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Quinaldine(2-Methylquinoline) Toxicity for a Long Anaeathetization Period

장기 마취시 어류에 미치는 quinaldine 독성에 대한 기초 연구

  • 윤종만 (건국대학교 축산학과 어류육종 실험실) ;
  • 이재현 (건국대학교 축산학과 어류육종 실험실) ;
  • 박홍양 (건국대학교 축산학과 어류육종 실험실)
  • Published : 1989.05.30

Abstract

This study was taken to induce either anaesthesia or sedation for the purpose of applying to transport of live fish safely. 7 species of fish in addition to Tilapia mossambica were exposed to 250 ppm concentration of the anaesthetic quinaldine to determine the safe level for handling and transportation of these specie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The time taken to lose balance increased with a decrease on the concentration of the anaesthetic. 2. Anaesthetization must be carried out under temperature lower or higher rather than optimum temperature. 3.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fish, the longer the anaesthetization time and recovery time of fish. 4. Coefficient of recovery period and body length is 0.78. 5. At 10-15 min. after anaesthetization, the serum levels of glucose, ALP and SGOT were at peat. 6. LDH of the anaesthetized fish is much more increased than that of the unanaesthetized. 7. In the more 250 ppm treatment, the pyknosis of the brain and spleen tissue appeared.

본 실험은 7가지 어종을 250ppm의 quinaldine 용액에 마취시켰을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물고기의 행도 변화, glucose, ALP, SGOT, LDH등의 효소량의 변화 그리고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250ppm의 quinaldine이 물고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본 실험을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마취제의 농도를 250ppm 이하로 감소시켰을 때, 몸의 균형을 상실하는 걸리는 시간이 증가하였다. 2. 마취를 실시할 경우 적정온도보다 낮거나 높은 온도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3. 체장이 길수록 마취시간과 회복시간이 연장되었다. 4. 마취시간과 체장과의 상관계수는 0.78이었다. 5. 마취된지 10-15분 후에 glucose, ALP 그리고 SGOT 효소치가 peak에 도달됨을 보였다. 6. 마취된 물고기에서 분비되는 LDH의 양은 대조군 보다 안구, 혈청 그리고 간장에서 상대적으로 증가되었다. 7. 250ppm 마취시 나타난 병리조직학적 소견으로는 뇌의 경우 핵농축이 있었고, 비장에서는 괴사 및 핵농축된 조직을 볼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