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elf-Culture'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논어(論語)』의 '수양(修養)'에 관한 고찰(考察)

  • Received : 2009.08.20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Confucius who lived an era as cosmic being 2500 years ago put an end to confusion of the time and proposed cultivating the self(修養) as a way to live everyone's human life. Confucius recognized that when one satisfies individual' desire and sticks to the self without knowing the self which is comic being, his home and further his nation must get into confusion. What Confucius put an end to the confused world and proposed how to live humanly is self-culture. Confucius considered that when one cultivates himself, he can obtain benevolence(ren(仁)) and be a wise man(君子) who can maintain his nature soundly. What Confucius proposed as a way of self-culture is to acquire by learning timely and practicing and live a practical life by looking back upon himself every minute for self-reflection(省察). Through this, he can be sound to practice benevolence, and finally get used to benevolence and stroll around benevolence. When one acquires benevolence, the key of one mind, actual and social confusion can be solved, from the viewpoint of Confucius. Through this, self-culture is the purposive key word to accomplish benevolence which is a key of Confucius thoughts, and the first step toward benevolence. That is why Confucianism says train myself to be a man of honor and let the others(the people) lead(Sugi Anin(修己安人)). The reason why overall the Analects of Confucius from "Hakyi(學而)" to "Yowal(堯曰)" discusses self-culture is that the self-culture is a basis to manage the world.

2500년 전 한 시대를 우주적 존재로 살다간 공자는 당시의 혼란을 종식시키고 모두가 인간다운 삶을 사는 방법으로 자신을 닦을 것[수양(修養)]을 제시하였다. 우주적 존재인 자기[己]를 알지 못하고 개체적 욕심을 채우며 자아[我]라는 부분에 집착할 때 좁게는 가정, 넓게는 나라에 이르기까지 혼란에 빠진다는 것이 공자의 인식이었다. 공자가 혼란한 세계를 종식시키고 인간답게 사는 방법론으로 제시한 것이 수양이다. 공자는 수양을 할 때 인(仁)을 체득하고 자신의 성(性)을 온전히 할 수 있는 군자(君子)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공자가 수양의 방법으로 제시한 것은 때에 맞추어 배우고 익혀서 몸에 배게 하고, 순간순간 자신을 돌아보아 반성하고 성찰하여 실천적 삶을 사는 것이었다. 그를 통해서 바르게 되어 예(禮)를 실천할 수 있으며 드디어 인(仁)에 무젖어 인(仁)에서 노닐 게 된다고 본 것이다. 한마음의 핵심인 인(仁)에 무젖을 때 현실적 사회적 혼란이 해결될 수 있다는 게 공자의 생각이다. 이를 통해 볼 때 수양은 공자사상의 핵심인 인(仁)을 이루기 위한 합목적적 키워드요 인(仁)에 나아가는 첫걸음이다. 유학이 수기안인(修己安人)을 말하고 있는 것은 그 때문이다. "학이(學而)"에서 "요왈(堯曰)"에 이르기까지 "논어(論語)'전편에서 수양에 관해 논의하고 있는 것은 수양이 평천하(平天下)를 위한 출발이며 기준점이기 때문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