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bulance service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9초

119 구급대원의 근골격계 질환 (Musculoskeletal Diseases' of the 119 Rescue party's)

  • 신상열;정지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461-6468
    • /
    • 2013
  • 본 연구는 병원 전 응급의료 현장을 담당하고 있는 119 구급대원의 근골격계 질환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2012년 7월 2일부터 7월 31일까지 전북지역의 119 구급대원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이다. 조사결과 대상자의 57.9%가 근골격계 질환과 관련한 자각증상을 호소하였으며 신체부위별로는 허리와 엉덩이 부분에 통증이 있다는 응답이 47.2%로 가장 많았다. 또한 이러한 통증의 원인이 구급업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에서 성별(t=16.579, p=.000), 연령(t=102.344, p=.000), 학력(t=5.363, p=.027), 음주(t=6.999, p=.030), 흡연(t=6.266, p=.009)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직업적 특성에서는 경력(t=67.684, p=.000), 구급차량 탑승인원(t=7.717, p=.004), 자격 및 면허(t=25.480, p=.000), 직급(t=74.615, p=.00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수요가 소방예산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Fire Demand on Fire Service Budget)

  • 이원주;임재훈;문광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4호
    • /
    • pp.125-134
    • /
    • 2020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예방소방과 대비소방을 수방수요에 포함시켜 소방예산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6개 광역자치단체에서 수행된 예방소방행정(건축허가동의, 특정 소방대상물, 다중이용업, 소방특별조사), 대비소방행정(소방교육 및 훈련), 대응소방행정(화재진압출동, 구급출동) 그리고 소방예산에 대한 11년(2008년-2018년)의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예비소방행정의 소방특별조사, 대비소방행정의 소방교육 및 훈련, 그리고 대응소방행정의 화재진압출동은 소방예산에 유의미한 음(-)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응소방행정의 구급출동은 0.01%수준에서 소방예산에 유의미한 양(+)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소방행정의 패러다임이 재난수용(복구중심)에서 재난대응(현장대응중심)을 지나 재난대비(대비중심)로 변화되고 있다는 공공정책을 지지하는 연구결과이다.

119 구급대의 구급장비 감염 관리와 실태조사 (Inf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rescue equipment)

  • 박소미;이효주;최장희;김종호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7-98
    • /
    • 2017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e of infection management and the frequency of emergency equipment sterilization by emergency rescue crews to provide basic guidelines and suggestions for infection control.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160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rescue crews in J area from May 7 to May 22 in 2015.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95 items, inclu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8 items), the use of emergency equipment (33 items), the frequency of facility sterilization (33 items), infection control (12 items), vaccination (4 items), and the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5 items). Results: In all, 97.3% of respondents were aware of the "Guidelines of Infection management for Rescue Operators' and 90.9% received training on infection control. A total of 72.7% and 47.3% of rescue centers were equipped with disinfection facilities and laundry rooms, respectively. The average frequency of sterilization was $3.17{\pm}0.75$, which significantly differed for teams with more clinical experience (p=.050) and teams with three members (p=.030). The average score for individual protective equipment supplies was $1.95{\pm}0.66$. Conclusion: For proper infection management of emergency equipment,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number of crew members should be increased for each ambulance, protective equipment and rescue products should be supplied, and the number of facilities for sterilization and laundry at rescue centers should be doubled.

지역별 응급의료접근성이 노인의 허혈성 심장질환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gional emergency medical access on the death rate of elderly individual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 고은정;조근자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38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ergency medical service accessibility in different regions and the sudden death rate in elderly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using data analysis techniques and suggest improvements in regional emergency medical services. Methods: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the NEDIS database and Statistics Korea. Data on a total of 75,867 patients aged ≥65 years were reviewed among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who visited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 in 2018.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PC Window 25.0. Results: With an emergency medical resource per 100km2, there was a concomitant reduction in the risk of death. There was a decrease in the death rate by 0.967, 0.970, 0.997, and 0.391 times with the increase in the presence of a fire department, an ambulance, a paramedic, and a regional medical center, respectively. Furthermore, a decrement in the death rate was witnessed 0.844, 0.825, and 0.975 times with the initiation of a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 a local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 and an angiography device, respectively(p <.001). Conclusion: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the population and geometric area of the region should be considered essential factors when deploying emergency medical resources.

Effect of typhoons on the Korean national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 Park, Soo Hyun;Cha, Won Chul;Kim, Giwoon;Lee, Tae Rim;Hwang, Sung Yeon;Shin, Tae Gun;Sim, Min Seob;Jo, Ik Jo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Emergency Medicine
    • /
    • 제5권4호
    • /
    • pp.272-277
    • /
    • 2018
  • Objective While the effect of typhoons on emergency medicine has been evaluated, data are scarce on their effects on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EM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typhoons on EMS patients and performance. Methods The study period was January 2010 to December 2012. Meteorological data regarding typhoons were provided by the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EMS data were retrieved from the EMS database of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The database includes ambulance run sheets, which contain clinical and operational data. In this case-crossover study, the cases and controls were EMS calls on the day of typhoon warnings and calls one week prior to the typhoon warnings, respectively.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11 typhoons affected Korea. A total of 14,521 cas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Overall, there were no obvious differences between the case and control groups. Howev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lace, and time requests. There were fewer patients between 0 and 15 years of age (P=0.01) and more unconscious patients (P=0.01) in the case group. The EMS operational performance, as measured by the times elapsed between call to start, call to field, and call to hospital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from hospital arrival between the cases (28.67, standard deviation 16.37) and controls (28.97, standard deviation 28.91) (P=0.39). Conclusion Typhoon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EMS system in this study.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asons for this finding.

여성119구급대원에 대한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인식유형 연구 (A Study of Paramedic Students' Perception Type on Female 119 Paramedics)

  • 한송이;박소미;최은숙;이재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70-80
    • /
    • 2015
  • 본 연구는 여성119구급대원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소방 조직 내에서 여성119구급대원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그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된 연구이다. 연구는 2013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Q표본을 선정하여 구급차동승 현장실습을 경험한 응급구조(학)과 학생 총 31명을 대상으로 QUANL program을 이용한 Q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슈퍼우먼형', '체력한계 히어로형', '섬세한 수호천사형', '능숙한 데스크잡형'의 총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의 설명력은 제I유형 42.2%, 제II유형 4.8%, 제III유형 4%, 제IV유형은 3.6%로 전체변량의 54.7%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여성119구급대원을 전문가로 인식하고 있지만 체력적인면과 출산 및 육아에 대하여 부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조직 구성원의 인식 변화와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119구급대의 병원 전 응급처치 실태 및 교육 현황 분석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rehospital Emergency Care and Education in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 노상균;이재국;김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117-2124
    • /
    • 2012
  • 이 연구는 119구급대의 병원 전 응급처치 실태와 교육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 5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구급대원 29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119구급대원들의 전공분야는 응급구조학이 124명(41.5%)으로 가장 많았고, 소방관련학이 46명(15.4%), 간호학이 30명(10.0%), 보건관련학이 3명(1.0%), 기타가 96명(32.1%)이었다. 119구급대원들이 소지한 자격증으로는 1급 응급구조사가 114명(38.1%), 2급 응급구조사가 101명(33.8%), 소방 교육이수자가 42명(14.0%), 간호사가 28명(9.4%), 기타 14명(4.7%)순으로 나타났다. 시행한 응급처치 빈도로는 산소흡입(274건), 사지 고정(229건), 척추고정(229건), 외부출혈의 지혈(223건), 약물투여(7건), 정맥로 확보(4건)순으로 나타났다. 병원 전 응급처치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잘 훈련된 전문 인력의 구급차 탑승이 반드시 필요하고, 이를 위하여 응급구조사의 지속적인 충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실무중심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119지역대의 공간적 배치 현황의 적절성 -Y시 H면 지역을 중심으로- (The propriety of Spatial Arrangement Condi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 Mainly Around H Town Area, Countrysid of Y city -)

  • 윤종근;최규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374-380
    • /
    • 2017
  • 본 연구는 시골지역에 위치한 119지구대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좀 더 효율적인 응급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간적 배치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Y시 H면에 소재한 119지구대를 중심으로 2016년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의 119지역대 환자이송 현황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가상적인 119지구대 배치 후 이송시간 및 거리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하여 정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19지구대를 이용율은 대부분 65세가 넘은 고령환자가 전체 이용환자의 57%인 수준이었으며, 실제 출동반응 현황은 현장도착 평균 거리는 6.41km(11.86분)이었으며, 현장에서 의료기관까지 소요되는 거리는 18.24km(21.52분)었다. 현재 위치하고 있는 119지역대를 중심으로 GI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장*리 마을로 9.12km(12분)이 소요되었으며, 환자발생지역까지 출동 후 다시 의료기관까지 가는 거리는 36.83km(62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리로 가상지구대를 설정한 경우 의료기관까지이 거리는 27.71km(50분)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에 의하면 현재 소재하고 있는 119지역대의 위치는 환자발생지점에서 의료기관까지의 거리를 감안해 볼 때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좀 더 많은 지역의 지구대를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를 통하여 환자발생시 119지구대가 출동 시 최단의 거리와 환자 발생 지점에서 의료기관까지의 최단 거리등을 고려하여 현재 설치되어 있는 119지구대의 위치를 재고해야 될 것이다.

한정된 응급시설의 최적위치 문제 (Optimal Location Problem for Constrained Number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 이상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141-148
    • /
    • 2013
  • 본 논문은 여러 구역으로 분할된 도시에서 응급환자가 발생하였을 때 이에 대처하기 위한 최대 허용 도착시간 T를 충족시키면서, 응급시설 수 p를 한정시켰을 때 최대한의 주민수를 커버할 수 있는 응급시설의 최적 위치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 문제는 일반적으로 두 구역 간 소요시간이 최대허용 도착시간이내이면 1로, 그렇지 않으면 0으로 하는 정수계획법으로 변환시키고, 선형계획법 도구를 활용하여 해를 구한다. 본 논문은 p=1인 경우 최대로 커버하는 노드로 결정하며, $p{\geq}2$인 경우 최대한으로 커버할 수 있는 노드 상위 5개를 $p_1$기준으로 포함-배제 원칙을 적용하여 $p_1$이 커버하는 영역을 삭제하였을 때 남은 노드들 중에서 최대로 커버하는 노드를 $p_2$로, $p_1,p_2$ 커버 영역을 삭제시 최대로 커버할 수 있는 노드를 $p_3$로 결정하였다. 이들 5개 기준 노드 집합 들 중에서 최대로 커버하는 노드 집합을 최적의 응급시설 위치로 결정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12-노드 망, 21-노드 망과 Swain의 55-노드 망에 적용한 결과 최적해를 쉽고 빠르며,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었다.

일개지역 구급활동 중 병원 전 심정지 및 약물중독 환자 분석 - 노인대 비노인의 차이를 중심으로 - (The Analysis on Pre-hospital Cases of Cardiac Arrest and Drug Intoxication during Local Emergency Activities - Based on Differences between Elderly Group and Non-Elderly Group -)

  • 이재민;윤형완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83-93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potential differences in pre-hospital cases of cardiac arrest and drug Intoxication between elderly group and non-elderly group on local emergency activity sites of rescue 119 team for those cases, so that it can provide useful reference materials for a system of corresponding emergency medical services. Methods: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and drug intoxication in the elderly and the non-elderly group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Ambulance Run Report for 3 years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09. Results: According to analysis on potential differences between elderly and the non-elderly group,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derly cases (evacuated to hospital due to cardiac arrest and drug poisoning) and non-elderly cases in year of onset (p = .247), quarter of onset (p = .813), sex (p = .235), consciousness state (p = .126), place of onset (p = .215) and number of first aid services (applied to emergency cases) respectively,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lderly cases and non-elderly cases in guardian availability (p = .042), time zone of onset (p = .050), distance from the site of onset (p = .278), type of onset (p = .000), number of first aid services depending on distance of evacuation (p = .008) and effectiveness of emergency care (p = .003) on statistical basis.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system of early emergency case reports for rational emergency case management with lower mortality; shorten distance from the site of onset at each time zone of onset in emergency cases; employ more emergency team members; facilitate firsthand / secondhand medical instructions for emergency teams in specialized emergency care depending on distance of evacuation for each kind of onset (elderly group vs. non-elderly group); and improve rate of resuscitated emergency cases by extending the scope of works for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to wider applications, so that it will be possible to take timely and appropriate measures for emergency settings of ever-increasing aged population in near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