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THE THEMATIC DISTRIBUTION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AND THE JAPANESE SOCIETY OF PEDIATRIC DENTISTRY

90년대 이후 미국과 일본 소아치과학회지 게재논문의 분야별 분포에 관한 비교 연구

  • Yeom, Junng-Hy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Sh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Jeong, Tae-S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염정현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신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정태성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2.11.30

Abstract

To identify the trend of pediatric dentistry in USA and Japan, closely related to Korean pediatric dentistry. The Japanese Journal of Pediatric Dentistry(JJPD) and Th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PD) were reviewed. We collected the bibliographical data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two journals from 1991 to 2000. We analyzed thematic distributions and chronological changes, and then compare those of two group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869 articles were published in JJPD and 672 in PD. This was about 30% more in JJPD. 2. In both JJPD and PD, the case reports were a quarter of scientific articles in quantity. 3. The studies on the systemic diseases had the highest proportion in both JJPD and PD. The studies on the dental caries and restorative materials also had high proportion in both journals. 4. The studies on the sedation and biochemical survey had high proportion in PD when had low proportion in JJPD. To the contrary, The studies on the behavior science in JJPD were about double of those in PD. 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ntity between JJPD and PD in the studies on the dental caries, prevention of dental caries, community dental survey, conservative treatment, restorative materials, pulp treatment, diagnosis and treatment of malocclusion, oral pathology and minor surgery, local anesthesia and nerve tissue, traumatic injuries. 6.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tudies on the dental equipment in JJPD and in those on restorative materials in PD. 7.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studies on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and local anesthesia and nerve tissue in JJPD, and those on conservative treatment in PD.

우리나라의 소아치과학과 큰 연관성을 가진 일본과 미국, 두 나라의 최근 소아치과학적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일본 소아치과학회지 (이하 JJPD)와 미국 소아치과학회지 (이하 PD)를 대상으로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양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서지학적인 정보를 수집하여 시대별, 주제별 분포 및 각 연구주제에 있어서의 변화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JJPD에는 총 869편, PD에는 672편으로, JJPD에 약 30% 정도 더 많은 논문이 게재되었다. 2. JJPD와 PD 모두 증례보고가 원저에 비하여 1/4 정도의 비율을 보였다. 3. 전신질환 관련 연구는 JJPD와 PD 모두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치아우식증, 수복재 연구 또한 양자 모두에서 비교적 높은 비율을 보였다. 4. 약물진정과 생화학적 행동연구는 PD에서 높은 비율을 보인 반면, JJPD에서는 상당히 낮은 비율을 보였다. 행동연구 및 행동조절은 JJPD의 게재 논문수가 PD보다 2배 정도 더 많았다. 5. 치아우식증, 치아우식증의 예방 지역치과의료 조사, 수복 치료, 수복재 연구, 치수치료, 부정교합의 원인과 치료, 국소 마취 및 신경조직 연구, 구강병리와 소수술, 외상성 손상은 양자 간의 논문 수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JJPD의 경우 치과용 장비가, PD의 경우 수복재 연구가 유의한 증가추세를 보였다. 7. JJPD의 경우에는 국소마취 및 신경조직 연구, 치아우식증의 예방, PD의 경우 수복치료가 유의한 감소추세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