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erican community survey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3초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한 미국 및 유럽 폐활량 검사 재현성 기준의 유용성 (Applicability of American and European Spirometry Repeatability Criteria to Korean Adults)

  • 박병훈;박무석;정우영;변민광;박선철;신상윤;전한호;정경수;문지애;김세규;장준;김성규;안성복;오연목;이상도;김영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5호
    • /
    • pp.405-411
    • /
    • 2007
  • 연구배경: 본 연구를 통해 2005년도 ATS/ERS 폐활량검사 지침에서 제시한 재현성 기준을 한국 성인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지와, 한국 성인들의 폐활량 검사 시 재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국민건강영양조사, COPD 코호트, 지역사회 코호트로부터 얻은 성인 4,663명의 폐활량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dFVC 및 $dFEV_1$를 계산하여 분포를 알아보고, 1994년도 ATS 지침 및 2005년도 ATS/ERS 지침을 만족하는 검사의 비율을 비교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개인적 특성 및 재현성 기준의 변화가 재현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결 과: 폐활량검사를 시행한 사람들 중 95% 이상이 150ml 이내의 재현성 기준을 만족시켰다. 1994년도 ATS 지침에 따라 검사를 시행한 경우 재현성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가 증가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재현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신장, 연령, 체중, 폐쇄성폐질환 여부, 재현성 기준의 변화 등이었으나 재현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매우 작았다(0.5~3.0%). 결 론: 한국인에게도 2005년도 ATS/ERS에서 제시한 재현성 기준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이를 위해서는 변경된 재현성 기준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와 검사자 들에 대한 교육 및 정도 관리가 필요하다.

한국인과 재미동포간의 건강증진행태의 차이에 관한 연구 (Study on a Difference of Health Behavior and Health Promotion between Korean American and Korean)

  • 이윤현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7-82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different lifestyles between Koreans and Korean American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health. Despite being the same race, Koreans and Korean Americans have different health conditions and health attitudes due to the acquire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ocial-economic factors, lifestyle risk factors, healthcare systems, and medical utilization. It is crucial to examine how the different lifestyle habits between Koreans and Korean Americans lead to various health conditions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health promotion policy. Methods: In this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f Korea and CHIS data of the United States in 2005 and 2015 to provide valuable insights when establishing such a policy. Results: The specific research purpose is as follows: First,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1)living habits risk factors, (2)health satisfaction levels, (3)disease outbreaks, and (4)medical uses, are analyzed to fi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mong Koreans, Korean Americans, and Americans. Second, the three groups --Koreans, Korean Americans, and Americans-- were compared based on their exposure to disease-related lifestyle risk factors related to their body mass index and their general health condi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three groups improved health conditions in 2015 better than in 2005. Koreans maintained relatively higher general health conditions compared to other groups: their prevalence rat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diabetes, high blood pressure, heart disease, and asthma was lower than that of U.S. residents. Second, in regards to health behavior factors, the lifetime smoking experience for Koreans and Americans both decreased in 2015 compared to 2005, while the lifetime smoking experience for Korean Americans increased slightly. The number of smokers for Koreans has greatly decreased over a decade while that of Americans has moderately increased.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the general health conditions,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suggests that the number of men who answered they are healthy is greater than that of women in Korea, compared to the United States.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acquired environmental factors had more significant impacts on health than the racial factors did. Compared to 2005, the health behaviors and health levels of Korean Americans in 2015 gradually became more similar to those of Americans.

치주질환과 당뇨병의 관련성 (An Association of Periodontitis and Diabetes)

  • 원재희;하미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7-113
    • /
    • 2014
  • 2009년 제 4기 3차년도 국민견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치주질환과 당뇨병의 관련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지역사회치주지수와 혈액검사를 통해 당뇨병을 진단받거나 공복혈당장애에 대한 검사와 당화혈색소 자료가 모두 있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4,830명이 최종분석대상자가 되었다. 치주질환의 유병률은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인 경우, 연령에 따라서는 나이가 많은 경우, 월평균가 수수입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흡연 경험이 있고 현재 흡연자일수록, 음주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당뇨병의 경우 남자인 경우, 나이가 많고, 현재 흡연자일수록,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낮고 음주량과 간식섭취가 많을수록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공복혈당수치에 따른 치주질환 유병률은 공복혈당 100 mg/dl 미만은 38.6%, 100 mg/dl 이상은 57.9%로 나타나 100 mg/dl 이상에서 치주질환이 많았다(p<0.0001). 공복혈당장애의 위험은 지역사회치주지수검사에서 CPI가 0~ 2인 그룹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CPI가 3~4인 그룹이 2.18배 높게 나타났다.

패스트푸드 기업의 인지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미국 소비자의 인식과 구매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Do American Consumers Perceiv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ons and Exhibit Loyalty Intention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putation of Fast Food Restaurants?)

  • 이기원;이영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77-187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customers toward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fast-food restaurants regarding restaurant healthfulness, corporate reputation, and the impact of corporate reputation on loyalty intentions throug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motive.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U.S. residents who were aware of fast food restaurants' CSR activities. Participants selected one fast food restaurant participating in CSR activities, coded as either traditional (n = 117) or non-traditional (n = 48), and answered questions about the selected restaurant's healthfulness, reputation, CSR motives, and loyalty intentions.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healthfulness and corporate reputation of the two types of fast-food restaurants were compared. A mediation path of corporate reputation - CSR motive - loyalty intention was analyzed. Results: Non-traditional fast-food restaurants (5.02 ± 1.26) were perceived to be more healthful than traditional ones (3.93 ± 1.72).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at compared to traditional fast-food restaurants, non-traditional ones had a better overall corporate reputation (P = 0.037), were more concerned about their customers (P = 0.029), better workplaces (P = 0.007), more environmentally and socially responsible (P < 0.001), and offered higher quality products and services (P = 0.042).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restaurant healthfulness and corporate reputation (P < 0.001 for all reputation items). The suggested mediation path was supported with 95% CIs excluding zero, implying that when fast-food restaurants had a better reputation overall, were customer oriented, good employers, strong companies with a good product and service quality, soci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the participant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ir CSR activities to be sincere and were hence loyal to that restaurant. Conclusions: Overall, participants were more favorable towards non-traditional fast-food restaurants which had a healthier image and better reputation than traditional ones. Therefore, fast food restaurants need to consider offering healthy food and enhance their image, which would maximize the return on their investment in CSR.

미국의 청소년 흡연예방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현황 (An Exploratory Analysis School-based Intervention Studies to Prevent Smoking by American Adolescents)

  • 정혜선;하영미;장원기;이지원;이윤정;윤순녕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9-134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 variety of intervention studies to prevent smoking by adolescents in U.S. and find out implications for Korea. Methods: This study reviewed articles found in the internet and analysed the data of US DHHS and CDC. Results: The School Health Policies and Programs Study (SHPPS) is a national survey periodically conducted to assess school health policies and programs of U.S. The main components of SHPPS are health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health services, mental health and social services, school policies, and school environments. The CDC guidelines for school health programs to prevent tobacco use and addiction are composed of policy, instruction, curriculum, training, family involvement, tobacco-use cessation efforts, and evaluation. School-based interventions to prevent smoking can be classified into the categories of information-giving curricula, social competence curricula, social influence approaches, combined methods draw on social competence and social influence approaches and multi-modal programmes and Youth Empowerment study. The key programs for adolescent smoking prevention are ALERT Project, HSPP, TNT Project, MPP, NC YES. Conclusions: As smoking is often the first step of unhealthy behaviour such as alcohol drinking, illegal drugs, and violence, smoking prevention programmes for adolescents in U.S. have been comprehensive school-based health programs. In smoking pre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CDC plays a critical role by supporting survey, research, policy, and fund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was high when it was based on school and involved parents, community, and mass media. As the effect of each programme is not expected to last for a long time, consistent repetition of these interventions is essential. Current smoking pre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are exploring the empowerment approach focused on the active involvement of participants rather than traditional approaches using order and discipline.

통합 칼리브레이션 가중치 산출 비교연구 (Integrated calibration weighting using complex auxiliary information)

  • 박인호;김수진
    • 응용통계연구
    • /
    • 제34권3호
    • /
    • pp.427-438
    • /
    • 2021
  • 이단추출은 개체와 집락 단수준별 모집단 특성을 함께 추정할 수 있게 해준다. 단위수준별 보조정보가 함께 주어질 때, 단위수준별 정보 및 가중치 구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칼리브레이션 가중치를 산출한다면 단위수준별 특성은 물론 수준간의 다변량적 특성도 적절히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Estevao와 Särndal (2006)과 Kim (2019)이 고려한 통합 칼리브레이션 가중치 산출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간단한 모의실험을 통해 기존의 통합 칼리브레이션 가중치 산출방법의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이 중 복합보조정보를 개체화한 후 단일단계의 칼리브리이션 조정으로 가중치를 산출하되 집락가중치가 집락 내 개체가중치 평균이 되도록 정의하는 방법과 단위수준별 보조정보를 이용한 수준별 칼리브레이션 조정을 상호 반복적으로 수행하되 집락가중치가 집락 내 개체가중도치 평균이 되도록 하는 방법이 조정전 가중치의 변동량을 크게 늘리지 않고도 수준간 다변량적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락과 개체의 상호간 보조정보에 대한 총합추정의 적합도 측면에서 매우 양호하였고, 칼리브레이션 조정에 포함되지 않는 조사특성들의 총합추정에 대한 상대편향 및 상대 평균 제곱근 오차가 작게 나타났다.

90년대 이후 미국과 일본 소아치과학회지 게재논문의 분야별 분포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THEMATIC DISTRIBUTION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AND THE JAPANESE SOCIETY OF PEDIATRIC DENTISTRY)

  • 염정현;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39-554
    • /
    • 2002
  • 우리나라의 소아치과학과 큰 연관성을 가진 일본과 미국, 두 나라의 최근 소아치과학적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일본 소아치과학회지 (이하 JJPD)와 미국 소아치과학회지 (이하 PD)를 대상으로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양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서지학적인 정보를 수집하여 시대별, 주제별 분포 및 각 연구주제에 있어서의 변화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JJPD에는 총 869편, PD에는 672편으로, JJPD에 약 30% 정도 더 많은 논문이 게재되었다. 2. JJPD와 PD 모두 증례보고가 원저에 비하여 1/4 정도의 비율을 보였다. 3. 전신질환 관련 연구는 JJPD와 PD 모두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치아우식증, 수복재 연구 또한 양자 모두에서 비교적 높은 비율을 보였다. 4. 약물진정과 생화학적 행동연구는 PD에서 높은 비율을 보인 반면, JJPD에서는 상당히 낮은 비율을 보였다. 행동연구 및 행동조절은 JJPD의 게재 논문수가 PD보다 2배 정도 더 많았다. 5. 치아우식증, 치아우식증의 예방 지역치과의료 조사, 수복 치료, 수복재 연구, 치수치료, 부정교합의 원인과 치료, 국소 마취 및 신경조직 연구, 구강병리와 소수술, 외상성 손상은 양자 간의 논문 수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JJPD의 경우 치과용 장비가, PD의 경우 수복재 연구가 유의한 증가추세를 보였다. 7. JJPD의 경우에는 국소마취 및 신경조직 연구, 치아우식증의 예방, PD의 경우 수복치료가 유의한 감소추세를 보였다.

  • PDF

청소년 담당 사서의 역량에 대한 국립중앙도서관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ian's Recognit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bout YALSA's Competencies for Librarians Serving Youth)

  • 노동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99-218
    • /
    • 2010
  • 본 연구는 2010년 1월에 미국의 청소년도서관서비스협회에서 공표한 '청소년 담당 사서의 역량'에 대한 국립중앙도서관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서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청소년 담당 사서의 역량'에 명시된 7개 분야와 48개 역량에 대하여 각각의 필요성과 효과성, 난이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 담당 사서에게 요구되는 핵심 분야는 자료정보, 행정, 사서직과 전문성이며, 난이도가 높은 분야는 소통 및 마케팅, 소외계층지원 서비스이다. 청소년 담당 사서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은 A4(도서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도서관 자료이용방법, 청소년의 성장 및 발달 실현에 도서관이 어떠한 기여를 하는지 알게 함으로써 청소년이 평생 도서관 이용자가 되도록 장려), A1(청소년의 요구를 파악하고 서비스 향상을 위한 리더십 기술 함양 및 발휘, 성인 및 어린이 담당 사서와 같은 수준의 재정 지원과 직원 확보)이며, 난이도가 높은 역량은 C4(도서관, 학교, 청소년 담당 기관 및 지역사회 전반의 청소년 서비스 증진을 위한 전략적 마케팅 계획 구상, 실행 및 평가)이다.

Occupational Injuries Among Construction Workers by Age and Related Economic Loss: Findings From Ohio Workers' Compensation, USA: 2007-2017

  • Harpriya Kaur;Steven J. Wurzelbacher;P. Tim Bushnell;Stephen Bertke;Alysha R. Meyers;James W. Grosch;Steven J. Naber;Michael Lampl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4권4호
    • /
    • pp.406-414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age-group differences in the rate, severity, and cost of injuries among construction workers to support evidence-based worker safety and health intervention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Methods: Ohio workers' compensation claims for construction workers were used to estimate claim rates and costs by age group. We analyzed claims data auto-coded into five event/exposure categories: transportation incidents; slips, trips, and falls (STFs); exposure to harmful substances and environments; contact with objects and equipment (COB); overexertion and bodily reaction. American Community Survey data were used to determine the percentage of workers in each age group. Results: From 2007-2017, among 72,416 accepted injury claims for ~166,000 construction full-time equivalent (FTE) per year, nearly half were caused by COB, followed by STFs (20%) and overexertion (20%). Claim rates related to COB and exposure to harmful substances and environments were highest among those 18-24 years old, with claim rates of 313.5 and 25.9 per 10,000 FTE, respectively. STFs increased with age, with the highest claim rates for those 55-64 years old (94.2 claims per 10,000 FTE). Overexertion claim rates increased and then declined with age, with the highest claim rate for those 35-44 years old (87.3 per 10,000 FTE). While younger workers had higher injury rates, older workers had higher proportions of lost-time claims and higher costs per claim. The total cost per FTE was highest for those 45-54 years old ($1,122 per FTE). Conclusion: The variation in rates of injury types by age suggests that age-specific prevention strategies may be useful.

청소년의 성행동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RISK FACTORS OF ADOLESCENT SEXUAL BEHAVIORS)

  • 박인선;백연옥;한인영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1호
    • /
    • pp.138-148
    • /
    • 2001
  • 본 연구는 생태계 이론에 근거하여 비계획적인 청소년기 성행동의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1996년 9월 12월까지 13~18세 연령 범위의 청소년 2326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미혼모 보호소에 있는 대상을 제외하였을때 응답자외 8.8%가 과거 성행동 경험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 글 남자는 13.4% 여자는 5.0%로서 남자가 2.7배 더 많았고 13세(3.2%)보다 18세(19.2%)에서 약 6배 더 많았다. 연령과 성별을 맞추어 성행동 경험군과 비경험군을 비교한 결과 다섯가지의 위험요인이 발견되었다. 첫째 개인요소로서 자신의 잠재된 능력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음주, 흡연, 약물 복용, 가출등의 경력이 있거나 포르노에 노출된 경우 그리고 자신이 성에 대해서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들이 포함된다. 둘째 요인은 가족 요인으로서, 가족의 중요성을 덜 느끼고 가족의 지시를 덜 받는 경우, 수입이 높고 평균보다 많거나 적은 경우 등이 포함된다. 셋째 요인은 또래 문제로써, 친구들이 실제보다 더 많은 문제 행동을 하고 있다고 믿는 경향이 포함된다. 넷째, 학교 요인으로는 학교의 중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학업 능력이 좋지 않을 경우에 성행동 위험이 높아졌다. 자아가 형성되는 시기인 사춘기에 예기치 않은 성행동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족관계와 학교생활에 주목해야 하며, 본 연구에서 밝혀진 위험 요인들이 향후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