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pacity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2초

한국전력 가공송전선의 허용전류를 증가시키기 위한 기상모델의 평가 (An Evaluation of Weather Model for Increasing Ampacity in KEPCO's Overhead Transmission Lines)

  • 김성덕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25-134
    • /
    • 2004
  • 전력설비 시장의 새롭게 조정된 경제환경으로 인하여 송전선로에 대한 투자와 운용 정책에 근본적인 변화가 초래되었다. 따라서, 최악의 기상조건을 사용하는 형식적인 가정들을 토대로 주어지는 도체의 허용전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현재 설비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여전히 세계의 대부분 전력회사에서는 정적송전용량을 채용하고 있지만, 몇몇 회사들은 송전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동적송전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해왔다. 이 연구는 기상모델로 규정된 한국전력공사(KEPCO)의 송전선로의 정적송전용량을 평가하기 위한 시도이다. 과거 기상청에서 관측된 기상 데이터를 근거로 송전용량을 결정하기 위한 몇 가지 환경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한국전력의 송전선로에 계절별 또는 지역별 정격을 적용할 수 있으며, 현재 운용 중인 도체를 새로운 고내열 도체로 교체하지 않더라도 기존 송전용량을 좀더 증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온도특성을 고려한 공항 저압간선의 경제적인 설계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conomical Design of Airport Low-Voltage Feeder Which is considering the Temperature Character)

  • 최홍규;조계술;송영주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19-126
    • /
    • 2003
  • 공항과 같이 간선이 길게 포설될 수 있는 장소의 저압간선 굵기는 해당 케이블의 허용전류와 전력계통의 전압강하를 고려하며 결정된다. 비록 도체의 허용전류 값이 부하의 허용전류 값에 비하여 여유가 있을지라도 계통의 허용전압강하를 고려할 경우 도체의 굵기는 비교적 크게 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체의 허용전류 값은 부하의 최대전류 값보다 훨씬 크게 산정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도체에서 발생되는 열은 감소하게 된다. 도체의 최대 허용온도에 보정된 도체의 교류저항 값이 저압간선의 굵기 산정을 위한 전압강하 계산공식에 적용되어 왔으며, 도체의 저항 값은 도체의 실제 온도상승 값이 적용된 저항 값에 비하여 크다 본 연구는 도체의 실제 온도상승 값이 보정된 도체의 저항 값을 적용하여 저압간선 굵기 선정 설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계산 방식에 비하여 오차가 적은 경제적인 설계 방식을 연구하였다.

DSI 성형을 이용한 금속/플라스틱 복합 부품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of metal/plastic multi-components using the DSI molding)

  • 하석재;차백순;고영배
    • Design & Manufacturing
    • /
    • 제14권4호
    • /
    • pp.71-77
    • /
    • 2020
  • Various manufacturing technologies, including over-molding and insert-injection molding, are used to produce hybrid plastics and metals. However, there are disadvantages to these technologies, as they require several steps in manufacturing and are limited to what can be reasonably achieved within the complexities of part geometry.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a practical approach for producing metal/plastic hybrid components by combining plastic injection molding and metal die casting to create a new hybrid metal/plastic molding process. The integrated metal/plastic hybrid injection molding process developed in this study uses the proven method of multi-component technology as a basis to combine plastic injection molding with metal die casting into one integrated process. In this study,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mpacity were verified to qualify the new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arts used in electronic device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measured, contacting both sides of the test sample with constant pressure, and the resistivity was measured using a micro ohmmeter. Also, the specific conductivity was subsequently calculated from the resistivity and contact surface of the conductor path. The ampacity defines the maximum amount of current a conductive path can carry before sustaining immediate or progressive deterioration. The manufactured hybrid multi-components were loaded with increasing currents, while the temperature was recorded with an infrared camera. To compare the measured infrared images, an electro-thermal simulation was conducted using commercial CAE software to predict the maximum temperature of the power loaded parts. Overall, during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it was demonstrated that multifunctional parts can be produced for electric and electronic applications.

금속/그래핀 이중 구조 와이어의 합성 및 전기적 특성 연구 (A Study on Growth of Graphene/metal Microwires and Their Electrical Properties)

  • 정민희;김동영;노호균;신한균;이효종;이상현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7-7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금속 와이어를 촉매로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그래핀을 합성하고 구조 및 전기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구리와 니켈의 탄소에 대한 용해도 차이로 인해 구리와이어에서는 단층 그래핀이 성장하였고, 니켈와이어의 표면에는 다층 그래핀이 성장되었다. 또한. 고온의 그래핀 성장 조건에서 구리와 니켈의 재결정화를 통해 결정립의 크기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표면에 그래핀이 합성된 구리와이어의 경우, 최대전류허용치는 1.91×105 A/㎠으로 합성 전 구리와이어에 비해 약 27% 향상되었다. 이와 유사하게, 다층 그래핀이 합성된 니켈와이어의 경우에도 최대전류 허용치는 순수한 니켈와이어 대비 약 36% 향상된 4.41×104 A/㎠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그래핀/금속 복합소재의 우수한 전기적 특성은 고전류를 요구하는 소자 및 부품에서 안정적인 전기적 흐름을 공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토양에 대한 수분함량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ecasting of soil moisture content in our country)

  • 강지원;조성배;강연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E
    • /
    • pp.2380-2382
    • /
    • 1999
  • An Ampacity of a power cable depends on the soil thermal property, especially the soil thermal resistivity. Also, The soil thermal resistivity depends on the soil moisture contents in soil surrounding the power cable. This paper propose the prediction algorithm of the soil moisture contents using the Thornthwaite theory.

  • PDF

발전소에서 활선 고전력 케이블의 운전 부하전류에 따른 도체 및 피복표면의 온도 분석 (Examination of Conductor and Sheath Temperatures Dependent on the Load Currents through High-Power Live Cables at a Power Station)

  • 엄기홍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213-218
    • /
    • 2017
  • 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 및 공급하기 위하여 고전압 전력 시스템이 동작하고 있다. 고전압 시스템은 저전압 시스템과 비교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규모가 크고,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시 저압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설비들에 정전사고가 발생하여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설계부터 시공 및 관리를 더욱 철저히 해야 한다. 설치환경 및 사용 조건 부하량 등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증설과정, 부적절한 설계 등으로 인하여 케이블의 단면적이 부족할 경우가 발생하며, 운전 전류에 의하여 초과된 허용온도는 케이블의 열화 상태를 초래한다. 우리는 케이블의 사고를 체계적으로 감시 및 예방하기 위한 측정 장비를 개발,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Korean Western Power Co. Ltd.)에 설치하여 활선 케이블을 진단하였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케이블의 부하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부하전류에 의한 온도 특성을 예측 연구한 결과를 제시한다. 이 온도 값을 해석하여 케이블의 열화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다.

케이블 열회로의 전기적 등가회로 변환을 이용한 케이블 허용전류 검토 방법 (A Review Method of Calculation Results on Cable Ampacity using the Transformation to Electric Equivalent Circuit from Cable Thermal Circuit)

  • 강연욱;김민주;장태인;박진우;박흥석;강지원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5권5호
    • /
    • pp.738-744
    • /
    • 2016
  • Current rating of a power cable can be calculated by the maximum allowable temperature in an insulating material considering the heat transfer from cable conductor.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calculate the current rating using electrical equivalent circuit by calculated cable thermal circuit parameters but, it has not been fully investigated yet. In this paper, in order to determine the current rating of power cable, conventional calculation method has been reviewed considering the conductor resistance, loss factor of sheath, dielectric losses and thermal resistances based on the maximum allowable temperature of 345 kV $2500mm^2$ XLPE cable. To confirm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current rating, the conductor temperature should be examined whether it reaches the maximum allowable temperature by the thermal equivalent circuit of the cable. Then, utilizing EMTP (Electro-Magnetic Transient Program) which is a conventional program for electrical circuit, the thermal equivalent circuit was transformed to an electric equivalent circuit using an analogous relationship between thermal circuit and electrical circuit, and temperature condition including cable conductor, sheath, cable jacket could be calculated by the current rating of 345 kV $2500mm^2$ XLPE cable.

전압강하를 고려한 저압간선의 설계 알고리즘 (Algorithm for the Low-Voltage Feeder Design in Consideration of Voltage Drop)

  • 고영곤;최홍규;조계술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84-92
    • /
    • 2002
  • 저압간선의 굵기는 계통의 전압강하, 간선의 포설조건별 온도 보정계수를 적용한 허용 전류 및 간션의 임피 던스 값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간선의 허용전류 값올 결정하기 위하여 간선의 포셜조건에 따른 적정 보정계 수가 적용되어야 하며, 저압간선의 정확한 임피던스 값을 분석하기 위하여 간선의 종류, 간선의 규격, 포셜조건 에 따른 온도, 표피효과 및 근접 효과 둥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저압계통의 전압강하를 고려한 간선의 굵기 산정에 대한 체계적인 설계 흐름도를 제시 하였으며, 일반적인 계산 방식에 비하여 오차가 적은 계수로서 저압간선 굵기 선정 설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계산 방식을 연구하였다.

초고압 지중송전케이블 송전용량 증대방안 (The method to increase the ampacity of underground transmission cable)

  • 김두진;김형호;윤종건;배주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373_374
    • /
    • 2009
  • 대도시 전력계통망을 구성하는 지중송전선로는 154kV, 345kV OF 및 XLPE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토개발 및 도심지의 확장에 따라 설비물량은 갈수록 증가되고 있다. 국내 전력케이블은 대용량화, 소규모화 등 지속적으로 기술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며, 케이블 및 전력구 온도를 실시간 감지하여 운영자에게 보여주는 감시시스템도 도입되어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한 기반도 구축되었다. 최근 설비량 증가 및 대기 온도상승으로 인한 케이블 송전용량의 제한을 해소하기 위해 국내 최초로 냉각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