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lone Elderly Care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31초

고령화에 따른 도시형 노인 시니어 멀티 케어존 실효성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Urban Senior Multi-Carezon for the Elderly)

  • 이종식
    •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73-286
    • /
    • 2018
  •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다양한 인구정책을 펴고 있지만 인구 통계학적 결과에 따르면 급속히 고령화가 이어지고 있고 앞으로도 더 심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많은 노인들은 열악한 경제적인 여건과 체계적이지 못한 건강관리에 노출이 되어있고 대 부분 정신적인 질환과 만성질환에 항상 시달리고 있는 상태이다. 특히 기존에 도시의 노인들은 대가족 구조에서 소가족으로 바뀌면서 가족의 소외감과 혼자 거주하는 노인 인구가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여러 가지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현재 혼자 주거하는 노인들의 건강관리는 더욱 더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또한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매우 빈약한 관리아래 있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은 누구나 노년기를 거쳐야 되며 우리는 노년의 과정을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건강하게 보내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노인의 기본적인 연령이 늘어나면서 그에 따른 복지정책과 의료정책 등 여러 측면에서 고려하여야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65세 이상의 100명의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경제학적인 상황과 신체적인 건강 상태와 정신적인 건강상태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심각한 소외감과 고독감 그리고 정서적인 상황을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이를 해결하고자 최신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기 위하여 일명 "도시형 시니어 멀티 케어존"이 실제 실효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이는 노인의 맞춤형 건강관리를 통하여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을 찾고자 연구하였다.

경기도 일부 노인의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요양서비스의 영양상태 평가 및 영양관리 현황 (Nutritional Assessment and Management in Long-term Care Insurance's Home Visit Care Service)

  • 윤미옥;문현경;김서연;김복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2-153
    • /
    • 2013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nutritional management and nutritional care demands of home-visit care service and the nutritional status of serviced elderly.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5^{th}$ to $21^{st}$ of January, 2011 among 37 In-Home Service institutions. The number of elderly surveyed by 143 care helpers was 281. Analysis was performed for 203 subjects (male: 44, female: 159). The age distribution was from 50 to 99 years. The grading by long-term care insuranceshowed 18,2% on level 1 and 2, and 81.8% on level 3. For the disease treatment, the proportion of implementing diet treatment turned out to be very low. The proportion of subjects living with their children was 45.3%, and living alone was 29.1%. The proportion of home-visit care among types of In-Home Service was 70%. Subjects who needed additional necessary diet management service turned out to be 40.9%. Diet management was the most necessary services from all levels. MNA (specifiy MNA) scores were significantly (p < 0.001) associated with BMI, mid-arm circumference (MAC), calf circumference (CC), intake problems, and weight loss during the last 3 months. For studied elderly, 45.3% were malnourished, and 46.8% were at the risk of malnutrition by MNA scor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urvey, the nutritional care was not systematic on the In-Home Servic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the disease was much better than the treat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We conclude that nutrition management is necessary for the elderly.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in home care services, systematic nutrition management should be implemented.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융복합적 요인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 박지선;유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63-70
    • /
    • 2016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천대안을 모색하고자 사회환경적, 심리적, 신체적 요인 등 융복합적 요인들과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구조방정식모형으로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2014년 지역사회건강 조사 대상자 중 65세 이상 1인 가구의 13,771명이다. 분석자료는 사회자본,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상태, EQ-5D이고, SPSS 23.0과 AMOS 23.0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모형의 적합도는 CFI=.906, GFI=.955, RMSEA=.074로 양호한 수치였다. 변수 간 관련성은 독거노인의 사회자본은 스트레스 감소 및 주관적 건강상태를 높이고,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독거노인 돌봄서비스 확대 및 이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공간 마련 등 사회자본 증대를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Qualitative Assessment of Experience on Urban Forest Therapy Program for Preventing Dementia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Low-Income Class

  • Lee, Hyun Jin;Son, Sung Ae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65-574
    • /
    • 2018
  •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forest therapy program can help prevent dementia. However, few studies have focused on low-incom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meanings that the elderly living alone receiving medical care assigned to the urban forest therapy program, as a way to understand the pathways that nature-based intervention affect preventing dementia. Twenty-on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they participated in a five-week urban forest therapy program.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21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the urban forest therapy program, and analyzed qualitative data using thematic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ll themes identified were related to connectedness with oneself, neighbors and nature. Awarenesses of change were consisted of positive and negative themes. The themes of positive awareness were improvements of mental and emotional condition, feelings of isolation and loneliness, and health-related lifestyle. The negative themes were terminations of short-term programs and inconvenient access to the urban forest. Based on these data, we suggest an urban green welfare framework for future research and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dementia of underprivileged elderly group.

일본의 유료 노인 홈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Elderly Housing in Japan)

  • 이지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37-44
    • /
    • 2006
  • By 2019, Korea is expected to be an aged society, age group of 65 and older being over 14% of the total population, considering their rapid increase today. The number of the elderly living alone or with his or her spouse will grow more and more. So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d out the characters of elderly gathering houses in Japan through case study. The survey was taken by literatures and interview taken from the managers of the houses. It was selected the company which had branched 17 buildings all over the nation. There are three types in units in the building. One is self-supporting life house type. The other is personal care senior house type. Another is complex community house type. And the house have pointed on the participation in community. The company has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form the co-operation network with the residents being shared same building. And it has aimed that the residents would feel being alive in their home.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서비스 수행도와 필요도 : 오마하시스템 문제분류체계를 이용하여 (Performance and Requirements of Visiting Nursing Care in Long-Term Care Insurance Using the OMAHA System)

  • 박선아;임지영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1-188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between performance and requirements of visiting nursing care in long-term care insurance using the OMAHA system. Methods: The subjects were 72 nurses who had worked in a visiting nursing care center in long-term care insuranc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5, 2016 to January 31, 2017 using self-record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s. Results: Four dimensions of the OMAHA syste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erformance and requirements of visiting nursing care in long-term care insurance. The requirements of visiting nursing care were higher than was performance on all 40 items of the OMAHA system. The greatest difference was in environmental domain and then the psychosocial doma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we found that the environmental and psychosocial domains were the largest gap areas. Therefore, with the reality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the increase in elderly couples, active intervention connected with the community is needed in residential areas. Further, we suggest that the OMAHA system can be utilized as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for developing and enhancing visiting nursing care in long-term care insurance.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구성원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ess of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Demented Elderly)

  • 김효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833-4842
    • /
    • 2010
  • 본 연구는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구성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차이를 파악하고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구성원의 스트레스를 줄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도되었다. 조사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의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구성원 72명이었다.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구성원의 성, 연령, 거주지, 결혼상태, 동거가족수, 자녀수, 종교유무, 교육수준, 직업유무, 가계월수입, 치매노인과의 관계, 치매노인 수발년수, 치매노인수발로 인한 증상유무에 따른 스트레스를 t-test, ANOVA, Scheffe test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구성원의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는 동거가족수가 1인인 치매노인과 단둘이 사는 경우, 교육수준이 초등학교 졸업 이하인 경우, 한 달 월수입이 200만원 이하인 경우, 치매노인을 돌보면서 증상이 생긴 경우이었다. 본 연구에서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구성원의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 변수는 여자, 나이가 60-69세인 경우, 동거가족수가 1명으로 치매노인과 단둘이 사는 경우, 교육수준이 초등학교 졸업 이하인 경우, 한 달 월수입이 100-299만원인 경우, 며느리와 아들인 경우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치매노인과 단둘이 사는 경우, 교육수준이 낮은 경우, 가계 월 수입이 적은 경우가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구성원의 스트레스에 차이를 나타내는 변수이면서 관련요인이 되는 주요변수임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치매노인을 홀로 돌보는 가정, 교육수준이 낮은 가정, 가계 월 수입이 적은 가정에 대한 지원이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구성원의 스트레스 줄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Health and Perceived Oral Health in Elderly Individuals: Focusing on Depressio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 Lee, Hyun-Ok;Kim, Sun-Mi;Park, Ji-Yo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98-404
    • /
    • 2017
  •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ental health factors on oral health factors using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 total of 1,548 elderly individuals aged over 65 years who completed the screening and health questionnaire were selected as the final study participants. The psychological health factors related to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were depression and stress when the gender was controlled, and in terms of gender, both elderly male and female individuals were stressed and depress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sychological health of elderly individuals negatively affects not only perceived oral health but also the quality of life. 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health of the elderly individuals should be systematically managed along with oral health care and overall health care and lifestyle. If a comprehensive health management system is available for low-income groups or an elderly person living alone, it should positively affect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individuals.

AI 기술을 활용한 커뮤니티케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munity care using AI technology)

  • 강승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51-156
    • /
    • 2023
  • 현재 다양한 정보통신기술들이 독거노인 돌봄과 치매노인 실종방지 등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 커뮤니티케어 정책을 통해 인공지능과 로봇활용 비대면 돌봄은 향후 더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전망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정부정책 방향에 기반하여 커뮤니티케어에 활용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 기반 돌봄서비스 현황과 활용 및 활성화 전망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커뮤니티케어에 활용될 수 있는 서비스인 AI 스피커와 돌봄로봇은 노인층이 경험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며, 감성적인 기능을 추가하여 대화 부족이나 외로움을 해소하는데도 활용하고 있다. 향후 AI 기술을 활용한 커뮤니티케어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커뮤니티케어 고령자의 AI기기 친밀화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 고령층을 위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 디자인'이 필요하며, 둘째, 기능위주의 기술 활용보다는 상호보완적 관계를 가지고 감성적인 상호관계가 가능한 인간중심의 기술 활용이 필요하며. 셋째, 사용자의 자기결정권 보장, 사생활 보호 등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빈곤지위와 가구유형에 따른 노인가구의 소비특성 차이 분석 (The Consumption Structure of Korean Elderly Households Depending on Poverty Status and Family Type)

  • 백학영
    • 한국노년학
    • /
    • 제30권3호
    • /
    • pp.911-931
    • /
    • 2010
  • 본 연구는 노인가구의 소비지출 항목들의 특성에 기초하여 노인가구의 소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노인가구와 노인 빈곤가구의 욕구와 경제적 복지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의 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노인가구의 소비특성은 빈곤지위와 가구유형에 따라 차이가 드러났으며, 빈곤가구는 의식주와 보건의료비 같은 필수재를 중심으로 소비가 이루어져 소비패턴의 불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독거가구와 부부가구는 빈곤 노출 위험성이 높고 소비의 불균형성이 심하게 나타났다. 노인 빈곤가구의 경제적 안녕과 삶의 안정을 위해서는 필수재의 소비를 지원할 수 있는 사회적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노인이 생활의 주체이자 소비의 주체로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