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esthetic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46초

각시붕어, Rhodeus uyekii와 칼납자루, Acheilognathus koreensis에 대한 염산리도카인과 Clove Oil의 마취효과 (Effect of Lidocaine Hydrochloride and Clove Oil as an Anaesthetic on Korean Rose Bitterling, Rhodeus uyekii and Oily Bifterling, Acheilognathus koreensis)

  • 강언종;김은미;김영자;임상구;심두생;김용호;박인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72-279
    • /
    • 2005
  • 각시붕어, Rhodeus uyekii (Mori, 1935)와 칼납자루, Acheilognathus koreensis (Kim and Kim, 1990)에 대한 염산리도카인과 Clove oil의 $10^{\circ}C,\;15^{\circ}C,\;20^{\circ}C$$25^{\circ}C$ 수온 조건에서의 마취 효과를 조사하였다. 3분 미만의 완전마취(Stage A5)와 10분 미만의 완전회복(Stage R5)을 기준시, 마취 수온 $20^{\circ}C$에서의 염산리도카인 적정 농도는 각시붕어와 칼납자루에서 각각 250${\~}$550 ppm, 150${\~}$550 ppm 이었으며 Clove oil에서는 각각 40${\~}$200 ppm, 80${\~}$240 ppm 이었다. 본 실험의 2종을 대상으로 한 염산리도카인과 Clove oil에 의한 마취시 negative곡선의 농도 의존성을 보였다. 회복시간은 마취제 농도에 따라 다소 변이를 보였으나, 일반적으로 고농도 마취는 긴 회복시간을 보였다. 마취 수온과 마취 효과는 있어 양성의 상관관계가 있어, 저온에서의 마취시 마취시간과 회복시간이 더 소요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어류 마취제 염산리도카인과 Clove oil은 본 실험에 사용된 종들에 효과적인 마취제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로부터의 결과는 각시붕어와 칼납자루의 사육시 어체 진정이 요구되는 취급이나, 이들의 양식시 유용할 것이다.

주꾸미, Octopus ocellatus에 대한 마취제 염산리도카인의 마취효과 (Anaesthetic Effects of Lidocaine-HCl as an Anaesthetic on the Webfoot Octopus, Octopus ocellatus)

  • 김병균;전제천;정의영;심두생;서형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1-79
    • /
    • 2003
  • 두족류는 흡반에 의한 흡착력이 강하여 방류시 분리 포획에 어려움이 있는 어린 주꾸미의 마취 소요시간에 따른 효과면에서 200 ppm 이하의 농도에서 염산리도카인이 MS-222보다 1.6-4.5배정도 마취가 빨랐고 300-500 ppm의 농도에서는 5.10-6.0배 빨랐다. 노출시간에 따른 마취율과 회복률에 염산리도카인이 MS-222보다 저농도에서 짧은 시간 내 마취되고 고농도에서 빠른 시간 내에 회복되었다. 1차 마취 후 경과시간별 염산리도카인의 재마취에서 농도가 낮고 경과시간이 길수록 마취개시 및 종료시간이 늦어지고 농도가 높고 경과시간이 짧을수록 마취개시 및 종료시간이 빨라졌다. 재마취 회복 또한 저농도에서 경과시간이 길수록 빠르고 고농도에서 경과시간이 짧을 수록 회복이 늦어졌다. 주꾸미의 경우 MS-222보다는 염산리도카인이 마취에 좋았으며 작업을 고려한 사용농도 및 한계시간은 100 ppm 농도에 15분 이내가 적당하였다.

  • PDF

초음파를 이용한 리도카인 수용성겔의 경피흡수 및 진통효과 (Transdermal Delivery and Analgesic Effects of Lidocaine Hydrogel by Phonophoresis)

  • 양재헌;김대근;송경숙;윤미영;안효초;김영일;김태열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7권3호
    • /
    • pp.149-158
    • /
    • 2007
  • To investigate the permeability of lidocaine, percutaneous absorption studies were performed using excised hairless mouse skin and the penetration of lidocaine via the skin was determined. To increase the skin permeation of lidocine, the effects of $Labrasol^{(R)}$, $Labrafil^{(R)}$, $Labrafac^{(R)}$ and $Transcutol^{(R)}$ were investigated. The skin permeation of lidocaine was increased when $Labrasol^{(R)}$ and $Transcutol^{(R)}$ were used as permeation enhancer.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ultrasound, various factors such as application modes (continuous mode and pulsed mode), frequency (1.0 and 3.0 MHz) and intensity (1.0, 1.5 and 2.0 w/$cm^2$) were investigated with lidocaine hydrogel. The pronounced effect of ultrasound on the skin permeation of lidocaine was observed at all ultrasound energy levels. The influence of frequency having an effect on skin permeation rate was higher in the case of using 1 MHz, 2.0 w/$cm^2$ and continuous treatment. As the intensity of ultrasound increased, the permeation of lidocaine was accelerated. The in vivo anesthetic effects were evaluated by two aspects as mechanical threshold and electrical threshold. Six healthy volunteers consented to the randomized, double-blind, and cross-over designed study in each group. In each subject, 3 groups were adapted such as K group (ultrasound with gel base only), L group (lidocaine gel) and B group (ultrasound with lidocaine gel). In conclusion, lidocaine was potent anesthetic which could be block pain threshold effectively. And ultrasound could accelerate the skin penetration of lidocaine. The phonophoretic delivery system could be a good candidate for lidocaine as a local anaesthetic to improve the skin permeation and in vivo anaesthetic effect.

버들개, Rhynchocypris steindachneri 운송을 위한 마취제 lidocaine-hydrochloride의 평가 (The Evaluation of Lidocaine-hydrochloride as Anaesthetic for the Transportation of Rhynchocypris steindachneri)

  • 박인석;임철호;최문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785-790
    • /
    • 1998
  • 인체용 마취제인 염산리도카인을 사용하여 버들개, Rhynchocypris steindachneli의 운송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조군. sham 대조군 및 염산리도카인 농도 2.5ppm군, 5ppm군, 10ppm군, 20ppm군을 대상으로 실험후 30분, 60분, 90분, 120분, 240분 및 360분에 용존산소, ventilation rate, ammonia성 질소 및 pH를 측정하였다. 실험후 시간 경과에 따라 고농도 염산리도카인군, sham 대조군, 대조군 순으로 용존산소량이 높았으며 ventilation rate도 용존산소량의 결과와 상응하였다. 염산리도카인군은 물질대사가 저하하였기에 물질대사물인 ammonia 배출이 대조군에 비해 낮았고, 염산리도카인군에서는 농도의존적으로 ammonia 농도가 낮아졌다. 실험후 시간경과에 따른 sham 대조군과 염산리도카인군의 pH 감소는 대조군의 pH 감소에 비해 그 감소 정도가 약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염산리도카인은 버들개의 운송실험시 진정제로 효과적이었다.

  • PDF

장기 마취시 어류에 미치는 quinaldine 독성에 대한 기초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Quinaldine(2-Methylquinoline) Toxicity for a Long Anaeathetization Period)

  • 윤종만;이재현;박홍양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7-44
    • /
    • 1989
  • 본 실험은 7가지 어종을 250ppm의 quinaldine 용액에 마취시켰을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물고기의 행도 변화, glucose, ALP, SGOT, LDH등의 효소량의 변화 그리고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250ppm의 quinaldine이 물고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본 실험을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마취제의 농도를 250ppm 이하로 감소시켰을 때, 몸의 균형을 상실하는 걸리는 시간이 증가하였다. 2. 마취를 실시할 경우 적정온도보다 낮거나 높은 온도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3. 체장이 길수록 마취시간과 회복시간이 연장되었다. 4. 마취시간과 체장과의 상관계수는 0.78이었다. 5. 마취된지 10-15분 후에 glucose, ALP 그리고 SGOT 효소치가 peak에 도달됨을 보였다. 6. 마취된 물고기에서 분비되는 LDH의 양은 대조군 보다 안구, 혈청 그리고 간장에서 상대적으로 증가되었다. 7. 250ppm 마취시 나타난 병리조직학적 소견으로는 뇌의 경우 핵농축이 있었고, 비장에서는 괴사 및 핵농축된 조직을 볼 수 있었다.

  • PDF

자바리(Epinephelus moara)와 대왕자바리(E. moara ♀ × E. lanceolatus ♂)에 대한 MS-222의 마취효과 (The Anaesthetic Effect of MS-222 for Longtooth Grouper, Epinephelus moara and the Hybrid Grouper, E. moara ♀ × E. lanceolatus ♂)

  • 박종연;김강래;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35-240
    • /
    • 2019
  • 자바리와 대왕자바리 2종을 대상으로 MS-222 농도 및 수온에 따른 마취효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농도는 100, 150, 200 그리고 250 ppm을, 수온은 18, 22, 26 그리고 30℃에서 마취 및 회복시간을 조사하였다. MS-222 농도와 수온이 높아질수록 마취시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회복시간은 농도와는 비례하지만 수온과는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회복시간은 22℃ 이하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자바리의 최적 마취조건은 회복시간이 가장 짧은 30℃와 100 ppm, 대왕자바리의 경우 30℃ 150 ppm이 회복시간이 100 ppm과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으면서 마취시간은 유의하게 짧아 가장 적합했다. 이원배치분산분석 결과 자바리와 대왕자바리의 종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종과 농도 그리고 종, 농도, 수온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하지조신경 전달마취 후 발생한 안면신경마비 (Facial Nerve Paralysis Following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A Case Report-)

  • 김수관;이상호;김식조;김현호;윤광철;최희연;박오주;최영옥;김상호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1-24
    • /
    • 2004
  • Facial nerve paralysis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a local anaesthetic can be alarming. By reading reports of such incidents, dentists who find themselves in similar situations will be able to reassure their patients and act accordingly. This article reviews the classifications of anesthetic complication, local complications, etiology, prevention, treatment of facial nerve paralysis fe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a local anaesthetic. A thorough knowledge of the relevant anatomy pertinent to the various injections used in dental surgery is essential.

  • PDF

Anaesthetic Efficacy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Clove Oil and Lidocaine-HCl on River Puffer, Takifugu obscurus and Tiger Puffer, T. rubripes

  • Park, In-Seok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3권1호
    • /
    • pp.21-34
    • /
    • 2019
  • The effects of the anaesthetic agents, clove oil and mixture of clove oil with lidocaine-HCl were evaluated on river puffer, Takifugu obscurus and tiger puffer, T. rubripes. Anaesthesia times of clove oil were affected by water temperature ($20^{\circ}C$, $24^{\circ}C$, and $28^{\circ}C$) and salinity (10, 20, and 30 ppt). Anaesthesia times of mixed samples were significantly similar with regard to exposure and recovery times, and all samples satisfied anaesthesia criteria (exposure time within 3 min and recovery time within 5 min) under the various temperatures and salinities, and the lowest to highest concentration of anaesthetics (p<0.05). Both species river puffer and tiger puffer had short exposure time with a high anaesthesia dose, high temperature ($28^{\circ}C$) and intermediate salinity (20 ppt), and were highly affected by temperature and salinity (p<0.05). The mixed anaesthetics had rapid exposure times and long recovery times in contrast to the effects of clove oil. Cortisol concentrations under the conditions of various clove oil dosages, salinity, and temperature for both species increased until 12 hrs after recovery from anaesthesia (p<0.05). After 12 hrs, cortisol concentrations decreased until after 48 hrs (p<0.05). During the simulated transportation of both species, control and sedated clove oil groups (5 ppm) were measured for water parameters, dissolved oxygen (DO), $CO_2$, respiratory frequency, $NH_4{^+}$, and pH for 6 hrs in 1 hr intervals. Water parameters of sedated groups and contro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2 hrs (p<0.05).

전할(全蝎)에 대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The study on Buthus martensii Karsch)

  • 권기록;최성모;안창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81-188
    • /
    • 2002
  • Objective: Through the literatures on the effects of Buthus martensii Karsch, we are finding out the clinical possibility and revealing the more effctive to intractable diseases. Method: We investigated the literatures of Oriental Medicine and experimental reports about Buthus martensii Karsch. Results: 1. The taste of Buthus martensii Karsch is salty, hot and toxic, and the effect of this is tetanus, headache, facial palsy and convulsion. 2. The venom of Buthus martensii Karsch is anaesthetic and toxic protein, composed of buthotoxin, lecithin, trimethylamine, betaine, taurine, cholesterol, stearic acid and palmitic acid and similar to the snake venom. 3.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Buthus martensii Karsch are anti-convulsion, depressor, anesthesia, anti-thrombosis and anti-cancer. 4. Symptoms of Buthotoxin poisoning are local pain, vomiting, fever, hypertension and palpitaion, and critical condition to Dyspnea, coma and dea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