 디지털 시대를 기대하는 반면에, 사람들은 따뜻한 인간의 감수성에 대한 그리움을 갖게 되었다. 모더니즘에 대한 반성으로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과 디지털미디어의 확산을 통해 다양화되는 복잡한 문화 속에서 방황하고 있다. 디지털 시대에 심리적으로 또는 정신적으로 안정을 되찾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욕구가 생기기 시작하면서 디지털시대의 역기능적인 부분에 대한 문제점이 제시되고 있다. 인간에 대한 감성에 부응하는 사용자의 감성 반응을 고려하는 아날로그 감성디자인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디지털 미디어에 있어서 아날로그감성을 표현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향에서의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 디지털환경에서 아날로그감성은 디지털기술과 커뮤니케이션의 특성과 사람들의 기호와 정서적인 측면을 조화시켜나가면서 새롭게 확장, 변화하고 있으며, 진화하는 아날로그 감성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과 발전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디지털시대의 아날로그적 감성 및 디자인요소에 관한 고찰 : 건축공간을 중심으로 (Consideration on the Analogue Emotion and Design Factor in Digital Age : Focused on Architecture Design)

  • 김소연;김승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584-593
    • /
    • 2016
  • 디지털시대 기술발달로 인간의 삶은 물질적인 풍요로움과 편리성을 영위하게 되었다. 하지만 최첨단 기술들이 등장하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 대해 피로감을 느끼게 되었고, 이에 미래지향적인 기능 뿐만 아니라 인간 본연의 가치와 따뜻한 감성을 뒷받침하는 디자인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디자인은 선행연구에서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는 아날로그디자인 개념으로서 정의되며, 사람들의 심리적, 육체적 특성을 고려한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시대의 아날로그 감성디자인에 대한 선행연구 중 아날로그 감성 키워드를 갖는 25편의 논문을 고찰하여 아날로그적 감성표현에 대한 개념과 그에 따른 디자인 요소에 관해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 공간이 인간과 소통하고 커뮤니케이션하는 대상으로 변모하고 있는 환경을 이해하고, 건축공간에서의 아날로그 감성 표현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디지털사회에서의 아날로그 디자인의 가치 및 의미를 분석함으로서 관련 연구 분야의 기초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고찰을 통해 선행연구에서 가감된 아날로그 감성의 표현요소를 특성별로 심리적요소, 환경적요소, 경험적요소, 관계적요소로 재구성하였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디지로그의 특징 (A Study on the Features of Digilog in Contemporary Fashion)

  • 유차향;서승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1권5호
    • /
    • pp.61-77
    • /
    • 2017
  • Fashion companies are increasingly becoming aware of the importance of Digilog as a response strategy to an emotional stimulus, in order to win the hearts of consumers, because the Digilog provides a new type of emotional value. The features of Digilog found in modern fashion are characterized as follows: first, the "Fashion Image of Hybrid Nature" expresses nature in a new light or reinterprets existing expressions of nature, by using cutting-edge technology based on the psychological desire to return to, adapt with, and harmonize with nature. Second, the "Fashion Image of Nostalgia," which exhibits past forms of regressive fashion, is a fashion code that can be understood as a social trend. It has a digital exterior, with retro materials and old perfumes that reflect psychological comfort, as its expressive medium. Third, the "Lifestyle through the Technique of Interaction" is the sharing of information through consumer participation and delivery, or its interaction. Fourth, the "Fashion Design through the Technique of Customizing" allows consum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esign process. It reflects the consumer's desire to personally design fashion products. Fifth, the "Emotion Sharing through the Technique of Storytelling," which focuses on intangible values, is based on the sentiment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sumer and the brand, thereby satisfying the inner values as well as the aesthetic demands of consumers. This study confirmed that digital fashion, which uses digital technology based on analog sentiments, has opened up a new environment for fashion culture and has also widened the boundaries of fashion.

아날로그 메타포를 활용한 디지털 가전 제품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Study of Design for Digital Appliance Interlace Using Analog Metaphor)

  • 심재희;양정화;장세훈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334-339
    • /
    • 2008
  • 요즈음 각종 미디어를 통해 '디지로그' 라는 신조어가 주목 받고 있다. 디지로그의 핵심은 디지털 기반의 이분법적인 사고의 틀을 보완하기 위해 아날로그적인 감성의 도입을 의미한다. 이는 기능중심적인사고로 해결할 수 없는 인간과 컴퓨터의 간극을 새롭게 조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HCI 문제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 생활가전제품 인터페이스의 중요한 목적은 사용성, 유용성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 이었다. 이는 제품자체의 목적을 그 기능에 국한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에어컨, 냉장고와 같은 생활 가전제품들의 위상은 기능을 넘어 집안의 인테리어의 요소로써의 역할 뿐만 아니라 자신을 대변 할 수 있는 혹은 과시하고 싶은 명품 이미지로써 점차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또한 TFT Color LCD의 도입은 제품의 상태를 단순히 전달해 주는 단계를 벗어나 심미적인 표현까지 가능하게 해주었다. 이를 계기로 수채화 표현기법과 같은 아날로그 메타포를 활용한 감성적 인터페이스가 시도될 수 있었다. 아날로그 메다포를 활용한 디지털 가전 인터페이스의 첫 번째 단계는 스타일이다. 아날로그적인 스타일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바로 회화영역이다. 에어컨 공기청정기능의 프로그레시브 영역에 수채화로 표현된 산과 들을 보여줌으로서 인터페이스가 하나의 풍경화로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소비자들에게 정신적인 만족감과 더불어 제품의 프리미엄의 이미지를 각인시킨다. 두 번째 단계는 스토리이다. 기능을 디지털의 On/Off에 의거하여 나열 하기보다 기능과 기능사이의 문맥을 스토리로 연결함으로서 아날로그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이러한 스토리의 기준은 사용자의 경험에 기인하여 만들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단계는 컨텐츠이다. 이제는 한가지로 집중된 기능만으로는 사용자를 만족 시킬 수 없다. 사용자에게 인간적인 체온이 느껴지는 아날로그적인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서 인터페이스 자체로 감동을 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변화는 디지털제품의 궁극적인 목표가 사용자에게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다. 이제는 똑똑하고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넘어 사용자체가 감성적 만족감을 주는 매력적인 인터페이스로 진화 하고 있는 것이다.

  • PDF

패션 브랜드 CuteCircuit에 나타난 패션 공학의 적용 유형과 의미 (Application Types and Meanings of Fashion Engineering in Fashion Brand CuteCircuit)

  • 김장현;김영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45-256
    • /
    • 2018
  • This study considers application types and meanings of fashion engineering by analyzing CuteCircui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pplication type of fashion engineering shown in CuteCircuit is first, electronic fashion, which attaches LED or WL on the surface of clothes to express the decorative function in clothes as optical light change, ultimately performing one-dimensional function. Second, interactive fashion is a medium in which clothing connects human beings with other human beings with sensors that can recognize the changes in tactile or movement with the wearer or with a light source that can visualize the emotional changes of the wearer. Third, scientific fashion has emerged as a new type of fashion in which new materials introduced in the field of engineering are fused with clothing to expand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The meanings of fashion engineering in CuteCircuit is first, trying to conceptualize a new beauty as an open fashion that can freely change with the creation of a dual beauty by combining analog and digital sensibility. Second is the external representation of human psychological change or emotional exchange, which helps to form a consensus by understanding and exchanging emotions of different people. Third, reorganization of apparel pursuing integrated value appeared. Clothing, as a connection body in which the human body and the mechanical environment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s reestablished as a product of variable body that can embody an integrated value that includes various characteristics and can be diversified appropriately in any circumstance.

Measurement of inconvenience, human errors, and mental workload of simulated nuclear power plant control operations

  • Oh, I.S.;Sim, B.S.;Lee, H.C.;Lee, D.H.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7-55
    • /
    • 1996
  • This study developed a comprehensive and easily applicable nuclear reactor control system evaluation method using reactor operators behavioral and mental workload database. A proposed control panel design cycle consists of the 5 steps: (1) finding out inconvenient, erroneous, and mentally stressful factors for the proposed design through evaluative experiments, (2) drafting improved design alternatives considering detective factors found out in the step (1), (3) comparative experiements for the design alternatives, (4) selecting a best design alternative, (5) returning to the step (1) and repeating the design cycle. Reactor operators behavioral and mental workload database collected from evaluative experiments in the step (1) and comparative experiments in the step (3) of the design cycle have a key roll in finding out defective factors and yielding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the proposed reactor control systems. The behavioral database was designed to include the major informations about reactor operators' control behaviors: beginning time of operations, involved displays, classification of observational behaviors, dehaviors, decisions, involved control devices, classification of control behaviors, communications, emotional status, opinions for man-machine interface, and system event log. The database for mental workload scored from various physiological variables-EEG, EOG, ECG, and respir- ation pattern-was developed to indicate the most stressful situation during reactor control operations and to give hints for defective design factors. An experimental test for the evaluation method applied to the Compact Nuclear Simulator (CNS) installed in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suggested that some defective design factors of analog indicators should be improved and that automatization of power control to a target level would give relaxation to the subject operators in stressful situation.

  • PDF

2차원 스마트폰형상에 있어서 상징적 기능으로서 아날로그이미지 및 디지털이미지의 인지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Analog Image and Digital Image as a Symbolic Function in the Two-Dimensional Smartphone Form)

  • 이진승;김진성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7-33
    • /
    • 2018
  • 사람들은 시각을 통해 대상물의 형상, 크기, 색, 표면 재질 등과 같은 미적기능을 처리하는 것과 동시에 과거의 자신의 경험을 결합시켜 새로운 심리적 해석을 통한 상징적 기능으로서 대상물을 바라보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사람들이 눈을 통해서 무엇을 보고 있느냐가 중요 한 것이 아니라 눈으로 받아들이고 이해한 것이 사람들에게 어떤 생각과 느낌과 심리적인 영향을 불러오는 것인가를 연구하고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15]. 이러한 연구목적의 하나로서 본 연구에서는 상징적 기능으로서 아날로그 이미지와 디지털 이미지의 인지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형태적 관점"에서 디테일하게 밝혀내려 하였다. 그리고 다섯 가지 가설을 세우고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우리주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을 2차원형상의 선화(線?)로 단순화하고 그 스마트폰 2차원형상의 가로라인에 R(radius)값이 부여되었을 경우와 런인알(run-in-r; radius)이 부여되었을 경우 그리고 그 도형들의 모서리에 R(radius)굴림이 적용 되었을 경우를 설정하고 12가지 짝(pair)을 이룬 도형의 조합을 실험방법으로 고안하여 피험자들에게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몇 가지 인간의 특징적인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특히 어떤 형상에서 사람들은 상징적 기능으로서의 아날로그이미지와 디지털이미지를 심리적으로 강하게 인지하는지를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얻어진 사람들의 생각과 느낌들을 확정된 하나의 가치로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제품디자이너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소비자들이 원하는 기초적인 감성 디자인으로서 디자인형상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행위와 속성 분석을 통한 TV 의 3D 그래픽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실생활과 접목된 필연적인 인터페이스 구현을 위한 방법론 (3D Graphic Interface Design for TV using Behavior and Attribute Analysis)

  • 심재희;김운영;김지해;이형남;장세훈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996-1000
    • /
    • 2009
  • TV 인터페이스에 3D 그래픽을 적용하는 목적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필연적인 사용성이다. 3D 공간은 기존의 심미적 혹은 기술 과시적 목적에서 벗어나 제품과 사용자간의 인터랙션을 가장 필연적으로 대변할 수 있는 방법이다. 둘째, 실생활과의 접목을 통해 사용자의 감성 만족도를 극대화하는 측면이다. 아날로그로의 회귀 혹은 디지로그라는 트렌드를 넘어 실생활의 물체들을 사용하듯이 자연스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 3D 를 선택하였다. 실생활처럼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우리는 사용자가 평상시 물건들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의 행위를 분석하고 그 행위 이면에 숨어있는 속성들을 파악하였다. 셋째, 통합화된 TV에서의 방대한 컨텐츠를 담을 수 있는 확장성 측면이다. 한정된 화면 안에 방대한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담을 수 있는 방법은 3D 가 최적이라고 생각한다. 3D 그래픽에서만 나타나는 공간의 개념은 2D 그래픽과 차별화되는 가장 대표적인 요소이며 이는 무한의 확장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TV 인터페이스에 3D 그래픽을 활용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으며 실제 제품에 최적화해 가는 과정에서 그 효과를 얼마나 유지할 수 있는냐에 대한 문제가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될 것이다.

  • PDF

요가운동이 만성요통 완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Yoga Exercise on the Relieve of Chronic Low Back Pain)

  • 이경혜;강현숙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77-193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Yoga exercise, one of muscle relaxation, helps to relieve chronic low back paln. Sample were selected from nurses who were worked at K medical center in the period from March 18 to April 23, 1996. The sample size was fifteen. The research design was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test the major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had the following procedure. The pretest included measuring individuals' degree of pain and discomfort depending on the scope and types of an range of motion, and their pain by their activity of daily living(ADL). The treatment was conducted twice every other week. The reason why this study had twice observations was to control history effect and maturation which treat internal validity in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In this research design, a treatment was to expose Yoga exercise to samples. The exercise was taken in 30 minutes per day for four days in a week (Two consecutive days and twice every other day). The posttest included re-measuring the individuals' the degree of pain and discomfort, and their pain by their ADL. Several hypotheses concerning effect of Yoga exercise was analyzed by the paired t-test, comparing the difference scores between pre and post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post-treatment group taking the Yoga exercise had the pain score lower than the pre-treatment group was supported(t=3.31, p=.005).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 discomfort score of the post-treatment group had lower than does that of the pre-treatment group was supported(t=2.75, p=.016). The third hypothesis that the post-treatment group had the pain score by ADL lower than does the pre-treatment group was supported(t=5.52, p=.000). In summar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 yoga exercise, one of muscle relaxation, on those who were suffered from chronic low back pain. The effect measured by the degree of pain and discomfort with a visual analog sca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egree of pain according to postures in ADL also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ese findings showed that a yoga exercise was effective to alleviation of chronic low back pain.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however, needs to get more accurate results since the design satisfies Internal validity. Consequently, yoga as an exercise cure improves an interaction between muscles and articulations, and performance of ADL for those suffered from chronic low back pain. Furthermore, this positive impact may be an effective method as nursing intervention for their physical, mental, emotional, social, and psychological recove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