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bu Bag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6초

암부백을 이용한 저가형 자동 인공호흡기 설계 및 제작 (Design of Low-cost Automated Ventilator Using AMBU-bag)

  • 신희빈;이효경;오가영
    • 적정기술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1-58
    • /
    • 2021
  • 본 연구는 COVID-19의 대유행으로 인해 자동 인공 호흡기의 공급이 세계적인 긴급 수요에 비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 도움이 될 수있는 저가형 응급 인공 호흡기의 설계 및 구현을 제안한다. AMBU-bag과 기성용 임베디드 마이크로컨트롤러 보드를 사용하여 구현이 용이하고 비용을 최소화했다. 또한, 3D 프린팅은 전 세계 기업과 전문가들이 프로토타입 하드웨어를 구축하는 데 사용하는 반면, 주변 환경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는 많은 첨단 기술에 접근하기 어려운 국가의 사람들이 시스템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설계한 간이 인공호흡기 모형의 특징은 암부 백을 자동화했다는 점, 3d 프린팅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 속도조절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속도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하는 환자의 상황에 맞게 환기가 가능하다. 연구 시 보완할 점으로는 첫 번째, 사용한 와이퍼 모터의 구동 시작점을 고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위치 피드백기능이 있는 브러시 DC모터로 교체하는 방법이 있다. 두 번째로 팔부분과 고정 틀이 나무 재질이라 암부 백을 장기적으로 압축하는 과정에서 암부백이 마모될 가능성 있다는 것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암부백이 닿는 틀과 팔 부분을 실리콘과 같은 재료로 감싸 마찰을 최소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AMBU(Air Mask Bag Unit) 환기로 복강기종과 종격동기흉이 합병된 중증 천식 1예 (A Case of Severe Asthma Complicated with Pneumoperitoneum and Pneumomediastinum During AMBU Ventilation)

  • 조훈;최병문;정호경;박자영;장병일;선우미옥;서찬희;성한동;신미정;황순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6호
    • /
    • pp.585-589
    • /
    • 2001
  • 저자들은 심한 천식발작으로 내원한 43세 여자환자에서 응급 기관내 삽관 및 AMBU 양압환기에 종격동기흉, 복강기종, 후복강기종 및 피하기종이 합병되었으나 내과적 치료로 회복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인공 환기가 필요한 환자에서 변형된 수동식 인공호흡기(Ambu®)의 유용성 (Usefulness of modified ambu® in patients who need artificial ventilation)

  • 하기수;문일홍;이희선;신동한;은소희;은백린;홍영숙;이주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1호
    • /
    • pp.1194-1201
    • /
    • 2006
  • 목 적 : 혼수 환자는 원인에 상관없이 혼수 상태가 오래 지속되었을 경우 회복불능의 상태로 될 수 있기 때문에 원인을 신속하게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중 MRI 검사는 혼수 환자의 원인을 감별하는데 중요하나 자발호흡이 없는 환자에게 MRI 검사 시 여러 가지 제한점으로 인해 그 시행이 어려웠다. 저자들은 변형된 수동식 인공호흡기를 이용하여 일정 거리에서 환자에게 전달되는 환기량을 유지하면서 MRI 검사가 가능한지 알아보고 안정성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특별히 고안한 장치는 self-inflating bag type의 수동식 인공호흡기에 PVC 관을 연결하고 그 끝을 환자의 기도와 연결하여 만든 비교적 간단한 장치이다. 또한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계식 인공호흡기를 이용하여 PVC 연결 관의 길이와 직경 및 일회호흡량(tidal volume)을 변화시켰을 경우 TVe, MVe, PIP를 측정하여 환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 과 : 15 mm, 25 mm 직경의 2가지 종류의 PVC 연결 관을 이용하여 TVi를 변화시킴과 동시에 관의 길이를 1, 2, 3 m로 증가시킴에 따라 TVe, MVe, PIP 값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TVe, MVe 값은 대조군과 비교해 차이가 없었고 PIP 값은 TVi가 증가함에 따라, 관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P<0.05). 또한 관의 길이, TVi에 관계없이 PIP 값은 PVC 연결 관의 직경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관의 직경이 작을수록, 관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일회호흡량이 증가할수록, 환기량을 유지하기 위한 PIP값은 증가하였다. 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MRI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성공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론 : 저자들이 고안한 수동식 인공호흡기를 이용한다면 자발호흡이 불안정하여 MRI 검사를 시행하지 못했던 많은 환자들에게 더 많은 검사의 기회가 주어질 것이며 환자의 질환을 진단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인공호흡기 사용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보조기구 개발 (Development of Novel Assistive Device for Improving Usability of BVM)

  • 전강현;박용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420-42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인공호흡기 보조기구를 개발하였다. 응급상황 발생 시 약 4분이 지나면 환자는 심각한 뇌 손상을 입는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응급구조사는 환자에게 적합한 산소 주머니를 통해 환자가 병원으로 인계될 때까지 지속해서 인공호흡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 과정에서 응급구조사들은 전완근의 반복적인 운동으로 인해 적지 않은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이는 손이 작거나 근력이 부족한 응급구조사들에게 더욱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제품이 제작되었지만, 부피와 크기 그리고 사용 방법 등과 같은 실용성이 부족하여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제작하였던 인공호흡기 보조기구를 개선하고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부담을 효율적으로 줄이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보조기구는 크게 3가지 부위로 구성된다. 보조기구는 산소 주머니를 매회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압박하고 대상에게 알맞은 산소의 양을 각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머리부, 휴대용 인공호흡기의 산소 흡입구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힘을 휴대용 인공호흡기로 전달하는 몸통부, 다양한 자세에서도 효율적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회전이 가능한 손잡이로 구성된다. 실험을 통해 안정적인 수치로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응급구조사는 보조기구를 사용해 피로감 감소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적합한 양의 산소를 주입해 효율적인 인공호흡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재가 가정용인공호흡기 적용 신경근육계 질환자의 호흡곤란, 수면장애, 불안 및 우울에 관한 연구 (Survey on Self Care, Respiratory Difficulty, Sleep Impediment,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Patients with Neuromuscular Disease dependent on Home Mechanical Ventilator)

  • 황문숙;이미경;송종례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95-60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n self care, respiratory difficulty, sleep impediment,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patients with neuromuscular disease who are dependent on Home Mechanical Ventilator (HMV). Methods: 157 patients were recruited through hospital based home nursing care departments and HMV rental center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The analytic methods were n(%)/$M{\pm}SD$, $x^2$/t-test or ANOV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Patient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were more likely to utilize HMV, had shorter periods of morbidity and the most extended daily use of HMV. As for medical equipment, they had ambu-bag (87.2%) and oxygenator (15.4%). Reports of respiratory difficulty and sleep impediment were low.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rast, reported anxiety and depression were high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n invasive HMV and invasive HMV. Anxiety contributes to respiratory difficulty (t=3.62, p=.002), sleep impediment (t=2.06, p=.042), and depression (t=7.24, p<.001). However, home nursing care exerts a positive influence in reducing anxiety (t=-2.73, p=.008). Conclusion: Anxiety contributes to respiratory difficulty, sleep impediment, and depression. However, those who use home nursing care reported less anxiety. Home nursing care positively impacts patients dependent on HMV as a practical service and available resource.

전산화단층촬영검사 시 검사실 내에 위치할 수 있는 의료인의 간접 피폭선량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irect Radiation Exposure of the Medical Personnel Who is Responsible for Patient Safety in CT Examination)

  • 최민혁;장지성;이기백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2권2호
    • /
    • pp.105-111
    • /
    • 2019
  • A medical personnel could be placed beside a patient together in CT room to do Ambu-bag for a seriously ill patients or emergency patient. At this time, the medical personnel can be exposed indirect radiation unnecessarily.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indirect radiation dose levels and methods to reduce them using actual clinical CT protocols such as Chest, Abdomen, and Brain CT. We researched surface radiation dose with or without radiation protectors such as apron and goggles according to different distances far from gantry using two different CT scanners (Fixed MDCT and mobile CT). As a result, for Chest, Abdomen, and Brain CT with Fixed MDCT, indirect radiation dose on thorax portion were 0.047, 0.089, 0.034 mSv without apron. Also, those with apron were 0.007, 0.012, 0.006 mSv. In case of mobile CT, it was 0.014 mSv without apron and 0.005 mSv with apron. By using protectors and increasing the distance, we could reduce it to 97%. Systematic management is necessary based on the measured data in order to minimize radiation damage due to indirect exposure dose.

가정전문간호사의 비판적 성찰을 통한 사례기반 학습: 가정용 인공호흡기 적용대상자 (Case-based Learning through Home Care Nursing Specialists' Critical Reflection: Application with Patients Using Home Mechanical Ventilator)

  • 박학영;황문숙;김연희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53-163
    • /
    • 2018
  • Purpose: This study is know the home care nursing specialists' copying method for life-threatening emergency situation occurred while changing the tracheotomy tube in the patient's home through case-based learning. Methods: Two case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ed critical reflection while changing the tracheal tube. In the first case, the patient presented with dyspnea, cyanosis, and low oxygen saturation when connected to home mechanical ventilator after replacement of the tracheotomy tube. In the second case, replacement of the tracheal tube was difficult due to a narrowed airway from proliferated granulation tissue. Results: From the case-based learning. using a critical reflection instrument, home care nursing specialists indicated that it was important to explain the possibility of danger to the client and that nurses must check the operation of the ambu-bag to prepare for an emergency when replacing a tracheotomy tube. Moreover, they stated a need for two nurses during client visits when there is the possibility of an emergency. Conclusion: Case-based learning through critical reflection provides actual practice-focused knowledge that is helpful to home care nurse specialists who face emergency situations in a restricted environment. Therefore, we hope that home care nursing specialists will use this method to strengthen their professional 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