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munition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31초

PCP로 방부 처리된 탄약목상자의 자원순환형 처리기술 (Resource Recycling Technology for the PCP-treated Ammunition Box)

  • 이종철;최수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23-131
    • /
    • 2006
  • This paper reports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fe treatment of pentachlorophenol(PCP)-treated ammunition box by solvent extraction. Experimental variables were chosen as the composition of solvents, types of substance(chips and sawdust), temperatures and sonication to obtain maximum PCP removal from wood samples of the dismantled ammunition box. Up to 99% of PCP in the wood chip was extracted within 2 hours at room temperature when using methanol as the solvent. The extraction volume ratio of methanol per dried sample was about 10. Type of samples, extraction temperature and sonification showed little effects on PCP extraction. Based on this study, a resource recycling system for the treatment of ammunition boxes was recommended.

IDEA를 이용한 탄약중대의 효율성 평가 (Assessment of Ammunition Companies Using IDEA model)

  • 배영민;김재희;김승권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07-1714
    • /
    • 2006
  • In order to enhance sustainable war fighting capabilities, it is important to maintain a good ammunition support system.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mmunition companies using Imprecise Data Envelopment Analysis (IDEA)-BCC and IDEA-Additive model, which can deal with imprecise data in DEA. In order to select a list of input and output variables, we us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could choose input variables tha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output performance with stepwise regression model.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the number of soldiers, officers, and ammunition warehouses were selected as the input variables. Seven out of sixteen Ammunition companies were found to be inefficient by the IDEA-BCC model. And using IDEA-Additive model, we could identify the input excess and the output shortfall in reaching at a point on the efficiency frontier.

  • PDF

CART 회귀분석 기반 일회성 시스템 81mm 고폭탄 사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Range of 81mm HE shells One-Shot systems based on CART Regression analysis)

  • 김명성;최준혁;김영민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19권1호
    • /
    • pp.107-113
    • /
    • 2023
  • For one-shot systems such as 81mm high-explosive ammunition, research on performance prediction is insignificant due to research manpower infrastructure and lack of interest and difficulties in securing field data, which can only be done by special task workers. In order to evaluate the actual range of ammunition, the storage ammunition reliability evaluation checks the range by firing actual ammunition through a functional test. Test evaluation is a method of extracting a sample from the population, launching it, and recording the results accordingly. As a result of these tests, the range, which is an indicator of ammunition performance, can be meas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meteorologic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tmospheric pressure, and humidit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test site. In this stud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generated at the test site and storage period analyze the correlation with the range, which is the performance of ammunition, and analyze the priority of importance for each factor and the numerical standards that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range. Through this, a new approach to one-shot system performance prediction was presented.

탄약저장시설 지하화에 따른 안전거리 축소방안 연구 (Study for Reducing Safety Distance by Installing Ammunition Storage Facility in Underground)

  • 박상우;전종훈;최항석;박영준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53-260
    • /
    • 2020
  • 지하형 탄약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관련된 설계 결과가 다수 도출되고 있다. 그러나 터널 민간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탄약관련 군 실무자들도 안전거리 기준을 완벽하게 숙지하지 못하여 안전거리 기준을 모두 준수한 신뢰성 있는 설계 결과는 도출되고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안전거리를 과하게 적용하여 부지를 비효율적으로 활용하거나 시공불가판정을 받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형 탄약고에 대한 안전거리 기준을 정리하고 이를 준수하면서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여러 방법 중 안전거리를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여 향후 지하형 탄약고 설계 및 시공 시에 적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마련하였다.

40mm 고속유탄(K212) 신관의 안전성 및 신뢰성 강화를 위한 탄약 자동화검사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Ammunition Automatic Test Algorithm for Improving Safety & Reliability of 40mm Grenade(K212) Fuze)

  • 주진천;권미선;김상민;안남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4-22
    • /
    • 2016
  • 신관은 다양한 부품과 복잡성으로 인해 육안 검사 시 휴먼에러가 발생할 수 있으며 부품 누락, 장전된 신관 등이 제품에 혼입될 경우 탄약이 폭발할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관 검사 시 휴먼에러를 방지하기 위한 탄약 자동화검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탄약 자동화검사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세 단계로 구성된다. 첫 번째로 검사 이미지 입력 및 전처리 단계로써 검사 대상 이미지를 입력하고, 이미지 회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이미지를 회전한 후 이진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컴퓨터 계산에 적합하도록 이진화한다. 두 번째로 장전 및 비장전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로써 Masked Template Matching 알고리즘 등을 활용하여 탄약의 장전여부를 판단한다. 세 번째로 부품검사 단계로써 이미지 탐색 알고리즘 등을 활용하여 부품 위치나 부품 누락 여부에 대해서 판단한다. 본 탄약 자동화검사 알고리즘을 신관 검사에 적용한 결과 부품 누락, 장전 여부 등을 오류 없이 효율적으로 검출함으로써 40mm 고속유탄 신관의 신뢰성 및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용 탄약의 자동 이송 및 장전을 위한 탄약 운반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Transporting System for The Automatic Carrying and Arming of Test Ammunition)

  • 이정호;김동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56-163
    • /
    • 2019
  • 본 논문은 탄약의 시험 평가를 위한 탄약 운반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국내 탄약 시험장에서 탄약 시험 평가를 수행할 때 탄약 장전 등의 대부분 시험 평가 과정이 시험원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즉, 탄약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십 kg 무게가 나가는 탄약의 이송 및 장전, 사격의 과정이 시험원에 의해 반복적으로 이뤄진다. 이 과정에서 탄약 장전 작업의 경우 인력에 의한 작업은 시험 결과의 신뢰성 저하, 시험원의 근골격계 손상, 안전사고와 같은 문제들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시험용 탄약의 안전한 이송, 자동 장전 등의 운용성 향상을 위한 탄약 운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논문은 운반 시스템의 설계, 제조, 그리고 운영의 효용성 등을 다루고 있다. 또한 사람에 의한 운용과 비교하여 개발된 시스템의 효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탄약 시험장에서 안전한 시험 평가를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회용품의 신뢰성분석 방안 (Reliability analysis methods to one-shot device)

  • 백재욱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4호
    • /
    • pp.1-8
    • /
    • 2022
  • 우리 주위를 살펴보면 한 번 사용하고 버리는 일회용품이 많다. 폭죽이나 탄약과 같은 일회용품이 대표적인데 이들 일회용품은 제조 후 한 동안 저장되어 있다가 필요한 때 사용하고 나면 폐기처분하게 된다. 하지만 이런 일회용품은 일반 운영장비와 달리 신뢰성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회용품 중에서 탄약에 대한 저장탄약신뢰성프로그램을 통해 탄약의 경우 신뢰성 확보를 위해 정부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먼저 살펴본다. 이어서 통계분석적인 측면에서 탄약과 같은 일회용품에 대한 신뢰성분석 방안으로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본다. 구체적으로 통계학에서 로트의 품질수준을 파악하는 샘플링검사를 활용하여 일정한 시기에 생산된 탄약에 대한 신뢰성의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KS Q0001인 계수규준형 1회 샘플링검사표를 이용할 수 있음으로 보여준다. 다음으로 탄약의 저장신뢰도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으로 비모수적인 방법과 모수적인 방법을 소개한다. 비모수적인 방법중에서 특히 Kaplan-Meier 방법은 중도중단데이터가 포함된 경우에도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수적인 방법 중에는 신뢰성분석에 많이 활용되는 와이블분포가 탄약의 저장신뢰도를 파악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시계열분석을 적용한 저장탄약수명 예측 기법 연구 - 추진장약의 안정제함량 변화를 중심으로 - (Prediction of the shelf-life of ammunition by time series analysis)

  • 이정우;김희보;김영인;홍윤기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9-48
    • /
    • 2011
  • 야전에 저장된 탄약의 수명을 예측하는 것은 군의 전투지원 핵심요소로 실무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6년간 수행한 155mm 추진장약(KD541)의 ASRP(Ammunition Stockpile Reliability Program : 저장탄약신뢰성평가) 결과를 기초로 추진장약 추진제의 안정제함량 변화에 따른 시계열분석 (ARIMA 모델) 방법론을 적용 저장탄약수명을 예측하였다. 이번 연구는 기존의 회귀분석 모델을 활용한 연구방법과 다르게 시계열분석을 적용하되 미니 탭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시계열분석을 적용 저장탄약수명을 예측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 155mm 추진장약(KD541) 저장수명은 35~43년으로 예측되었다.

탄약종합군수지원 업무체계 발전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Ammunition Integrated Logistics Support System Development)

  • 한호석;이영욱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3_1호
    • /
    • pp.23-30
    • /
    • 2015
  • 종합군수지원은 미래전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원활한 군수지원 활동을 통해 전쟁을 승리로 이끄는데 기여하기 위함에 있다. 미래전쟁은 현대전에 비해 매우 복잡하고 고도의 전략과 전술을 구사하며 첨단무기체계를 동원한 강도 높은 전쟁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합군수지원의 한 분야인 탄약종합군수지원의 발전을 통해 효과적인 군수지원이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단계별 업무체계와 수행업무, 탄약종합군수 지원요소에 대해 고찰하고, 탄약종합군수지원업무와 관련한 문제점을 도출하여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운동에너지 탄과 적재포탄에 따른 전투시스템 내부에서의 순간화재발생에 대한 전산해석 (A Numerical Study on the Flash Fire in the Combat System by the Kinetic Energy Ammunition and the Loaded Shells)

  • 이승철;전우철;이해평;이헌주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28-832
    • /
    • 2013
  • In this paper,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about whether the flash fire of loaded shells breaks out in the virtual combat vehicle according to sorts of the kinetic energy ammunition as the preceding research for vulnerability analysis inside the combat system by an external threaty ammunition. In this simulation, Autodyn program was used and the Lee-Tarver ignition and growth model was used to determine the flash fire outbreak. In this study, the kinetic energy ammunition was set of type A and type B in two kinds and the loaded shells was set of COMPB, TNT, PBX9404 and ANB. As a result, TNT and PBX9404 have much higher flash fire probability than COMPB in high explosive, ANB has very low flash fire prob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