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Analog Image and Digital Image as a Symbolic Function in the Two-Dimensional Smartphone Form

2차원 스마트폰형상에 있어서 상징적 기능으로서 아날로그이미지 및 디지털이미지의 인지특성 연구

  • 이진승 (백석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 김진성 (세종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8.03.02
  • Accepted : 2018.08.06
  • Published : 2018.08.31

Abstract

Humans process aesthetic functions of objects such as form, size, color, and texture through vision, while at the same time observe them with a symbolic function by a new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based on their past experience.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to study and understand the thoughts and psychological influences of how humans perceive with their eyes than what humans simply look with them. With this research purpose in the background, this study will demonstrate in detail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analog and digital images as a symbolic function with a "formative" point of view. Fiv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which were proven through the following tests: smartphone, most frequently used in our daily lives, is simplified to a two-dimensional line drawing form, which is set to instances where the R(radius) is applied to the horizontal line of the two-dimensional form of smartphone, where Run-in-R(radius) is applied, and R(radius) rounding is applied to the edges of those shapes. The shapes were combined to form 12 pairs, which was used in a test to the test subjects. As a result, some human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in specific, some helped prove objectively how humans perceived analog and digital images as psychologically stronger as a symbolic function. If people's thoughts and feelings gained through such study could be stored in database as one value and be provided to product designers, I believe it could be developed into design form as a basic emotional design that consumers desire.

사람들은 시각을 통해 대상물의 형상, 크기, 색, 표면 재질 등과 같은 미적기능을 처리하는 것과 동시에 과거의 자신의 경험을 결합시켜 새로운 심리적 해석을 통한 상징적 기능으로서 대상물을 바라보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사람들이 눈을 통해서 무엇을 보고 있느냐가 중요 한 것이 아니라 눈으로 받아들이고 이해한 것이 사람들에게 어떤 생각과 느낌과 심리적인 영향을 불러오는 것인가를 연구하고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15]. 이러한 연구목적의 하나로서 본 연구에서는 상징적 기능으로서 아날로그 이미지와 디지털 이미지의 인지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형태적 관점"에서 디테일하게 밝혀내려 하였다. 그리고 다섯 가지 가설을 세우고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우리주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을 2차원형상의 선화(線?)로 단순화하고 그 스마트폰 2차원형상의 가로라인에 R(radius)값이 부여되었을 경우와 런인알(run-in-r; radius)이 부여되었을 경우 그리고 그 도형들의 모서리에 R(radius)굴림이 적용 되었을 경우를 설정하고 12가지 짝(pair)을 이룬 도형의 조합을 실험방법으로 고안하여 피험자들에게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몇 가지 인간의 특징적인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특히 어떤 형상에서 사람들은 상징적 기능으로서의 아날로그이미지와 디지털이미지를 심리적으로 강하게 인지하는지를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얻어진 사람들의 생각과 느낌들을 확정된 하나의 가치로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제품디자이너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소비자들이 원하는 기초적인 감성 디자인으로서 디자인형상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진승. 제품형태의 아날로그 이미지와 디지털 이미지 특성 연구. 디지털디자인학회논문지. 22(2).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pp. 105-117. 2009.
  2. 베른트 뢰바하. 산업제품조형원론 인더스트리얼 디자인. 이병종. 서울: 조형교육. pp. 63-77. 2005.
  3. 이진승. 정적 동적 형상에 있어서 아날로그이미지와 디지털이미지 특성의 실험적 고찰. 디지털디자인학회논문지. 44(4).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pp. 428-435. 2014.
  4. 이진승, 이명기. 형상의 크고(大)작음(小)과 모서리 R(radius)굴림에 있어서 아날로그 및 디지털이미지의 인지특성에 관한 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논문지. 15(3). 디자인융복합학회. pp. 236-245. 2016.
  5. 都甲潔. 感性の起源. 東京, 日本: 中央公論新社. 2004.
  6. 찰스 왈쉬레거, 신디아 부식-스타이더. 디자인의 개념과 원리. 원유홍. 서울: 안그라픽스. pp. 335-337 2014.
  7. V.S 라마찬드란. 명령하는 뇌 착각하는 뇌. 박방주. 서울: 알키. pp. 347-349. 2011.
  8. 잉크리트 리델. 도형, 그림의 심리학. 신지영. 서울: 파피에. pp. 18-52. 2013.
  9. 이진승, 신수길. 제품에 있어서 아날로그이미지와 디지털이미지의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회논문지. 35(3).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pp. 43-52. 2012.
  10. 이재국. 디자인 가치론. 청주: 청주대학교 출판부. 1992.
  11. Donald, A. N. 이모셔널 디자인. 박경욱, 이영수, 최동성. 서울: 학지사. pp. 54-57. 2006.
  12. 베른트 뢰바하. 산업제품조형원론 인더스트리얼 디자인. 이병종. 서울: 조형교육. pp. 118-191. 2005.
  13. 이학식, 김영. SPSS 10.0 매뉴얼. 서울: 법문사. 2002.
  14. 이재국. 디자인 미학. 청주: 청주대학교 출판부. 2000.
  15. 김병규. 감각을 디자인하라 소비자를 움직이는 감각경험 디자인의 힘. 서울: 미래의 창. 2016.
  16. 유영만. 아나디지다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짜릿한 만남. 서울: (주)한언. 2002.
  17. 아드리안 프로티거. 인간과 기호 디자인 기호의 기초이론. 신항식. 서울: 창지사. p. 37. 2007.
  18. 윤영화. 뇌 과학에서 본 기억과 학습. 서울: 학지사. 2012.
  19. 알베르토 카이로. 인포그래픽과 데이터 시각화 기법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최가영. 서울: 위키북스. pp. 145-146. 2013.
  20. 위리엄 리드웰, 크리티나 홀덴, 질 버틀러. 불변의 디자인룰 150. 김경균(편). 서울: 우듬지. p. 168.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