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ects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5초

동양사상의 시스템 사고를 통한 상생 리더십의 현대적 사례 연구: 2011년 서울 시장 보궐 선거, 안철수와 박원순을 중심으로 (Oriental Way of Systems Thinking and Win-Win Leadership: Focusing on 2011 Seoul mayor election, Ahn Cheol-soo & Park Won-soon)

  • 김헌식;김동환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3권1호
    • /
    • pp.5-40
    • /
    • 2012
  • This study focus on oriental way for Win-win leadership of modern time using systems thinking approach. We constructed concept, 'Modesty Leadership' from oriental bible- Tao Te Ching, Change Ch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This work described in the paper based on case collected from 2011 Seoul city mayor election in the Korea. There are three initial aims : to confirm what feedback loop affected approval rating, to determine how these feedback interacted and to establish the significance of cognitive mapping. The use of system thinking to model cognitive mapping of political election untraditional approach in study of oriental bible. This approach is valuable in that it can be to understand management strategies and their effect on decision making.

  • PDF

Google Dialogflow를 활용해 『논어』의 메시지를 전하는 챗봇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chatbot that conveys the message of 『The Analects』 using Google Dialogflow)

  • 류연수;우영석;윤영채;박소정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2년도 제3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565-570
    • /
    • 2022
  • 본 논문은 Google Dialogflow 챗봇 개발 플랫폼으로 『논어』의 메시지를 현대화한 고민상담 챗봇을 제안한다. Dialogflow 챗봇 개발 플랫폼은 사전에 설계된 대화 아키텍처에 따라 응답을 제시한다. 즉, 질문의 의도가 파악되면 별도의 문장생성 없이 사전에 입력된 시나리오가 출력되기 때문에 고전 텍스트의 낯선 어투와 함축성의 허들을 극복할 수 있다. '챗봇'을 매체로 선정한 주된 이유는 쌍방향성 때문이다. 사용자는 챗봇을 통해 원하는 내용을 주체적이고 선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인문학적 문화원형과 공학 분야의 기술을 접목한 융복합 서비스 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논어』의 메시지를 젊은 세대에게 친숙하게 전달함으로써 세대 간 문화적 공통성을 마련할 수 있다.

  • PDF

『논어(論語)』의 '수양(修養)'에 관한 고찰(考察) (A Study on 'Self-Culture'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 권경자
    • 동양고전연구
    • /
    • 제36호
    • /
    • pp.57-83
    • /
    • 2009
  • 2500년 전 한 시대를 우주적 존재로 살다간 공자는 당시의 혼란을 종식시키고 모두가 인간다운 삶을 사는 방법으로 자신을 닦을 것[수양(修養)]을 제시하였다. 우주적 존재인 자기[己]를 알지 못하고 개체적 욕심을 채우며 자아[我]라는 부분에 집착할 때 좁게는 가정, 넓게는 나라에 이르기까지 혼란에 빠진다는 것이 공자의 인식이었다. 공자가 혼란한 세계를 종식시키고 인간답게 사는 방법론으로 제시한 것이 수양이다. 공자는 수양을 할 때 인(仁)을 체득하고 자신의 성(性)을 온전히 할 수 있는 군자(君子)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공자가 수양의 방법으로 제시한 것은 때에 맞추어 배우고 익혀서 몸에 배게 하고, 순간순간 자신을 돌아보아 반성하고 성찰하여 실천적 삶을 사는 것이었다. 그를 통해서 바르게 되어 예(禮)를 실천할 수 있으며 드디어 인(仁)에 무젖어 인(仁)에서 노닐 게 된다고 본 것이다. 한마음의 핵심인 인(仁)에 무젖을 때 현실적 사회적 혼란이 해결될 수 있다는 게 공자의 생각이다. 이를 통해 볼 때 수양은 공자사상의 핵심인 인(仁)을 이루기 위한 합목적적 키워드요 인(仁)에 나아가는 첫걸음이다. 유학이 수기안인(修己安人)을 말하고 있는 것은 그 때문이다. "학이(學而)"에서 "요왈(堯曰)"에 이르기까지 "논어(論語)'전편에서 수양에 관해 논의하고 있는 것은 수양이 평천하(平天下)를 위한 출발이며 기준점이기 때문이다.

대인관계(對人關係)에 있어서 긍정적(肯定的)인 힘에 대(對)한 연구(硏究) - (II) 신뢰(信賴) - (STUDY ON THE POSITIVE POWER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 (II) THE ISSUE OF TRUST -)

  • 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1호
    • /
    • pp.3-13
    • /
    • 1996
  • 모든 인간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다. 한 개인에 있어서 생존하기 위하여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인 힘이 필요하며, 대인관계에서도 힘이 작용한다. 한 개인에 있어서나 대인관계에 있어서 자신의 생존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힘을 긍정적인 힘(positive power)'이라고 하고, 자신의 생존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힘을 '부정적인 힘(negative power)'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긍정적인 힘' 중에서 '신뢰'에 대하여 고전들에서 어떠한 교훈이 있나를 살펴보고, 이를 일상생활에서의 중요성과 함께 통괄시켜 보았다. 대인관계에서 '서로 믿을 수 있는 태도'를 갖추기 위하여는 '말'을 조심스럽게 한다는 것이 필수적인 조건이며, 이것은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에 대한 깊은 성찰을 통하여 가능해진다. 또한 성찰은 고전에 기술된 교훈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 PDF

물과 성찰(省察) (WATER AND INTROSPECTION)

  • 신성웅;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1호
    • /
    • pp.3-24
    • /
    • 2001
  • All human being can't exist by oneself. That is, all human being depend on intimate attachment for their surviv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powers and control functions are prerequisites for one's survival and these serve important function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 are two kinds of powers and controls. One is positive power which helps one survive effectively. Another one is negative power which disturbs one's effective survival. Introspection is one of the positive power and most important process in understanding oneself and other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mean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and based on this meaning, to suggest one way of introspection. The authors reviewed the precept of water which is described in Bible and oriental classical books such as 'the Analects of Confuicus(論語)', 'Tao Te Ching(道德經)', 'Mencius(맹자)', 'Chronicle(史記)',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University(大學)'. The author also reviewed 'The History of Three Countries(삼국사기, 삼국유사)', 'The Precept of Religion', and 'the modern poems' which includes the symbolic meaning of wate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1) The flow of water itself is the expression of introspection. Because, water does not flow without filling a puddle. 2) Water is the symbol of 'Immortality'. 3) Water symbolizes 'Modesty and Trust'. 4) Water is the symbol of 'Freedom from Greed'. 5) Water symbolizes 'Goodness and Beauty'. 6) Water symbolizes 'Naturality and Love'. Immortality, Modesty and Trust, Freedom from Greed, Goodness and Beauty, and Naturality and Love are eternal, universal values which all human should seek and achieve. By the process of introspection through the symbolic meaning of water, we can achieve these positive aspects of human mind and spirit.

  • PDF

송백(松栢)에 대한 문헌연구 -소나무 잣나무 측백나무를 중심으로- (The bibliographical Investigation of songback(松栢))

  • 송일병;고병희;김종덕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1
    • /
    • 2003
  •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pine trees have been used as medicines for Taeyangin and a pine-nuts tree for Taeumin. However, there has been some misunderstandings in interpretation as the Koreans referred to back(栢) as pine-nuts tree as well as cheukback(측백) tree. Also, we have disputed over how to translate songback(松栢). Regarding this dispute, 1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based on a research with exactitude. 1. Songja (松子), Songjain(松子仁), Songsil(松實) means Pinus Koraiensis(잣), not a pine .one. 2. Backja(栢子) is a fruit of Cheukback(측백) tree, not of a pinus koraiensis(잣). 3. Some part of 'yulsunjun(列仙傳)' quoted to explain pine-nuts in Bonchogangmok(本草綱目) was misrepresented. 4. In regard to the record that a court lady of Chin(秦) Dynasty lived for bundle of years, Galhong(葛洪) made a mistake by saying that she took pine needles and a Pinus Koraiensis in 'Pobakja(抱朴子)', while saying that she took pine needles and leaves of Cheukback(측백) tree in 'Joohoobigeupbang( 後備急方). Also He made a mistake by saying that took pine needles and leaves of cheukback(측백) tree in Bonchogangmok(本草綱目). 5. Songback(松栢), which was referred to in the Analects of Confucius(論語) and the historical annals(史記), should be understood as an old pine tree with a hard quality of the lumber and evergreen, .rather than 'a pine tree and a pine-nuts tree' or 'a pine tree and Cheukback(측백) tree'. 6. Although 'Songback(松栢) mentioned in a book on medicine were sometimes considered as 'a pine-nuts tree' and 'Cheukback(측백) tree' or 'a pine tree and .Cheukback(측백) tree,' it should be regarded as an old pine tree in most cases.

  • PDF

CNKI에서 중국의 사상체질의학(四象體質醫學) 철학 연구 현황과 특징 (Status and Characteristic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Philosophy Research in China through CNKI)

  • 배영춘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6-3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has been understood in China. Methods I searched for topics in Chinese such as Sasang medicine (四象醫學), Sasang constitution (四象體質), Chao medicine (朝醫), philosophy (哲學), principles (原理), the school of Confucianism (儒家), Confucianism (儒學) and ideology (思想) in CNKI database on January 15, 2019. The selected studies were summarized as three sections; the basic principle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nfluences of Confucianism and comparison with other medicines. Results In China, the principle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s explained using the concepts such as Heaven-Human-Nature-Order, the Great Ultimate (Taiji), Two Modes (Liang-Yi), Sasang, heart, sorrow-anger-joy-pleasure, nature-emotions (Xingqing), and viscera-bowels (Zang-Fu).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s considered to has been influenced by Confucianism. The form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was affected by the Book of Changes (Zhouyi), and the contents were impacted by the Great Learning (Daxue), the Doctrine of the Mean (Zhongyong), the Mencius (Mengzi) and the Analects (Lunyu).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hav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with other medicines, such as inherent determinations of constitution, organs difference by constitution the actions of nature, emotions and desire, recognition of humans as social beings, and the signification of heart as a presiding center. Conclusion In China, the philosophy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has been studied with basis of four-element structure; activity, mind, body and matter. Also, it has been researched in medical aspects of human trying to control the nature and emotions to be physically, mentally and socially healthy.

『서경』의 덕(德) 개념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meaning of 'de'德 in The Book of Document(書經))

  • 이택용
    • 동양고전연구
    • /
    • 제57호
    • /
    • pp.169-200
    • /
    • 2014
  • 본 논문은 "서경"에 나타나는 다양한 덕(德)의 용례 및 덕과 '천 명' 과의 관계에 기초하여 덕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서경"의 덕은 '특정 존재에 요구되는 이상적 역할을 해내는 특성'을 의미한다고 도출되었다. 그런데 인간의 경우 역할이 주로 그가 맡는 지위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이는 '특정 지위에 요구되는 이상적 역할을 해내는 특성'으로 재규정되고, 간단히 말하자면 '다움'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덕의 기준이 되는 '이상적 역할'은 일차적으로는 천명(天命) 및 이에 근거한 왕명(王命) 등에 의하여 규정되지만 궁극적으로는 당시의 사회적 관습에 의하여 규정된다. '다움'으로서의 "서경"의 덕 개념은 일원적으로 덕을 규정하면서도 덕의 다양한 용례들을 수월하게 포섭하고 있다. 사물의 덕의 경우 '그것 다움'으로 해석되고, 인간의 덕의 경우 '그의 지위다움'으로 해석된다. 또한 이러한 덕 개념은 "논어"에서 강조되었던 덕치(德治)를 '정명(正名)'으로 해석할 수 있는 논리적 근거를 제공한다.

긍정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공자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Confucius' Resil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Positive Psychology )

  • 김점남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269-274
    • /
    • 2023
  • 본 연구는 현대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공자가 숱한 역경을 극복하고 수용하며 도약했던 힘의 원천, 공자의 회복탄력성의 요인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공자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유교경전을 포함하여 사상적 측면(윤리, 정치, 교육 등)을 주로 다루어왔다. 이에 공자를 한 인간으로서의 삶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숱한 시련 속에서도 정신적. 신체적 한계를 수용하면서 자신의 불행을 딛고 사람이 지켜야 할 도덕과 가치를 전하면서 사람 속에서 진리를 실천할 수 있었던 긍정적 성품이자 강점을 오늘날의 긍정심리학에서 제시하는 역량 핵심개념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공자와 관련된 자료는 『논어 論語』 『사기 史記』 『공자가어 孔子家語』 및 문헌 등을 참조하였다. 연구를 통해 공자의 최대 강점은 위기지학(爲己之學), 시중(時中) 공자의 핵심사상인 인(仁)과 충서(忠恕)로 배려 속에서 더불어 사는 인간관계로 입증되었다.

영락(永樂) 내부각본(內府刻本) <사서대전(四書大全)>의 조선(朝鮮) 전래(傳來)와 유포(流布) (A Study on the Import to Chosun and It's Distributions of the Saseodaejeon Published by Yongle Emperor of the Ming Dynasty)

  • 송일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97-116
    • /
    • 2014
  • 이 연구는 명나라 영락제의 명으로 편찬한 <사서대전>의 유포와 우리나라에 전래 된 이후 복각 간행된 판본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명나라 영락제가 황위를 찬탈한 이후 태조의 유훈을 받든다는 명분을 들어 호광(胡廣) 등에게 편찬하도록 칙명을 내리자 불과 10개월만인 영락 13(1415)년 9월 완성되었다. 그 후 명나라 내부(內府)에서 간행한 대전본(大全本)은 세종 대에 모두 3차에 걸쳐 전래되었다. 세종은 명나라에서 입수된 제1차 전래본을 저본으로 세종 9-10(1427-1428)년 사이에 경상도, 전라도, 강원도 3도 지방에서 각각 분담하여 판각을 완료하였다. 조선에 전래된 이후 유포 현상을 조사 분석한 결과, 명 전대본(大全本)을 그대로 복각한 판본이 조선에서 대략 18회 이상 간행되었으며, 그 중 현재 50종만이 남아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현존본 50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대체로 임란으로 서적이 급속도로 망실되었기 때문에 이를 시급히 보충하기 위해 주로 서적의 수요가 시급했던 경기와 경상 지방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간행 보급되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